[include(틀:폐선)] [[분류:제주특별자치도의 폐지된 시내버스]] [[파일:samyeong200.jpg]] 이 차량은 개편 후 370번으로 이동 후 E-화이버드로 대차되었다. [목차] == 노선 정보 == ||<-6><:><#00BFFF>{{{#ffffff 제주시 일반시내버스 200번}}}|| ||<-2><:>기점||<:>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노형동(백록초등학교)||<-2><:>종점||<:>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노형동(백록초등학교)|| ||||<-2><:>첫차||<:>06:13[* 아침 06:03 제원아파트 출발]||<-2><:>막차||<:>21:30|| ||<-2><:>평일배차||<:>출퇴근 14분/평시 18~26분||<-2><:>주말배차||<:>17~30분|| ||<-2><:>운수사명||<:>[[삼영교통]]||<-2><:>인가대수||<:>6대|| ||<-2><:>노선||<-4><:>백록초등학교 - 노형오거리 - 한라병원 - 제원아파트 - 신제주로터리 - 제주시외버스터미널 - 동광양 - 인화동 - 동문로터리 - 용담 - 제주국제공항 - 신제주로터리 - 제원아파트 - 한라병원 - 노형오거리 - 백록초등학교|| == 개요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의 [[시내버스]]. 삼영교통에서 운행한다. [[http://map.daum.net/?map_type=TYPE_MAP&busnumsrch=%EC%A0%9C%EC%A3%BC+200|전체 정류장 목록]] == 역사 == 200번 노선은 300번과 함께 제주공항 - 구도심 순환 노선으로 다녔으며, 2005년 대화여객 파업 당시 타 노선 지원 운행 등 여러가지 사유로 200번, 300번이 운행을 중단한 흑역사가 있었으나[[http://www.nocutnews.co.kr/news/131290|관련 기사]] 일도1동, 일도2동 북쪽 지역(인제사거리 북측), 건입동 주민들의 강력한 민원으로 2006년 다시 운행을 재개했다.[* 단, 300번은 삼영교통이 아닌 공영버스가 운행하게 되었는데 공영버스 노선 특성상 불규칙한 배차간격 때문에 점점 수요가 줄어들더니 결국 2012년 3월 5일 폐지되었으며, 300번 구간은 70번 버스가 대체하게 되었다.] == 특징 == 노형 백록초등학교를 기점으로 한라병원 → 제원아파트 → 신제주로터리를 지나 신제주입구교차로에서 우회전하여 구도심(제주시외버스터미널, 광양사거리, 인제사거리, 제주여상, 동문로터리, 용담, 제주국제공항)을 반시계 방향으로 순환한 후 다시 신제주로터리에서 제원아파트 → 한라병원 → 노형오거리 → 백록초등학교로 돌아온다. 반대 방향은 70번을 이용하면 되며, 제주 시내버스 노선 중 몇 안되는 순환형 노선이다. 이 노선의 주 수요층은 일도1•2동, 건입동(제주여상)에서 신제주로 향하는 승객과 노형지구에서 한라병원, 제원아파트, 제주시외버스터미널로 가는 승객이 대부분이다. 은근히 고정 승객이 상당히 많지만 배차간격이 들쑥날쑥하기 때문에 시간표를 잘 확인해야 하며, 평일 한정으로 일부 시간대에는 제주관광대학, 서부경찰서, 도평 등 시내버스가 잘 다니지 않는 곳까지 연장 운행한다. 그 이외의 시간대는 전부 백록초등학교로 돌아온다. == 시간표 == * 200번 노선은 시간표가 정말 복잡하니까 시간대를 잘 보고 이용해야 한다. === 평일 === [[파일:3NlcvbF.png]] === 토요일, 일요일, 공휴일 === [[파일:qlNqlqN.png]] == 주요 관광지 == 사라봉, 제주동문시장, 산지천, 제주 올레 17코스, 제주 올레 18코스, 칠성로 쇼핑거리, 관덕정(제주목관아지), 용두암, 용연구름다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