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제주특별자치도 간선버스)] [[파일:제주380.jpg]]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제주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width=40]] {{{#ffffff 제주시 간선버스 380번}}} || ||<-2> 기점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조천읍 함덕리(신사동) ||<-2> 종점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아라일동(제주대학교병원 정문) || ||<|2> 종점행 || 첫차 || 06:45 ||<|2> 기점행 || 첫차 || 06:25 || || 막차 || 21:30 || 막차 || 19:54 [br] 21:46(함덕5구 종료) || ||<-2> 배차간격 ||<-4> 1일 17회 || ||<-2> 운수사명 || [[삼영교통]] ||<-2> 인가대수 || 4대 || ||<-2> 노선 ||<-4> 신사동 - 함덕서우봉해변 - 신흥리마을입구(함덕고) - 조천리 - 신촌초등학교 - 삼양동주민센터 - 사라봉 - 제주여상 - 동문로터리 - 중앙로사거리 - 제주시청 - 제주여중고 - 아라초등학교 - 제주대학교병원 정문 || == 개요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간선버스 노선으로, 삼영교통에서 운행한다. 왕복 운행거리는 45.4km다. [[http://naver.me/FjEtXAQo|전체 정류장 목록]] == 역사 == * 옛 제주시 시내버스 업체였던 한일여객, 대화여객 시절부터 운행해 온 역사와 전통을 가진 노선으로, 수많은 시내버스 개편에도 불구하고 수십년간 노선변경이 거의 없는 노선 중 하나였다. 이 노선의 존재로 인해 구 북제주군 조천읍에 속했던 조천, 함덕이 예전부터 제주시 생활권 내에 편입될 수 있었다. * 2017년 8월 26일 버스 개편으로 폐선되었는데 함덕에서 중앙로 방면으로 가는 버스가 없어 주민들의 불편이 컸다.[* 엄밀히 따지면 312번이 일부 구간을 대체했으나 배차 간격이 너무 길었고, 특히 삼화지구로 돌아가기 때문에 조천읍과 삼양동, 화북동, 건입동 등 주민들의 강력한 민원과 항의로 인한 것이다.] 이후 2017년 11월 23일부터 이 노선이 기존 5개 회사에서 삼영교통으로 운행업체를 변경한 후 이 노선을 인수해 다시 운행 중이다. 단, 종점은 제주대학교가 아닌 제주대학교병원 내부로 단축되었다. [[http://bus.jeju.go.kr/notice/detail?noticeId=127|제주특별자치도 공지사항]] * 2021년 1월 22일부터 운행시간표 변경되었다. [[http://bus.jeju.go.kr/notice/detail?noticeId=347|제주특별자치도 공지사항]] == 특징 == * 2017년 개편 전 구.10번 노선 대부분을 계승한 노선이다. 옛 480번 노선 대체를 겸한 노선이라서 종점이 제주대학교가 아닌 [[제주 버스 370|370번]]과 마찬가지로 제주대학교병원 정문까지 운행한다. 다만 운행 횟수도 구.10번과는 달리 1일 17회에 불과하여 시간이 안맞으면 큰 길로 나와서 다른 노선을 이용해야하는 불편이 있다. 과거 10번 버스때에는 배차간격이 매우 짧았으며, 중앙로사거리 가는 것이 편리했었다. 그렇기 때문에 조천읍 지역이 목적지인데 시간이 맞지 않을 경우, 제주시청에서는 [[제주 버스 300|300번]], [[제주 버스 311, 312|311번]], [[제주 버스 341, 342, 348, 349|341, 342, 348, 349번]]을 이용하면 되며, 중앙로사거리에서는 [[제주 버스 311, 312|312번]]을, 동문로터리에서는 312번, [[제주 버스 325, 326|325, 326번]]을 이용하면 된다. * 이 노선과 [[제주 버스 370|370번]], [[제주여객]]의 [[제주 버스 315|315번]], [[제주 버스 316|316번]], [[제주 버스 341, 342, 348, 349|341, 342, 348, 349번]] 노선들은 모두 [[에디슨 화이버드|에디슨 e-화이버드]] 전기버스를 투입해 운행중이다. 전기버스 충전소는 제주대학교병원 대형버스 전용 주차장에 위치해있다. === 시간표 === [[http://bus.jeju.go.kr/schedule/view/380#|380번 노선 시간표]] == 주요 관광지 == 제주민속자연사박물관, 삼성혈, 제주 중앙지하상가, 관덕정(제주목관아지), 제주동문시장, 칠성로 쇼핑거리, 산지천, 사라봉, 국립제주박물관, 삼양검은모래해변, 삼양동 선사 유적지, 조천만세동산, 제주항일기념관, [[함덕서우봉해변]], 함덕민속오일시장, 제주 올레길 17, 18, 19코스 [[분류:제주특별자치도의 간선버스]][[분류:2017년 개업한 버스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