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프 맨쉽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NC 다이노스 외국인 선수)] ---- [include(틀:NC 다이노스 개막전 선발 투수)] ---- ||
'''제프 맨쉽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FFFFFF [[미네소타 트윈스|{{{#FFFFFF 미네소타 트윈스}}}]] 등번호 49번}}}''' || || 크레이그 브레슬로우[br](2008~2009) || {{{+1 →}}} || '''제프 맨쉽[br](2009~2012)''' || {{{+1 →}}} || [[밴스 월리]][br](2013) || ||<-5> '''{{{#C4CED4 [[콜로라도 로키스|{{{#C4CED4 콜로라도 로키스}}}]] 등번호 50번}}}''' || || [[제이미 모이어]][br](2012) || {{{+1 →}}} || '''제프 맨쉽[br](2013)''' || {{{+1 →}}} || [[더스틴 가노]][br](2015) || ||<-5> '''{{{#FFFFFF [[필라델피아 필리스|{{{#FFFFFF 필라델피아 필리스}}}]] 등번호 52번}}}''' || || [[호세 콘트레라스]][br](2010~2012) || {{{+1 →}}} || '''제프 맨쉽[br](2014)''' || {{{+1 →}}} || [[세베리노 곤잘레스]][br](2015~2016) || ||<-5> '''{{{#FFFFFF [[클리블랜드 가디언스|{{{#FFFFFF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등번호 53번}}}''' || || [[크리스 지메네즈]][br](2014) || {{{+1 →}}} || '''제프 맨쉽[br](2015~2016)''' || {{{+1 →}}} || [[그렉 앨런]][br](2017~2018) || ||<-5> '''{{{#FFFFFF [[NC 다이노스|{{{#FFFFFF NC 다이노스}}}]] 등번호 48번}}}''' || || 배준빈[br](2015~2016) || {{{+1 →}}} || '''{{{#00275A 맨쉽[br](2017)}}}''' || {{{+1 →}}} || [[왕웨이중]][br](2018) || }}}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Jeff_Manship_Cleveland_Indians.jpg|width=100%]]}}} || ||<-2> '''{{{+2 제프리 마이클 "제프" 맨십}}}[br]Jeffrey Michael "Jeff" Manship''' || ||<|2> '''출생''' ||[[1985년]] [[1월 16일]] ([age(1985-01-16)]세) || ||[[텍사스|텍사스 주]] [[샌안토니오]]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 '''학력''' ||로날드 레이건 고등학교 - [[노터데임 대학교]] || || '''신체''' ||188cm, 92kg || || '''포지션''' ||[[중간계투]] || || '''투타''' ||[[우투우타]] || || '''프로입단''' ||2006년 드래프트 14라운드 (전체 426번, [[미네소타 트윈스|MIN]]) || || '''소속팀''' ||[[미네소타 트윈스]] (2009~2012) [br][[콜로라도 로키스]] (2013) [br][[필라델피아 필리스]] (2014) [br]'''[[클리블랜드 인디언스]] (2015~2016)''' [br][[NC 다이노스]] (2017) || || '''SNS''' ||[[https://www.instagram.com/mannyship/|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2]]]] || [목차] [clearfix] == 개요 == [[미국]] 국적의 우완 투수. == 선수 경력 == === [[미네소타 트윈스]] === 마이너리그에서는 선발, 메이저리그에서는 주로 불펜에서 활약했다. 2008년까지는 마이너를 전전하는 상황이었으나, 2009년 [[미네소타 트윈스]]에서 메이저리그에 데뷔하며 계투진에서 활동하기 시작했다. 빅리그 데뷔까지는 좋았으나 그 이후 그다지 눈에 띄는 모습을 보여주지 못했다. === [[콜로라도 로키스]] === === [[필라델피아 필리스]] === === [[클리블랜드 가디언스|클리블랜드 인디언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anship.jpg|width=100%]]}}} || 그러나 [[클리블랜드 가디언스|클리블랜드 인디언스]]로 이적한 2015년부터는 꽤 인상적인 활약을 보여주었다. 마이너리그 통산 성적은 10시즌 191경기 135선발 818⅓이닝 51승 45패 ERA 3.61, MLB 통산 성적은 8시즌 157경기 10선발 222이닝 7승 10패 10홀드 ERA 4.82. 2015 시즌 맨십은 이적 첫 해 32경기 39⅓이닝 1승 3홀드 ERA 0.92 WHIP 0.76의 활약을 펼쳤다. 2016년에도 불펜에서 53경기 43⅓이닝 2승 1패 6홀드 ERA 3.12 WHIP 1.43의 기록을 보여주었다. 특히 2016 시즌에는 포스트시즌 엔트리에도 포함되어 [[2016 아메리칸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에서 1경기 1⅓이닝 무실점, [[2016년 월드 시리즈]]에서 2경기 1이닝 무실점을 기록하기도 했다. 2시즌 동안의 성적은 85경기 82⅔이닝 3승 1패 9홀드 69K 32BB ERA 2.07 유의할 점은 눈에 띄는 클래식 스탯과 달리 세부 스탯은 성적과 꽤 괴리가 나타난다는 것이다. 겉으로는 15 시즌 ERA 0점대를 찍으며 특급 활약을 한 것처럼 보이지만 당시 [[BABIP]]은 .192로, 통산 BABIP보다 .102나 낮았다. 잔루율도 91.2%를 기록하며 엄청난 수치를 보여주었다. HR/FB도 통산 성적보다 거의 10%p나 낮은 3.6%이라는 스탯을 보여주며 운빨이 어느정도 작용한 시즌이라는 것을 드러냈다. 분명 15년 이후부터 늘어난 K%, 줄어든 BB%, 낮아진 피안타율을 통해 제구나 구위 면에서 어느정도 향상되었음을 보여주었지만, 이전보다 극단적으로 내려간 세부 스탯을 설명하기에는 충분하지 않다.[* 덧붙이자면 본인의 실력 향상, 약간의 운 외에 클리블랜드의 리그 상위급의 수비에도 도움도 받은 것으로 보인다.] 결국 실질적인 [[FIP]]은 ERA보다 세 배 가량 높은 2.63이었고, fWAR은 0.6에 불과했다. 15 시즌 성적이 플루크라는 것을 증명이나 하듯이 16년에는 대체적으로 성적이 나빠졌다. ERA는 여전히 3점대 초반을 유지하였으나 BABIP은 .266, 잔루율은 80.5%정도로 돌아갔다. 엄청났던 홈런 억제 능력도 HR/FB이 평년 수준인 14.9%로 돌아오며 다시 제자리로. 전체적으로 예년 수준보다 나은 모습을 보여주긴 했으나 FIP은 5.11을 기록. 그 결과 불펜에서 43.1이닝 ERA 3.12를 기록했음에도 fWAR은 -0.3. 구단에서는 그에게 2016년 $760,000의 연봉을 지출했지만 그다지 효율을 느끼지 못했고, 17시즌에는 연봉조정 대상자가 되어 예상 연봉을 1.2M로 추정했기에 가격 대비 큰 메리트를 느끼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32살이라는 적지 않은 나이의 불펜 투수라는 점, 그리고 2016년 7월 오른쪽 손목 부상으로 인해 [[부상자 명단]]에 포함된 전력 등을 고려하여 그를 [[논텐더]]로 방출했다. [[http://www.cleveland.com/tribe/index.ssf/2016/12/cleveland_indians_non-tender_j.html|기사]] === [[NC 다이노스]] === 1월 23일 총액 180만 달러에 계약하며 [[NC 다이노스]]에서 [[http://sports.naver.com/kbaseball/news/read.nhn?oid=117&aid=0002866940|뛰게 되었다.]] ==== [[제프 맨쉽/2017년|2017 시즌]]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제프 맨쉽/2017년)] 부상에서 복귀한 후반기부터 부진이 계속되면서 [[이재학|맨재학]], [[구창모(야구선수)|맨창모]], [[최금강|맨금강]], [[정수민(야구선수)|맨수민]], [[민태호|맨태호]] 순으로 평가가 점점 내려가더니 9월 이후부터는 아예 맨[[씨발|X발]], 맨[[씹|X]][[새끼(비속어)|새끼]], 맨[[씹|X]], [[먹튀|먹쉽]] 등으로 불리고 있다. 그리고 포스트시즌에서도 패전조 이하 수준의 내용을 보이면서 NC의 [[흑역사]] 확정. === 이후 === 마이너 계약에 성공하나 싶었으나 메디컬 테스트에서 이상이 발견되어 계약이 불발되었다고 한다. 생각보다 팔꿈치 부상이 심각한 듯. 이후 기록이 전혀 없으니 은퇴한 것으로 보인다. == 피칭 스타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wQQ_EHqSyyk)]}}}|| || [[2016년 월드 시리즈]] 6차전 6회 [[윌슨 콘트레라스]]를 삼진 처리한 슬라이더 || 포심보다 빠른 투심 패스트볼로 그라운드 볼을 유도하는 [[땅볼 투수]]로, MLB 통산 GB%은 46.7%, GB/FB은 1.39대를 보여주고 있다. 패스트볼의 평균 구속은 91mph 정도로, 불펜에서 던졌음을 감안하면 그다지 빠른 편은 아니다. 하지만 땅볼을 곧잘 유도할 수 있는 싱킹성 무브먼트가 좋은 투수이다. 이와 함께 각이 크고 평균 속도 83mph 정도의 슬라이더를 세컨드 피치로 장착하고 있으며, 15시즌 4.9, 16시즌 2.3의 피치 밸류를 기록했다. 또한 80mph대의 커브, 83mph대의 체인지업 등을 간간히 구사하지만 최근 들어 구사율은 줄어들고 있다. 하지만 한국에서 선발 투수로 전환한 이후로는 체인지업의 구사율을 10~20%까지 늘려 사용하고 있다. 2017년 7월 24일 스탯티즈 기준으로 구종가치에서 투심(싱커) 10.5 (1위), 커브 6.5 (2위)를 기록하고 있다. K/9은 MLB 통산 6.45, 최근 2년 7.5를 보여주며 나쁘지 않은 모습이었고, BB/9는 MLB 통산 3.65, K/BB는 1.77을 나타내며 준수한 커맨드를 보여주었다. MLB 커리어 대부분을 불펜에서 활약했다. 빅리그 선발 경험은 2013년 [[콜로라도 로키스]] 시절이 마지막이며, 마이너리그에서조차도 2014년 [[필라델피아 필리스]] 산하 AAA에서의 경기가 마지막 선발이다. 선발로서의 경험은 14시즌이 마지막이기에 실제로 시즌에 들어가 경기를 치러보기 전까지는 이닝소화력 부분에서 의문부호가 붙을 가능성이 높다.[* 이는 MLB에서 불펜으로 뛰다가 같은 해 KBO로 진출한 [[알렉시 오간도]], [[카를로스 비야누에바]]에게도 해당되는 문제이다.] 결과적으로는 어느 정도 현실이 된 예측으로, 부상으로 인해 두 달 간 결장했음을 감안해도 성적에 비해 이닝 소화가 부족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평균 6이닝에 못 미치는 수준이며 외국인 투수 중에서는 최하위권. 여담으로 투구폼이 [[마이클 보우덴]]과 비슷하다. 즉, 디셉션이 좋다. 이런 투구폼은 굉장히 타자들이 치기 어렵게 한다. 또한 주자가 없을 땐 왼다리를 가슴팍까지 들어올리지만 주자가 있을 땐 낮게 들어서 디셉션을 짧게 가져간다. == 연도별 성적 == ||<-17> {{{#ffffff 역대 기록}}} || || 연도 || 소속팀 || 경기수 || 이닝 || 승 || 패 || 세 || 홀 || 승률 || ERA || 피안타 || 피홈런 || 4사구 || 탈삼진 || 실점 || 자책점 || WHIP || || 2009 ||<|4> [[미네소타 트윈스|MIN]] || 11 || 31⅔ || 1 || 1 || 0 || 0 || .500 || 5.68 || 39 || 4 || 16 || 21 || 21 || 20 || 1.71 || || 2010 || 13 || 29 || 2 || 1 || 0 || 0 || .667 || 5.28 || 34 || 3 || 6 || 21 || 34 || 20 || 1.38 || || 2011 || 5 || 3⅓ || 0 || 0 || 0 || 0 || - || 8.10 || 5 || 0 || 4 || 2 || 3 || 3 || 2.70 || || 2012 || 12 || 21⅔ || 0 || 0 || 0 || 1 || - || 7.89 || 29 || 4 || 8 || 12 || 19 || 19 || 1.66 || || 연도 || 소속팀 || 경기수 || 이닝 || 승 || 패 || 세 || 홀 || 승률 || ERA || 피안타 || 피홈런 || 4사구 || 탈삼진 || 실점 || 자책점 || WHIP || || 2013 || [[콜로라도 로키스|COL]] || 11 || 30⅔ || 0 || 5 || 0 || 0 || .000 || 7.04 || 37 || 6 || 12 || 18 || 25 || 24 || 1.60 || || 연도 || 소속팀 || 경기수 || 이닝 || 승 || 패 || 세 || 홀 || 승률 || ERA || 피안타 || 피홈런 || 4사구 || 탈삼진 || 실점 || 자책점 || WHIP || || 2014 || [[필라델피아 필리스|PHI]] || 20 || 23 || 1 || 2 || 0 || 0 || .333 || 6.66 || 24 || 1 || 14 || 16 || 17 || 17 || 1.655 || || 연도 || 소속팀 || 경기수 || 이닝 || 승 || 패 || 세 || 홀 || 승률 || ERA || 피안타 || 피홈런 || 4사구 || 탈삼진 || 실점 || 자책점 || WHIP || || 2015 ||<|2> [[클리블랜드 가디언스|CLE]] || 32 || 39⅓ || 1 || 0 || 0 || 3 || 1.000 || 0.92 || 20 || 1 || 11 || 33 || 4 || 4 || 0.76 || || 2016 || 53 || 43⅓ || 2 || 1 || 0 || 6 || .667 || 3.12 || 40 || 7 || 22 || 36 || 20 || 15 || 1.43 || || 연도 || 소속팀 || 경기수 || 이닝 || 승 || 패 || 세 || 홀 || 승률 || ERA || 피안타 || 피홈런 || 4사구 || 탈삼진 || 실점 || 자책점 || WHIP || || 2017 || [[NC 다이노스|NC]] || 21 || 112⅔ || 12 || 4 || 0 || 0 || .750 || 3.67 || 112 || 7 || 40 || 86 || 51 || 46 || 1.29 || ||<-2>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MLB]] 통산''' [br] (8시즌) || 157 || 222 || 7 || 10 || 0 || 10 || .412 || 4.82 || 228 || 26 || 93 || 159 || 129 || 119 || 1.43 || ||<-2> '''[[KBO 리그|KBO]] 통산''' [br] (1시즌) || 21 || 112.2 || 12 || 4 || 0 || 0 || .750 || 3.67 || 112 || 7 || 40 || 86 || 51 || 46 || 1.29 || == 기타 == * 클리블랜드 시절인 2016년 5월 30일 [[김현수(1988)|김현수]]의 MLB [[허용투수|데뷔 첫 홈런을 맞았다]]. * 한국행을 결심하기에 앞서 [[두산 베어스]]의 [[더스틴 니퍼트]]에게 [[http://sports.naver.com/kbaseball/news/read.nhn?oid=396&aid=0000426212|조언을 얻었다고 한다.]] 이 기사에서는 [[http://m.mbcsportsplus.com/news/index.php?mode=view&cate=1&b_idx=99957685.000|에릭 해커]]와 상의했다고 한다. * 성(姓)인 Manship은 [[외래어 표기법]]을 준수하면 맨십이 되겠지만[* [[http://www.korean.go.kr/front/page/pageView.do?page_id=P000124&mn_id=97]] 제3항 참고.], 등록명은 맨쉽으로 했다. * 여담으로 부인이 미인이다. [[http://fabwags.com/trisha-manship-mlb-jeff-maships-wife/]][* 특이하게도 같이 투수로 뛴 [[에릭 해커]]또한 부인이 미인으로 유명하다.] == 둘러보기 == ||<-5> [[KBO 리그|[[파일:KBO 리그 로고(엠블럼/영문, 2013~2021).svg|width=110]]]] '''{{{#ffffff 2017년 4월 KBO 리그 월간 MVP}}}''' || || [[최형우]][br]([[삼성 라이온즈]]) || → || '''맨쉽[br]([[NC 다이노스]])''' || → || [[최형우]][br]([[KIA 타이거즈]]) || [각주] [[분류:미국의 야구 선수]][[분류:외국인 선수(야구)]][[분류:1985년 출생]][[분류:2009년 데뷔]][[분류:샌안토니오 출신 인물]][[분류:노터데임 대학교 출신]][[분류:우완 투수]][[분류:우투우타]][[분류:미네소타 트윈스/은퇴, 이적]][[분류:콜로라도 로키스/은퇴, 이적]][[분류:필라델피아 필리스/은퇴, 이적]][[분류:클리블랜드 가디언스/은퇴, 이적]][[분류:NC 다이노스/은퇴, 이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