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한민국의 지정항)] ||<-2> '''{{{#fff {{{+2 제주항}}}}}}[br]{{{#fff Jeju Port | 濟州港}}}''' || ||<-2>{{{#!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장소=제주항, 너비=100%, 높이=100%)]}}}|| || '''국가'''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소재지'''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건입동]] || || '''개항''' ||[[1927년]] [[5월]] || || '''링크''' ||[[https://jeju.ferry.or.kr/|홈페이지]] || [목차] [clearfix] == 개요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에 위치한 [[국제무역항]]. 섬의 북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무역, 국내 물류, 여객 수송의 역할을 모두 전담하는 항구로서, [[제주국제공항]]과 함께 '''[[제주도]]의 주요 관문이다.''' [[서귀포시]]의 [[제주민군복합형관광미항]]과는 완전히 다른 항구이다. 국내 물류항으로의 제주항은 [[제주도]]로 출입하는 물동량의 약 70%를 담당한다. 육지로부터 들여오는 온갖 식품, 공산품, 우편물과 택배들은 거의 전부 제주항을 통해 들어온다. 관광항으로서의 제주항은 [[1977년]]의 내항 정비 사업 이후 대형 쾌속 카페리가 취항하고 있다. [[2014년]] 4월 [[청해진해운 세월호 침몰 사고]] 이후로 해상 여객 수송에 대한 불안감이 팽배하여 한때 상당히 위축되기도 했으나, 이사, 차량 탁송 등을 위한 수요는 꾸준히 있어 전술한 사고로 인해 한동안 여객수송이 운영되지 않았던 인천노선을 제외하면[* 다만 화물선은 운영된다. 다만 이 화물선을 이용하려면, 일반인들은 [[인천항]]에 직접 문의하여야 하며, 해운사로부터 거절당할 수도 있다.] 목포, 여수, 완도, 녹동(고흥), 우수영(해남), 진도, 부산, 삼천포(사천) 등 남해안 각지로 취항하는 여객선들은 물동량 증대에 힘입어 여전히 성업중이다. 2021년 12월 10일에 인천에서 제주로 가는 여객선 항로가 개통이 되었다. 일제강점기에는 제주와 무려 일본 오사카를 오가는 정기선 [[제주도-오사카 연락선|군대환]]이 1920년대부터 제주항에 취항했다. 군대환을 통해 많은 제주인들이 일본으로 건너갔고 지금도 오사카에는 적어도 제주출신 재일한국인과 그 후손이 10만 명 이상 거주중이다. 제주항 인근에는 [[사라봉]] 오름이 있어서 한반도로부터 제주도로 접근하는 항공기, 선박을 감시할 수 있는 전략적 요충지로 중요시되어 왔고[* [[제주국제공항|제주공항]]에서 이착륙하는 항공기를 관찰하기 용이해서, 항덕, 선박덕들이라면 방문할만 하다. 비슷한 장소로 제주시 삼양동의 원당봉 오름 전망대, 제주시 서쪽 이호테우 해변의 엔젤리너스 커피가 있다.], 과거에는 봉수대가 있었으며, 오늘날에도 제주항 운영을 위한 등대가 운영되고 있다. 그러나 일반인들의 출입이 금지된 곳은 아니다.[* 사라봉 중턱에 있는 제주항 등대는 심지어 십수년 전부터 일반인들이 등대 부지내 관사에서 일종의 체험으로 비용을 내고 숙박이 가능하다. 초창기에는 예약이 쉬웠지만 최근에는 수 개월을 기다려야 한다.] 사라봉 오름은 [[제주시]] 전역에서 눈에 잘 띄기 때문에, 제주항이 어느 방향에 있는지는 제주시에서 쉽게 찾을 수 있다. 참고로 사라봉에서 보는 일몰이 일품이다. 사봉낙조라 하여 영주십경에도 들어간다. 제주도민들 및 일반적인 제주 방문객들, 많은 관광객은 대체로 비행기를 이용하고 여객선은 비교적 소수의 관광객들이 주로 이용하며, 제주도를 관광객이 시내버스로 다니는 경우는 더욱 적으므로 시내버스들의 배차간격이 영 좋지 않다. 2020년대에 들어 [[인천항|인천]], [[삼천포]] 등 단항되었던 항로의 복원으로 인해 여객선 항로가 증가함에 따라, 심각한 선석부족에 시달리고 있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성산항|성산포항]] 등으로 취항하는 여객선을 늘려보려는 움직임이 있지만 선사들은 시큰둥 한 듯.[* [[성산항|성산포항]]으로 취항했던 육지-제주 간 연안여객선은 장흥 노력항-성산포 간 오렌지호와 고흥 녹동-성산포 간 썬라이즈 제주가 있었다. 당연하지만 [[제주시]] 시내로 바로 들어올 수 있는 제주항과는 달리, [[성산항|성산포항]]은 다소 외진 위치이기 때문에 수요가 적을 수밖에 없다. 성산포항이 비록 제주 시내 대비 관광 수요는 많지만 물류 수요는 턱없이 적은 지역으로, 빠르고 장소에 구애를 덜 받고 심지어 더 저렴할 때도 있는 비행기를 굳이 마다하고 여객선을 타는 이유가 육지와 제주를 오가는 화물차 및 그 차주들의 수요가 절대적으로 많아서인데 그들이 제주 시내와 붙어있는 제주항 대신 성산에 내려서 1시간 30분 이상 걸리는 제주 및 서귀포 중심 지역까지 운전해서 가야 하는 걸 반길 리가 없다. 다만 장흥과 제주를 잇던 오렌지호의 경우 비록 제주항이 아닌 성산포항을 이용했지만, 제주행 여객선 최초의 쾌속선으로 운항 개시 당시 육지-제주 최단 시간을 자랑하여 큰 센세이션을 불러일으키기도 했다.] 그렇다보니, 최대한의 선석확보를 위해 일부 여객선이 제주항 정박 후 승객과 화물을 내리고 다시 배를 빼서 다시 출항하는 시간까지 근해에 투묘(닻을 내린) 후 대기하는 방식으로 운영중이다.[* 다만 이 방식의 치명적인 단점은 선석에 먼저 도착해야 할 여객선이 지연될 경우, '''그 뒤에 이어서 들어올 여객선까지 처참하게 지연된다'''는 것이다. 전형적인 [[빗자루질(교통)|빗자루질]]에서 나타나는 폐해 중 하나다.] == 제주항 연안여객터미널 == [[전라남도]] [[목포시]], [[여수시]], [[완도군]], [[고흥군]], [[해남군]], [[진도군]], [[추자도]], ~~[[인천광역시]],~~ [[부산광역시]], [[경상남도]] [[사천시]]를 오가는 노선이 운항한다. 자세한 내용은 [[제주특별자치도/교통]] 항목을 참조. == 제주항 국제여객터미널 == [include(틀:국제여객터미널)] 1989년 건립된 여객 시설. 현재 [[크루즈(선박)|크루즈선]]만 부정기적으로 정박하며, 중국과 일본행 정기편은 초기에 운행되다 이내 이용객 저조로 중단되었다. 2020년 [[코로나 19]]로 인한 크루즈선 운항 전면 중단 이후, 국내를 운항하는 대형 [[카 페리]] 선박들이 이곳에서 출도착 여객을 처리하고 있다. 사실 그 이전에도 기존 연안여객터미널의 포화로 인해 이곳을 사용 중이었다. [[분류:대한민국의 항구]][[분류:제주시]][[분류:제주특별자치도의 교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