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제주특별자치도 지선버스)] ||[[파일:삼화여객_446_3812.jpg|width=100%]] ||[[파일:447(도평).png|width=100%]]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제주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width=40]] {{{#ffffff 제주시 지선버스 446번}}} || ||<-2> 기점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아라일동(제주대학교)[br]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월평동(월평마을) ||<-2> 종점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도평동(도평마을) || ||<|2> 종점행 || 첫차 || 06:00(제주대학교)[br]08:00(월평마을) ||<|2> 기점행 || 첫차 || 06:10 || || 막차 || 17:05(월평마을)[br]21:20 || 막차 || 19:20[br]21:40(제대병원종료) || ||<-2> 배차간격 ||<-4> 1일 10~11회 운행 || ||<-2> 운수사명 || [[삼화여객(제주)|삼화여객]] ||<-2> 인가대수 || 3대 || ||<-2> 노선 ||<-4> [[제주대학교]]/[[제주중앙고등학교|월평마을]] - [[제주대학교병원]][* 제주대 방면 한정] - 제주시청 - 중앙로사거리 - 용담사거리 - 용문마을회관 - 월성마을 - 신제주로터리(제주도청) - 삼무공원 - 한라병원 - 노형우체국 - 백록초등학교 - 월랑로입구 - 도리초등학교 - 이호테우해변 - 외도부영아파트 - 도평마을 || ||<-6> [[파일:제주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width=40]] {{{#ffffff 제주시 지선버스 447번}}} || ||<-2> 기점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아라일동(제주대학교) ||<-2> 종점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도평동(도평마을) || ||<|2> 종점행 || 첫차 || 05:55 ||<|2> 기점행 || 첫차 || 05:55 || || 막차 || 21:30 || 막차 || 19:40 [br] 21:40(제주시청 종료) || ||<-2> 배차간격 ||<-4> 1일 14회 || ||<-2> 운수사명 || [[삼화여객(제주)|삼화여객]] ||<-2> 인가대수 || 3대 || ||<-2> 노선 ||<-4> 제주대학교 - 제주대학교병원 - 제주시청 - 중앙로사거리 - 용담사거리 - 사대부고 - 해안도로 - 어영마을 - 도두동 - 이호테우해변 - 외도부영아파트 - 도평마을 || == 개요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지선버스 노선으로 삼화여객에서 운행한다. [[http://naver.me/xbBrfKye|446번 전체 정류장 목록]], [[http://naver.me/51JTeLLm|447번 전체 정류장 목록]] == 역사 == * 446번 노선의 경우, 대화여객 시절부터 운행해온 36번 노선이며, 2005년 7월 삼영교통이 이 노선을 인수하는 동시에 약간의 노선 변동이 있었는데 기존 하귀리까지 운행하던 노선이 외도부영아파트까지로 단축되었고, 월평 방향은 공항을 미경유하였으나 양방향 공항 경유로 변경되며 2017년 8월까지 운행했다. * 2017년 8월 26일 제주 버스 개편에 따라 폐선되었지만 승객들의 많은 불만 등으로 얼마 못 가 다시 운행이 재개되면서 446번이 생겼다. [[파일:[110124]제주시내버스 7번.jpg]] * 447번 노선의 경우, 2003년 제주시 공영버스가 출범하면서 7번 노선으로 운행을 시작한 노선이다. 첫 운행 당시와 지금의 노선과 100% 동일하며, 제주시 공영버스 노선 중에서 수요가 가장 많았다. * 2012년 5월 21일 시내버스 2차 개편 때 이 노선이 금남여객과 삼화여객에 이관되었고, 대신 [[제주 버스 30|30번]]을 운행하게 되었다. * 2017년 8월 26일 제주 버스 개편으로 폐선되었으나, 얼마 못 가서 2017년 9월 11일 다시 운행을 재개했다. == 특징 == * 446번 노선의 경우, 구. 36번을 이어 받았으며, 외도에서 출발하고 이호동, 도두동에서 노형지구와 한라병원, 신제주로터리를 경유하며, 중앙로, 시청 등을 거치고 제주대/월평으로 간다. 공항을 경유했던 구. 36번과는 달리 446번은 구. 6번 구간이었던 신제주로터리 - 월성마을 - 용담사거리로 이어준다. 신제주 구간은 구. 31번을 대체했으며 노형지구를 거치고 간다.[* 참고로 구. 36번의 신제주 구간은 현재 [[제주 버스 370|370번 버스]]가 대체했다.] 등하교 시간대에 승객이 많은 편이며 등하교 시간대에는 제주대 종점이 아닌 월평 종점이다. 사실상 이 노선 덕분에 365번 버스가 월평 운행할 필요가 없어지게 되었다.[* 구. 36번 시절에는 종점이 월평이었으며, 구. 500번 버스가 월평 운행할 필요가 없었다.] * 447번 노선의 경우, 용담동 사대부고, 용담동 해안도로(제주국제공항 북쪽 도로), 어영마을 일대에서 도심(중앙로사거리, 제주시청)과 제주대학교를 이어주며, 17번이 운행하기 전까지 용담사거리 ~ 해안도로 ~ 어영마을 구간을 유일하게 지나는 노선이었다. 이후 17번이 신설되면서 어느 정도 과밀 수요를 분담하게 되었으며, 이후 2017년 개편 때 잠시 폐선되긴 했으나 이호동, 도두동, 용담동 주민들의 강력한 항의로 다시 운행을 재개했다. === 시간표 === 446번: [[http://bus.jeju.go.kr/schedule/view/446#|446번 노선 시간표]] 447번: [[http://bus.jeju.go.kr/schedule/view/447#|447번 노선 시간표]] == 주요 관광지 == 446번: 이호테우해변, 제주시민속오일장, 용두암(용연폭포, 용연구름다리), 관덕정(제주목관아지), 제주중앙지하상가, 동문시장, 삼성혈 447번: 삼성혈, 제주중앙지하상가, 서문시장, 관덕정(제주목관아지), 용두암(용연폭포, 용연구름다리), 용담레포츠공원, 용담~이호 해안도로, 도두항, 이호테우해변, 제주 올레길 17코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제주 버스 447, version=92)] [[분류:제주특별자치도의 지선버스]][[분류:2003년 개업한 버스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