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제주특별자치도 간선버스)] [[파일:240초상권보호.jpg]]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제주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width=40]] {{{#ffffff 제주특별자치도 일반간선버스 240번}}}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제주버스240 노선도.png|width=100%]]}}} || ||<-2> 기점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오라일동(제주버스터미널) ||<-2> 종점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중문동([[제주국제컨벤션센터]]) || ||<|2> 종점행 || 첫차 || 하절기 06:30 [br] 동절기 07:30[* 동절기는 매년 11월 1일부터 3월 31일까지다.] ||<|2> 기점행 || 첫차 || 하절기 08:10 [br] 동절기 09:10 || || 막차 || 하절기 17:10 [br] 동절기 15:20 || 막차 || 하절기 18:50 [br] 동절기 17:00 || ||<-2> 하절기배차 || 1일 12회 ||<-2> 동절기배차 || 1일 9회 || ||<-2> 운수사명 || [[삼화여객(제주)|삼화여객]] ||<-2> 인가대수 || 4대 || ||<-2> 노선 ||<-4> 제주버스터미널 - 한라병원 - 한라수목원 - 제주도립미술관입구 - 국립제주호국원[* 1일 5회 경유] - 어리목입구 - 1100고지휴게소 - 영실매표소 - 서귀포자연휴양림 - 회수삼거리 - 중문사거리 - 제주국제컨벤션센터 || == 개요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제주버스터미널에서 한라산 어리목, 영실 휴게소를 거쳐 서귀포시 중문동 제주국제컨벤션센터까지 운행하는 간선버스 노선. 왕복 운행 거리는 88.8km다. [[http://naver.me/F7w0EviK|전체 정류장 목록]] == 역사 == * '''1975년 6월 28일''' '''1100도로 노선''' 신설 * 2013년 9월 1일 제주 시외버스 노선번호 부여 정책에 따라 740번을 부여받았다. * 2017년 8월 26일 대중교통 체계 개편으로 간선버스 240번으로 변경되며, 삼화여객이 단독으로 운행한다. 배차간격은 기존과 비해 큰 변화는 없으나, 노선의 종점이 기존 중문사거리에서 제주국제컨벤션센터로 연장되었다. * 2022년 4월 18일 국립제주호국원이 개원하면서 1일 5회씩 국립제주호국원을 추가 경유하게 된다. [[http://bus.jeju.go.kr/notice/detail?noticeId=378|제주특별자치도 공지사항]] == 특징 == * [[1139번 지방도|1100도로]] 버스로 잘 알려져 있으며, 길이 굉장히 험한 노선으로 유명하다. * 말 그대로 해발고도 '''1,100m'''에 있는 1100고지 정류소를 경유하므로, 연중 상시적으로 운행되는 시내버스 노선 중에서는 '''국내에서 가장 높은 곳까지 올라가는 버스이다.'''[* [[구례여객]]의 구례터미널-성삼재 버스가 해발 1,102m의 성삼재휴게소까지 올라가지만, 이 버스는 11월~4월 동절기에는 운행하지 않는다.] 이 버스는 영실 휴게소까지 올라가지 않으며 해발고도 약 1,020m의 영실 '''매표소'''까지만 운행한다. 영실매표소-영실휴게소 구간 도로는 15인승 이하의 차량만 통행이 가능하기 때문에 대형 버스는 당연히 진입할 수 없다. 등산로 시작점은 영실휴게소이기 때문에 이 버스를 이용하여 한라산을 오르려는 등산객은 매표소-휴게소 구간을 도보로 오르거나, 매표소 앞에 대기하고 있는 택시를 이용하여야 한다. * 남한에서 제일 높은 산인 [[한라산]]의 서쪽 어리목 코스와 영실 코스로 등반하는 산행객 수요가 대부분인데 다만 어리목, 영실 코스는 한라산 백록담까지 못 올라가고 윗세오름 대피소까지만 등반이 가능하며, 그 이외의 수요는 거의 없기 때문에 따라서 시간표를 잘 보고 타야 한다.[* 제주시와 중문을 잇는 노선이지만 일반적으로 제주시와 중문을 오갈 때는 [[제주 버스 282|282번]]를 이용한다. 선형이 매우 좋은 [[1135번 지방도|평화로]]를 따라 달리고 배차간격 또한 압도적으로 촘촘하기 때문이다.] 버스 시간표 자체가 한라산국립공원 등산 및 하산 시간에 맞춰져 있다. 그 이후 시간대에는 택시 외엔 답이 없다. * 제주버스터미널에서 승차할 경우 7번 승차장에서 탑승하면 된다. * 생각보다 단독구간[* 단독구간: 노루생이삼거리-회수동]이 긴데다가 어리목이나 영실로 가는 유일한 버스 노선이기도 하지만 운행횟수는 적어서 항상 터져나간다.[* 특히 가을 단풍철에 그렇다. 게다가 영실코스는 봄철 철쭉으로 유명하기 때문에 이 시기에도 주말에는 붐비는 편이다.] 이 노선을 이용하려면 입석은 어느정도 각오해야 한다. * 매년 1~2월 주말 및 공휴일마다 제주터미널~영실매표소 구간을 임시로 증회운행한다. 임시 운행 시에는 타 회사 차량이 운행하기도 한다. * [[1139번 지방도|1100도로]] 통제시 제주버스터미널 - 남녕고 구간은 정상적으로 운행하지만, 그 이후 구멍물 정류장까지 무정차로 [[1135번 지방도|평화로]]를 운행한다. * 간혹 가다가 '''[[노루]]를 마주칠 수 있다!''' === 시간표 === [[http://bus.jeju.go.kr/schedule/view/240#|240번 노선 시간표]] == 주요 관광지 == 한라수목원, 신비의도로, 제주도립미술관, 제주러브랜드, 천왕사, 어리목 코스, 어승생악, 람사르습지, 1100고지 휴게소, 영실 코스, 서귀포 자연휴양림, 거린사슴전망대, 법정사, 중문관광단지가 있다. [[분류:제주특별자치도의 간선버스]][[분류:1975년 개업한 버스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