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제주특별자치도 지선버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wdo-eb7.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SC05347.jpg|width=100%]]}}}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제주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width=40]] {{{#ffffff 제주특별자치도 마을버스 우도 해안길 순환(하우목동항)}}} || ||<-2> 기점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우도면 연평리(하우목동항) ||<-2> 종점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우도면 연평리(하우목동항) || ||<|2> 종점행 || 첫차 || 08:30 ||<|2> 기점행 || 첫차 || - || || 막차 || 17:30 || 막차 || - || ||<-2> 평일배차 ||<-4> 1일 10회 || ||<-2> 운수사명 || 우도사랑협동조합 ||<-2> 인가대수 || 통합 20대 || ||<-2> 노선 ||<-4> 하우목동항 - 상우목동해녀탈의장 - 산호사물코 - 서천진동탈의장 - 넓데기 - 동천진동항 - 우도봉 - 검몰레 - 영일동해녀탈의장 - 우도땅콩마을 - 영일동너른구미 - 비양동해양광장 - 비양도입구 - 비양동해수욕장물코 - 하고수동해수욕장탈의장 - 하고수동해녀탈의장 - 상고수동해녀탈의장 - 초소 - 삼양동해녀탈의장 - 전흘동망루 - 전흘동해녀탈의장 - 전흘동광장 - 주흥동해녀탈의장 - 주흥동곤여물통 - 주흥동당알 - 하우목동항 || ||<-6> [[파일:제주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width=40]] {{{#ffffff 제주특별자치도 마을버스 우도 해안길 순환(동천진동항)}}} || ||<-2> 기점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우도면 연평리(동천진동항) ||<-2> 종점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우도면 연평리(동천진동항) || ||<|2> 종점행 || 첫차 || 08:00 ||<|2> 기점행 || 첫차 || - || || 막차 || 17:30 || 막차 || - || ||<-2> 평일배차 ||<-4> 1일 11회 || ||<-2> 운수사명 || 우도사랑협동조합 ||<-2> 인가대수 || 통합 20대 || ||<-2> 노선 ||<-4> 동천진동항 - 우도봉 - 검몰레 - 영일동해녀탈의장 - 우도땅콩마을 - 영일동너른구미 - 비양동해양광장 - 비양도입구 - 비양동해수욕장물코 - 하고수동해수욕장탈의장 - 하고수동해녀탈의장 - 상고수동해녀탈의장 - 초소 - 삼양동해녀탈의장 - 전흘동망루 - 전흘동해녀탈의장 - 전흘동광장 - 주흥동해녀탈의장 - 주흥동곤여물통 - 주흥동당알 - 하우목동항 - 상우목동해녀탈의장 - 산호사물코 - 서천진동탈의장 - 넓데기 - 동천진동항 || ||<-6> [[파일:제주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width=40]] {{{#ffffff 제주특별자치도 마을버스 우도 마을안길 순환}}} || ||<-2> 기점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우도면 연평리(동천진동항) ||<-2> 종점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우도면 연평리(동천진동항) || ||<|2> 종점행 || 첫차 || 06:25 ||<|2> 기점행 || 첫차 || - || || 막차 || 16:25(동절기)[br]17:25(하절기) || 막차 || - || ||<-2> 평일배차 ||<-4> 1일 11회 || ||<-2> 운수사명 || 우도사랑협동조합 ||<-2> 인가대수 || 3대 || ||<-2> 노선 ||<-4> 동천진동항구 → 우도봉입구 → 영일동 → 조일리사무소 → 하고수동 → 상고수동 → 삼양동 → 전흘동 → 주흥동 → 중앙동 → 면사무소 '''→ 서광리사무소 → 하우목동항구 → 상우목동 → 서천진동 → 천진리사무소 →''' 동천진동항구 __→__ 면사무소 → 중앙동 → 주흥동 → 전흘동 → 삼양동 → 상고수동 → 하고수동 → 조일리사무소 → 영일동 → 우도봉입구 → 동천진동항구 || ||<-6> [[파일:제주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width=40]] {{{#ffffff 제주특별자치도 마을버스 우도 관광지 순환}}} || ||<-2> 기점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우도면 연평리(하우항)[br]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우도면 연평리(천진항) ||<-2> 종점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우도면 연평리(하우항)[br]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우도면 연평리(천진항) || ||<|2> 종점행 || 첫차 || 08:20 ||<|2> 기점행 || 첫차 || - || || 막차 || 17:20(하절기)[br]16:00(동절기)[* 상세 월별 막차는 [[https://udoebus.modoo.at/?link=1d6g4zxz|여기]] 참조.] || 막차 || - || ||<-2> 배차간격 ||<-4> 20분 || ||<-2> 운수사명 || 우도사랑협동조합 ||<-2> 인가대수 || 2대 || ||<-2><|2> 노선 ||<-4> (홀수일)하우항 → 산호사해변 → 천진항 → 톨칸이 → 우도봉 입구 → 검몰레 → 우도 땅콩마을 → 비양도 입구 → 하고수동해수욕장 → 하우항 || ||<-4> (짝수일)천진항 → 산호사해변 → 하우항 → 하고수동해수욕장 → 비양도 입구 → 우도 땅콩마을 → 검몰레 → 우도봉 입구 → 톨칸이 → 천진항 || ||<-6> '''볼드체''' 구간은 1회차 단독 경유 구간, __밑줄__은 2회차 단독 경유 구간이다. || == 개요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우도 마을버스 노선들로 우도사랑협동조합이 운행한다. == 역사 == * 2018년 4월 11일 우도사랑협동조합에 의해 개통되었다. == 특징 == * 해안길 순환 노선의 경우, 하우목동항 또는 동천진동항을 기종점으로 하여 순환 운행한다. * 마을안길 순환 노선은 해안길 순환 노선이 항구를 기종점으로 하여 순환하는 것과는 달리 마을 중심부까지도 운행하여 실질적으로 마을 주민들이 자주 이용하는 노선이다. * [[BYD eBus-7|소형 전기버스]][* 지금은 eBus-7이 투입 중이고, 예전엔 카운티가 투입되었다.]가 운행에 투입되며, 추자도 마을버스와 같이 제주특별자치도 지선버스 도색을 사용하지 않고 독자 도색을 사용한다. * 번호가 있지만 추자도 마을버스처럼 BIS에서 조회가 되지 않는다. * 우도 관광지 순환버스의 경우, 전국에서 유일하게 [[BYD eBus-9]] 고상차량을 운행한다. * 요금은 마을버스 도서지역 요금과 똑같고, 1일권은 일반 8천원, 청소년 7천원, 어린이 5천원이다. * 해안길 순환 노선의 경우, 편의상 2개의 노선번호가 임의 부여되었으나 제주특별자치도에서는 하나의 노선으로 관리한다. * 마을안길 순환 노선 또한 편의상 924번이라는 노선번호가 부여되었으나, 이는 한정면허 섬 지역 마을버스 노선에는 노선번호가 부여될 수 없다는 방침상 시간표 등록만을 위해 행정편의상 부여된 노선번호이다. === 시간표 === [[http://bus.jeju.go.kr/schedule/view/921|하우목동항 기점 해안길 순환 노선 시간표]] [[http://bus.jeju.go.kr/schedule/view/922|동천진동항 기점 해안길 순환 노선 시간표]] [[http://bus.jeju.go.kr/schedule/view/924|마을안길 순환 노선 시간표]] [[https://udoebus.modoo.at/?link=1d6g4zxz|우도 관광지 순환 노선 시간표]]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서, title=제주 버스 922, version=5)]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서, title=제주 버스 924, version=6)]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서, title=제주 버스 우도순환, version=11)] == 주요 관광지 == 우도 관광지 순환 노선: 훈데르트바서파크, 우도봉, 우도땅콩마을, 비양도[* 제주시 한림읍 비양도와는 전혀 다른 섬이다.], 하고수동해수욕장, 산호사해변 [[분류:제주특별자치도의 마을버스]][[분류:마을버스]][[분류:2018년 개업한 버스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