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스트리트 파이터 시리즈/등장인물/대사 일람]]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제쿠)] [목차] == 개요 == [[스트리트 파이터 시리즈]]의 등장인물 [[제쿠]]의 대사를 정리한 문서. == 기술 대사 == == 승리 대사 == === [[스트리트 파이터 5]] 시리즈[anchor(SF5승리대사)] === [include(틀:스트리트 파이터 5/캐릭터별 승리대사 모음)] 출처는 [[http://bbs.ruliweb.com/game/pc/82821/board/read/9414417|이곳.]] 고전을 인용한 대사가 많다. * 범용 승리대사 * 범용 1: 꽃은 반쯤 피었을 때가 좋고, 술은 조금 취했을 때가 좋은 법...[* 채근담(菜根譚)에 나오는 구절 '花看半開,酒飲微醉(화간반개, 주음미취)'에서 나온 대사로, '물건과 일은 완벽하지 않은 것이 차라리 가치가 있다는 의미.] * 범용 2: 승리의 조건이 많은 자는 이기고, 적은 자는 지는 법...[* [[손자병법]]에 나오는 명언 중 하나.] * 범용 3: 인생은 백 년 뿐일진대, 이 하루는 너무도 쉽게 지나가는 법...[* 채근담(菜根譚)에 나오는 구절 '人生只百年,此日最易過(인생지백년, 차일최이과)'에서 나온 대사.] * 범용 4: 젊을 때에는 모름지기 노쇠한 처지의 괴로움을 생각해야 하는 법...[* 채근담(菜根譚)에 나오는 구절 '當少壯之時,須念衰老的辛酸(당소장지시, 순념쇠로적신산)'에서 나온 대사.] * 범용 5: 술은 훌륭한 것만 찾지 않으면 술독 또한 비지 않는 법...[* 채근담(菜根譚)에 나오는 구절 '酒不求冽而樽亦不空(주불구렬이준역불공)'에서 나온 대사.] * 캐릭터별 승리대사 * [[류(캡콤)|류]]: 배움에는 실천이 따라야 하는 법...[* 전습록(傳習錄)에 나오는 구절 '人須磨在事上(인순마재사상)'에서 나온 대사.] * [[켄 마스터즈]]: 담력은 크게 가지되, 마음은 섬세히 가져야 하는 법...[* [[구당서]]에 나오는 구절 '胆大心小(담대심소)'에서 나온 대사.] * [[춘리]]: 꽃이 필 때면 비바람도 잦아지는 법...[* 한시 중 '花發多風雨,人生足別離(화발다풍우, 인생족이별)'에서 나온 문구로, 제쿠가 읊는 부분은 앞의 다섯 글자.] * [[캐미 화이트]]: 쑥이 삼밭에 나면 붙들어 주지 않아도 스스로 곧게 자라는 법...[* [[순자]]에 나오는 구절 중 '줄기가 꼬불꼬불한 쑥이라도 곧게 하늘을 향해 뻗어나가는 삼베 속에 있으면 저절로 곧게 뻗어나간다.'는 의미의 구절에서 나온 대사.] * [[찰리 내쉬]]: 삶을 아직 알지 못하면서 어찌 죽음을 알리오...[* [[논어]]에 나오는 구절 '未知生,焉知死(미지생, 언지사)'에서 나온 대사. 그러나 [[찰리 내쉬]]는 [[스트리트 파이터 제로 2|스트리트 파이터 제로 시리즈]]에서 [[베가(캡콤)|베가]]에게 살해당했다가 [[스트리트 파이터 5 챔피언 에디션|스트리트 파이터 5]]에서 [[길(캡콤)|길]]의 비밀 결사의 실험체인 [[일레븐(캡콤)|일레븐]]의 기술력을 통해 시한부로 부활한지라 삶보다는 죽음을 더 잘 알고 있다.] * [[베가(캡콤)|베가]]: 훌륭한 장수는 위엄과 애정을 갖춰야 하는 법...[* 진나라의 병법서에 나온 구절 '善將者愛與威而己(선장자애여위이기)'에서 나온 대사.] * [[발로그]]: 욕심이 사나운 불길과 같구나...[* 채근담(菜根譚)에 나오는 구절 '嗜欲如猛火(기욕여맹화)'에서 나온 대사.] * [[버디(캡콤)|버디]]: 온종일 배불리 먹고 마음을 쓰는 데가 없다면 그야말로 곤란한 법...[* [[공자]]의 어록 중 하나인 '飽食終日,無所用心,難矣哉(포식종일, 무소용심, 난의재)'에서 나온 대사.] * [[칸즈키 카린]]: 너그럽되 두려움을 주고, 엄하되 사랑받도록 해야 하는 법...[* [[논어]]에 나온 구절 '寬而見畏,嚴而見愛(관이견외, 엄이견애)'에서 나온 대사.] * [[레인보우 미카]]: 후세의 사람들이 지금보다 못할지 어찌 알리오...[* [[논어]]에 나온 구절 '焉知來者之不如今也(언여래자지불여금야)'에서 나온 대사.] * [[장기에프]]: 작은 일에 연연하지 않고 넓은 도량을 지니는 것은 이류의 자질일 터...[* 신음어(呻吟語)에 나온 구절 중 하나에서 나온 대사. 호방뇌락(豪放磊落), 즉 작은 일에는 구애받지 않는 기량이 있는 성격은 리더에게 요구되는 소질 중에서는 두 번째라는 의미.] * [[달심]]: 태어나자마자 이치를 터득하는 자는 없을 터...[* [[논어]]에 나온 구절 '我非生而知之者(아비생이지지자)'에서 나온 대사.] * [[라시드(캡콤)|라시드]]: 가난하면서 원망하지 않기는 어려우나, 부유하면서 교만하지 않기는 쉬운 법...[* [[논어]]에 나오는 구절 중 하나로, 가난한 자는 운명과 사회를 원망하지 않는 것은 힘들지만, 부유한 자가 자만심을 억제하는 것은 비교적으로 쉽다는 의미.] * [[라라 마츠다]]: 꽃이 활짝 핀 곳에서는 눈을 높이 둬야 하는 법...[* 채근담(菜根譚)에 나오는 구절 '花濃柳艶處,要着得眼高(화농류염처, 요착득안고)'에서 나온 대사.] * [[F.A.N.G]]: 살무사를 아무리 사랑하여도 쓰다듬으면 그 독에 해를 입을 터...[* 신음어(呻吟語)에 나온 구절 중 하나에서 나온 대사. '호랑이나 표범이 싫다고 때리면 물리고 말 것이다. 소인은 멀리하지도 말고 가까이 하지도 말라.'라는 의미.] * [[네칼리]]: 생겨난 것은 모두 사라지게 되어 있는 법...[* [[백거이]]에 나온 구절 '有起皆因滅(유기개인멸)'에서 나온 대사.] * [[알렉스(캡콤)|알렉스]]: 배를 삼킬 만한 큰 물고기는 작은 시내에서 놀지 않는 법...[* [[열자]]에 나온 구절 중 하나에서 나온 대사. 큰 인물은 하찮은 사람과 사귀지 않고, 고원한 뜻을 품은 자는 작은 일에 상관하지 않는다는 의미.] * [[가일]]: 원한은 은덕으로 갚아야 하는 법...[* [[논어]] 중 『憲問篇(헌문편)』에 나온 구절 중 하나에서 나온 대사. 혼쭐이 나서 원한을 품을 상대라도 앙갚음을 할 것이 아니라 용서의 마음으로 따뜻하게 대해야 한다는 의미.] * [[이부키(캡콤)|이부키]]: 진실로 하루가 새로워지려면, 나날이 새로워져야 하는 법...[* [[사서오경]]에 기록되어 있는 [[탕왕]]의 구절 '求日新,日日新,又日新(구일신, 일일신, 우일신)'에서 나온 대사.] * [[마이크 바이슨]]: 까닭 없는 이득은 인간 세상의 함정인 법...[* 채근담(菜根譚)에 나오는 구절 '無故之獲,(非造物之釣餌)即人世之機妌(무고지획, (비조물지조이) 즉인세지기정)'에서 나온 대사.] * [[한주리]]: 즐거움을 쫓는 마음에 이끌리면 도리어 괴로운 곳에 있게 되는 법...[* 채근담(菜根譚)에 나오는 구절 '却被樂心引在苦處(각피락심인재고처)'에서 나온 대사.] * [[유리안]]: 비록 군자라 해도 어질지 못한 사람은 있는 법...[* [[논어]]에 나온 구절 '君子而不仁者有矣夫(군자이불인자유의부)'에서 나온 대사.] * [[고우키]]: 높이 뜨면 기울고 차면 이지러지니, 이것이 천지의 이치인 법...[* [[회남자]]에 나오는 구절 '天地之道,極則反,盈則損(천지지도, 극즉반, 영즉손)'에서 나온 대사.] * [[콜린(캡콤)|콜린]]: 마음이 각박한 사람은 겨울 눈보라처럼 만물을 얼어붙게 만드는 법...[* 채근담(菜根譚)에 나오는 구절 '念頭忌刻的,如朔雪陰凝(萬物遭之而死)(념두기각적, 여삭설음응 (만물조지이사))'에서 나온 대사.] * [[에드(캡콤)|에드]]: 어려운 상황에 처했다고 구차하게 피하려 해서는 아니 되는 법...[*A [[예기]]에 나오는 구절 '臨難母苟免(임난모구면)'에서 나온 대사. 어떤 어려움이 닥치더라도 도망치지 말고 그때 상황에 따라 임기응변으로 대처하면 된다는 의미.] * [[아비게일(캡콤)|아비게일]]: 호랑이를 때려잡고 강을 건너다 죽어도 후회 없는 자와는 함께할 수 없는 법...[* [[논어]]에 나오는 구절 '暴虎憑河(폭호빙하)'에서 나온 대사.] * [[메나트]]: 먼 앞날을 염려하지 않으면 가까운 때에 근심이 생기는 법...[* [[논어]]의 구절 중 하나에서 나온 대사. 눈앞의 일에만 매달려 먼 장래의 일을 생각하지 않고 있으면 가까운 장래에 반드시 걱정거리가 생긴다는 의미.] * [[제쿠]](동캐전): 스스로에게 엄격하고 남을 탓하지 않으면 원망을 들을 일도 없는 법...[* [[논어]]에 나오는 구절 '躬自厚,而薄責於人,則遠怨矣(궁자후, 이박책어인, 즉원원의)'에서 나온 대사.] * [[카스가노 사쿠라]]: 봄날은 영원토록 이어지리라...[* 중국의 시 『석춘(惜春)』에 나온 구절 '無計延春日(무계연춘일)'에서 나온 대사.] * [[블랑카]]: 숲이 깊어 사람들이 알 리 없을 터...[* 중국의 시 『죽리관(竹里館)』에 나온 구절 '深林人不知(심림인부지)'에서 나온 대사.] * [[팔케(캡콤)|팔케]]: 이것도 의(義)를 저버리지 않기 위함인가...[*A][* 도망치는 것은 의(義)를 저버리는 행위라는 의미.] * [[코디 트래버스]]: 결백은 추악함을 스스로 드러내는가...[* 채근담(菜根譚)에 나오는 구절 '固知潔常自汚出(고지결상자오출)'에서 나온 대사.] * [[G(캡콤)|G]]: [[색즉시공]]이라...[* [[G(캡콤)|G]]가 [[색즉시공 공즉시색]]이라는 말이 자신을 가리키는 말이라고 한 말에 대한 반응이다.] * [[사가트]]: [[카게나루모노|악마]]를 항복시키려 하는 자는 먼저 스스로의 마음을 다스려야 하는 법...[* 채근담(菜根譚)에 나오는 구절 '降魔者,先降自心(항마자, 선항자심)'에서 나온 대사.] * [[카게나루모노]]: 죽어도 사라지지 못하는 자, 망령인가...[* 『[[노자]]-33장』에 나온 구절 '死而不亡者壽(사이불망자수)'에서 나온 대사.] * [[포이즌(캡콤)|포이즌]]: 오래된 술은 마셔야 하고, [[휴고(캡콤)|오래된 벗]]은 믿어야 하는 법...[* 무라마츠 코즈에카제(村松梢風)의 책에 나온 구절 '古酒可飲,舊友可親(고주가음, 구우가친)'에서 나온 대사.][* [[포이즌(캡콤)|포이즌]]의 캐릭터 스토리에서 [[휴고(캡콤)|휴고]]는 포이즌과의 혹독한 훈련을 감당하지 못하고 이탈했던 전력이 있었다. 포이즌이 이에 대해서 "멍텅구리"라면서 외면하고 신랄하게 까는 것에 관해서 언급하는 말이기도 한 듯.] * [[에드먼드 혼다]]: 피는 모란보다 지는 벚꽃으로 불리고 싶은가...[* 일본의 조슈 번사에서 활약한 히사사카 겐세(久坂玄瑞)의 노래로 알려진 가사에서 나온 대사.] * [[루시아 모건]]: 남에게 보이지 않게 받아들이고, 보이도록 발산하는 것인가...[* 일본의 소설가이자 무사였던 코지마 츠요시(小路実篤)의 구절 '人見るもよし 人見ざるもよし(남이 봐도 좋고, 남이 보지 않아도 좋다)'에서 나온 대사.] * [[길(캡콤)|길]]: 너의 패배는 이미 예견되었던 일...[* 채근담(菜根譚)에 나오는 구절 '知成之必敗(지성지필패)'에서 나온 대사.] * [[세스(캡콤)|세스]]: 목인, 도처에 장애가 있으니...[* 채근담(菜根譚)에 나오는 구절 '便是個木人,處處有碍(편시개목인, 처처유애)'에서 나온 대사.] * [[히비키 단]]: 교묘하게 꾸며낸 말재주와 표정에는 인(仁)이 깃들지 않는 법...[* [[논어]] 중 『학이(學而)』에 나오는 구절 '子曰,巧言令色,鮮矣仁(자왈, 교언영색, 선의인)'에서 나온 대사.] * [[로즈(캡콤)|로즈]]: 이상한 행동과 기괴한 재주는 세상살이에 화근이 되는 법...[* 채근담(菜根譚)에 나오는 구절 '異行奇能,倶是渉世的禍胎(이행기능, 구시섭세적화태)'에서 나온 대사.] * [[오로(캡콤)|오로]]: 옛사람은 황학을 타고 이미 날아가 버렸으니...[* [[최호(북위)|최호]]의 한시 『黄鶴楼(황학루)』에 나온 구절 '昔人已乘黄鶴去(석인이승황학거)'에서 나온 대사.] * [[카자마 아키라]]: 벗이 멀리서 찾아와 주니 어찌 즐겁지 아니하랴...[* [[논어]]에 나오는 구절 '有朋自遠方來,不亦樂乎(유붕자원방래, 불역낙호)'에서 나온 대사.] * [[루크 설리반]]: 어린이는 어른의 씨앗이라...[* 채근담(菜根譚)에 나오는 구절 '子弟者大人之胚胎(자제자대인지배태)'에서 나온 대사.]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제쿠, version=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