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2005년 항공사고]][[분류:조지 W 부시 행정부/항공사고]][[분류:기체 정비 불량으로 인한 항공사고]][[분류:미국의 항공사고]][[분류:A320/사건 사고]] [include(틀:사건사고)]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0926275.jpg|width=100%]]}}} || || '''사고 직전''', [[롱비치]]에서 찍힌 사고기.[* 노즈기어가 90도 꺾여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JetBlue292Landing.jpg|width=100%]]}}} || || 비상착륙하는 모습 || [YouTube(Qf4vGnSmQUE)] ||||<#00529c> {{{#fff '''항공 사건 사고 요약표'''}}} || || '''발생일''' ||[[2005년]] [[9월 21일]]|| || '''유형''' ||노즈 기어 결함 || || '''발생 위치''' ||[[할리우드 버뱅크 공항]] 상공|| ||<#fac832><|2> '''탑승인원''' ||승객: 140명|| ||승무원: 6명|| ||<#4bfa4b> '''생존자''' ||'''탑승객 146명 전원 생존'''|| || '''기종''' ||[[에어버스]] [[A320|A320-232]]|| || '''항공사''' ||[[제트블루]]|| || '''기체 등록번호''' ||N536JB|| || '''출발지''' ||[[할리우드 버뱅크 공항]]|| || '''도착 예정지''' ||[[뉴욕]] [[존 F. 케네디 국제공항]]|| [목차] [clearfix] == 개요 == 2005년 9월 21일, [[할리우드 버뱅크 공항]]을 출발하여 [[존 F. 케네디 국제공항]]으로 비행중이던 제트블루 292편이 노즈기어 고장으로 [[로스앤젤레스 국제공항]]에 비상착륙한 사건. 기장의 능숙한 대처로 큰 사고로 이어지지 않고 탑승객 전원이 생존했다. == 사고진행 == 제트블루 항공 292편은 본래 [[할리우드 버뱅크 공항]][* 밥 호프 공항으로 불리기도 한다.]을 출발해 [[존 F. 케네디 국제공항]]으로 갈 예정이었다. 2005년 9월 21일 오후 3시 17분, 비행기는 정상적으로 이륙하였으나, 이륙 15분 후 조종석 계기판에 착륙 장치가 정상적으로 수납되지 않았다는 경고문이 뜨기 시작했다.[* [[랜딩 기어]] 문서를 보면 알겠지만 랜딩 기어는 비행기가 이륙 하면 동체 안으로 수납되었다가, 착륙할 때 다시 동체 밖으로 나오게끔 되어 있다.] 조종석 내에서는 비행기 외부에 달린 착륙장치를 확인할 수 없었으므로 조종사들은 곧장 관제실에 상황을 알리고 관제실 주변을 낮게 날며 비행기 외부가 어떤 상황인지 확인을 요청했다. 관제실에서는 헬기를 이용해 비행기에 가깝게 접근한 뒤 망원렌즈로 비행기를 촬영하였고, 비행기 전방 착륙장치인 [[랜딩 기어|노즈 기어]], 즉 앞바퀴가 제대로 수납되지 않았음은 물론 심지어 90도로 꺾여있는 상태라는 것을 확인했다. [[비행기 기장|기장]]인 스콧 버크는 이 상태로는 목적지에 도착해 정상적으로 착륙할 수 없다고 판단하였고, 항공기는 [[로스앤젤레스 국제공항]]에 비상착륙을 하러 공항에 접근하기 시작했다.[* 넓고 긴 활주로와 승객 구조를 위한 최신식 설비를 갖추고 있어 [[로스앤젤레스 국제공항]]을 비상 착륙 장소로 결정했다고 한다] 스콧 버크는 우선 착륙에 앞서 착륙 시 충격을 줄일 목적으로 연료를 소모하려 8자로 상공에서 선회를 반복했다. 그 사이 소식을 전해 들은 언론사들은 방송을 멈추고 긴급 생방송으로 상황을 생중계 하기 시작했고, 비행기 내부에 달린 위성 [[TV]]로 [[뉴스]]를 접한 승객들은 패닉에 빠져 유서를 쓰거나 가족들에게 전화를 걸기 시작했다.[* 비행 중이었으므로 당연히 전화는 걸리지 않았다. 다만 죽음에 대한 공포로 인해 이성을 잃은 승객들이 그 사실을 고려하기는 힘들었을 것이다.] 약 세 시간 가량 비행한 끝에 연료를 소진 시킨 후, 기장 스콧 버크는 [[로스엔젤레스 국제공항]] 활주로에 비행기를 천천히 착륙시키기 시작했다. 노즈 기어가 90도로 꺾여있는 상황이었기에 스콧 버크는 메인 기어 접지 후, 그 상태를 최대한 오랫동안 유지하다가 천천히 90도로 꺾여있는 노즈 기어를 지면에 접지시켰다. 어마어마한 속도로 달리는 비행기 때문에 앞바퀴가 지면에 닿자마자 연기가 일어나더니 곧 스파크가 튀고 마침내 불길이 치솟았으나, 다행스럽게도 화재로 번지지는 않았다.[* '''전소되거나 폭발할 수도 있는 상황이었다!'''] 평소보다 더욱 천천히 착륙한 탓에 비행기가 완전히 멈추는데는 평소보다 더 오랜 시간이 걸렸고, 약 3,382m인 활주로를 불과 300m 남겨 놓고 오후 6시 20분에 비행기는 마침내 완전히 정지했다. 비행기가 정지한 후 지면에 긁혔던 노즈 기어는 깔끔하게 일자로 잘린 상태로 발견되었다. 비행기가 멈춘 후, 화재나 기타 추가 피해가 발생하지 않았기 때문에 승객들은 안전하게 계단을 이용해 비행기에서 내렸으며[* 비행기 사고로 비상 착륙하는 경우 보통 [[비상탈출 슬라이드]]를 이용해 비행기에서 내리지만, 이 경우 비행기가 활주로에 무사히 착륙했기 때문에 사용할 필요가 없었다.] 모두 무사히 귀가할 수 있었다. == 사고 후 == 이후 마모 된 씰이 문제의 원인으로 밝혀졌으며, 사고기는 수리 후, 복귀했다.[* 이 항공기는 2023년 10월 기준 아직까지 제트블루에서 '''현역으로''' 운항중에 있다. 여담으로 제트블루가 Canyon Blue라는 별명까지 붙인건 덤이다.] 그리고 해당 노선은 현재 358편으로 변경되었다. == 여담 == * 배우 태린 매닝[* 국내에서는 [[오렌지 이즈 더 뉴 블랙]]의 [[티파니 도깃]]으로 알려져있다.]이 당시 영화 홍보를 위해 비행기에 탑승하고 있었다. * 시나리오 작가 잭 딘 역시 당시 비행기에 탑승하고 있었으며, 이 사건을 계기로 영화 [[데드폴]]의 시나리오를 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