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이어 엠블렘 창염의 궤적/등장인물]] * [[파이어 엠블렘 새벽의 여신/등장인물]] ||<-3> '''{{{+2 {{{#F0FFFF 제프리}}} }}}'''[br]'''{{{+1 {{{#F0FFFF '''ジョフレ Geoffrey'''}}}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Geoffrey_FE9.webp|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FERD_Geoffrey.png|width=65%]]}}} || || [[파이어 엠블렘 창염의 궤적|{{{#F0FFFF 창염의 궤적}}}]] || [[파이어 엠블렘 새벽의 여신|{{{#F0FFFF 새벽의 여신}}}]] || ||<-3> {{{#!wiki style="margin: -16px -11px;" ||<:>{{{#F0FFFF 성별}}}||남성 ||}}} || ||<-3> {{{#!wiki style="margin: -16px -11px;" ||<:>{{{#F0FFFF 종족}}}||베오크 ||}}} || ||<-3> {{{#!wiki style="margin: -16px -11px;" ||<:>{{{#F0FFFF 연령}}}||21세(창염의 궤적)[br]24세(새벽의 여신) ||}}} || ||<-3> {{{#!wiki style="margin: -16px -11px;" ||<:>{{{#F0FFFF 가족 관계}}}||[[루키노(파이어 엠블렘 시리즈)|루키노]](누나) ||}}} || ||<-3> {{{#!wiki style="margin: -16px -11px;" ||<:>{{{#F0FFFF 국적}}}||크리미아 ||}}} || ||<-3> {{{#!wiki style="margin: -16px -11px;" ||<:>{{{#F0FFFF 취미}}}||정치 공부 ||}}} || ||<-3> {{{#!wiki style="margin: -16px -11px;" ||<:>{{{#F0FFFF 특기}}}||크리미아의 보물-에린시아 ||}}} || ||<-3> {{{#!wiki style="margin: -16px -11px;" ||<:>{{{#F0FFFF 중요한 것}}}||끈기 ||}}} || ||<-3> {{{#!wiki style="margin: -16px -11px;" ||<:>{{{#F0FFFF 좋아하는 것}}}||규율 ||}}} || ||<-3> {{{#!wiki style="margin: -16px -11px;" ||<:>{{{#F0FFFF 싫어하는 것}}}||에린시아의 적 ||}}} || ||<-3> {{{#!wiki style="margin: -16px -11px;" ||<:>{{{#F0FFFF 성우}}}||[[오노 켄쇼]](日)[br][[조슈아 데이비드 킹]](英) ||}}} || [목차] == 개요 == [[파이어 엠블렘 창염의 궤적]]과 [[파이어 엠블렘 새벽의 여신]]의 등장인물. 크리미아 왕국의 귀족가인 델브레가 출생으로 [[루키노(파이어 엠블렘 시리즈)|루키노]]의 남동생이다. 누나와 함께 왕녀 [[에린시아 리델 크리미아]]를 측근으로서 보좌하고 있다. == 작품 별 행적 == === [[파이어 엠블렘 창염의 궤적|창염의 궤적]] === ||[[파일:GeoffreyFE9p.png]]|| 크리미아의 기사로, 세간으로부터 [[에린시아]]를 숨겨 지내던 델브레 백작가에서 누나인 [[루키노(파이어 엠블렘 시리즈)|루키노]], 에린시아와 함께 자란 사이다. 왕제 레닝의 명령으로 에린시아를 갈리아까지 호위하는 임무를 맡지만 데인의 습격에 그만 에린시아를 잃자 실의에 빠졌지만, 훗날 아이크 용병단의 활약으로 에린시아의 생존 소식이 전해지자 [[율리시즈(파이어 엠블렘 시리즈)|율리시즈]]와 함께 상인 행세를 하며 에린시아가 돌아오기만을 목이 빠져라 기다리고 있었다. 본 시리즈 중에서도 제일 진지하고 순진하고 성실한 성격이라 놀림의 소재가 되기도. '''전작 주인공이 생각나는 외모에 호위하는 공주를 사모하는 기사'''라는 여러모로 주인공스러운 특징을 지녔지만 크리미아 기사단이 아닌 그레일 용병단이 중심으로 돌아가는 스토리 전개상 비중을 뺏길 수밖에 없는 구조이다. --나라도 뺏기고 비중도 뺏기고-- 에린시아를 사모하지만 아무에게도 얘기하지 않고 나름대로 숨기고 있다. 하지만 크리미아의 귀족들은 말할 것도 없고 평민들도 죄다 알고 있다. 에린시아 본인만 모르고 있는 점이 웃음포인트. 지원회화에서 이런 속마음을 눈치 챈 [[카릴(파이어 엠블렘 시리즈)|카릴]]은 제프리를 좋아하는 마음을 포기하고 에린시아와 이어지게 도와주기도 한다. 반면 에린시아는 제프리의 마음을 몰라보고 다음 전투에는 자신을 보호하지 말라는 명령을 내린다. 제프리가 그 명령을 지키지 못하자 삐져버리는 에린시아가 압권. === [[파이어 엠블렘 새벽의 여신|새벽의 여신]] === ||[[파일:GeoffreyFE10p.png]]|| 2부에서 등장. 크리미아 왕국 기사단장으로 진급한데다 기사단장의 명성에 걸맞게 페리레 공작 [[루드벡(파이어 엠블렘 시리즈)|루드벡]]의 반란을 제압한다. 결국 루드벡을 잡아 넣는데 성공했지만, 루드벡은 에린시아가 자신에게 왕위를 양보하지 않으면 포로로 잡힌 루키노를 죽이겠다는 협박을 한다. 비록 자신의 누나가 위험에 처했지만, 에린시아에게 왕위를 위해서 루키노를 희생하라는 조언을 한다. 결과적으로 루키노는 그레일 용병단의 적절한 지원 덕분에 사형대에서 겨우 목숨을 건지지만 크리미아에 대한 제프리의 충성심이 사적인 감정보다 앞선다는 것을 보여준다.[* 창염에서 루키노도 마찬가지로 제프리의 성이 포위당하자 에린시아에게 포기하라고 했다. 그 때는 에린시아가 아직 정신적으로 성장하지 않은 시점이라 제프리를 포기할 수 없다고 했지만, 새벽에서는 한 순간이라도 루키노를 희생하려고 다짐했다는 것이 차이점.] 3부에는 에린시아를 호위하는 NPC로 등장하다 4부 후반에 다시 플레이어 일행에 합류한다. 제프리와 에린시아의 지원랭크를 A로 올리면 결혼엔딩을 볼 수 있다. [[아이크(파이어 엠블렘 시리즈)|아이크]]도 에린시아와의 엔딩이 없는데 제프리는 그녀와 A지원이 있으면 결국 결혼하니 최후의 승리자라고 할수 있다. 다만 전작의 주인공과 히로인이었던 아이크와 에린시아가 이어지길 원하는 팬들에게 있어 제프리와 에린시아 엔딩은 청천벽력 같은 소리였고, 정작 아이크의 페어 엔딩은 [[세네리오]]/[[라이(파이어 엠블렘 시리즈)|라이]] 둘 뿐[* 둘 다 '''남자'''다.]이라는 사실은 불난 집에 기름을 들어부운 격이 되었다. 덕분에 제프리는 차기작 [[파이어 엠블렘 각성]]의 [[스미아]]만큼 안티가 생겼다. 둘 다 커플링 문제로 안티가 생긴 것이 공통점. 이 둘 모두 게임 내에서 비호감 문제는 딱히 없기 때문에 억울한 부분. == 성능 == === 창염의 궤적 === ||<:><#3F00FF> {{{#FFE400 클래스 }}} ||<:> 팔라딘||||<:><#c0c0c0> 초기 스킬 ||<:> '''엘리트'''|| ||<:> {{{#ffd700 LV}}} ||<:> {{{#ffd700 힘}}} ||<:> {{{#ffd700 마력}}} ||<:>{{{#ffd700 기술}}} ||<:> {{{#ffd700 속도}}} || ||<:> 11||<:> 18(50) ||<:> 9(25) ||<:> 17(55) ||<:> 19(55) || ||<:> {{{#ffd700 HP}}} ||<:> {{{#ffd700 행운}}} ||<:> {{{#ffd700 방어}}} ||<:> {{{#ffd700 마방}}} ||<:>{{{#ffd700 이동력}}} || ||<:> 43(65) ||<:> 12(20) ||<:> 21(45) ||<:> 9(45) ||<:> 9 || 공주를 사모하는 기사 캐릭터라는 설정은 전작의 [[제트(파이어 엠블렘 시리즈)|제트]]를 연상 시키지만, 게임 내 취급은 좋지 않다. 창염에서는 가장 늦게, 그것도 게임 거의 막바지에나 들어오는 팔라딘인데다 다섯 명이나 되는 선임 기병들이 죄다 에이스급 인재들인지라 어지간한 애정이 아니라면 제프리를 쓸 이유가 없다. 심지어 전직 상태로 나오는지라 무기레벨을 고를 수 없고, 합류 시 달고 나오는 무기레벨은 창+활이어서 도끼천하인 창염에서는 써먹기 애매하다. 그나마 초기 스탯은 준수하고 엘리트 스킬이 달려있어서 키우기는 어렵지 않다는 게 위안. ==== 지원 ==== || [[카릴(파이어 엠블렘 시리즈)|카릴]] || [[에린시아]] || || C: 1 B: 2 A: 3 || C: 1 B: 2 A: 2 || === 새벽의 여신 === ||<:><#3F00FF> {{{#FFE400 클래스 }}} ||<:> [ruby(창 기장, ruby=글로리 나이트)]→[ruby(백은 기장, ruby=실버 나이트)]||||<:><#c0c0c0> 초기 스킬 ||<:> '''엘리트'''[br]재행동|| ||<:> {{{#ffd700 LV}}} ||<:> {{{#ffd700 힘}}} ||<:> {{{#ffd700 마력}}} ||<:>{{{#ffd700 기술}}} ||<:> {{{#ffd700 속도}}} || ||<:> 15||<:> 24(50) ||<:> 8(10) ||<:> 23(60) ||<:> 20(35) || ||<:> {{{#ffd700 HP}}} ||<:> {{{#ffd700 행운}}} ||<:> {{{#ffd700 방어}}} ||<:> {{{#ffd700 마방}}} ||<:>{{{#ffd700 이동력}}} || ||<:> 37(60) ||<:> 19(30) ||<:> 18(30) ||<:> 15(55) ||<:> 9 || 새벽에 와서도 2부에 잠깐 사용하다가 그야말로 마지막의 마지막인 4부 종장에 와서야 사용 가능해서 활용도는 거의 제로. 스토리적으로는 충분히 4부 시작 시점에서 합류할 수 있는데[* 스토리상 에린시아도 아이크군에 합류한 상황인데 국민들도 다 돌이 돼버린 상황에서 굳이 국내에 남을 이유가 없다.] 종장에서 합류하는 걸 보면 제작진 중에 안티가 있는 게 아닌가 싶어질 지경이다. 그렇다고 전력이 월등히 우월한 것도 아니고, 잘 키운 오스카나 티아마트보다도 스탯이 후달린다. 심지어 합류 시점에서는 잘해봐야 상급직 20렙 정도라.... 어떻게든 쓰고 싶으면 합류 후 마스터 크라운을 써주고 부대 경험치로 만렙을 찍는 수밖에 없다. 그나마 2부에서는 나름 주인공급 활약을 보이며, 민병대가 중심인 루드벡군에 비해 월등한 성능 덕분에 맹활약 할 수 있다. 특히 부대경험치 습득을 위해 적을 최대한 죽이지 않고 클리어하는 전략을 쓸 경우 제프리를 단독돌파 시키는 게 가장 안전한 방법인지라 상당한 활약을 펼쳐보인다. 다만 적을 전멸시키는 전략을 쓸 경우에는 4부에서 쓰지도 못할 제프리보다는 케빈, 마샤, 스텔라 등에게 경험치를 돌리는 편이 나은 관계로 다시 찬밥신세가 된다는 게 서글픈 부분. ==== 지원 ==== * [[율리시즈(파이어 엠블렘 시리즈)|율리시즈]]: 필살/필살회피 +10% * [[에린시아]]: 필살/필살회피 +10% * [[루키노(파이어 엠블렘 시리즈)|루키노]]: 필살/필살회피 +5% * [[케빈(파이어 엠블렘 시리즈)|케빈]]: 필살/필살회피 +5% * (창염에서 지원A 달성시) [[카릴(파이어 엠블렘 시리즈)|카릴]]: 필살/필살회피 +5% == 기타 출연작 == === [[파이어 엠블렘 히어로즈|히어로즈]] === ==== 통상 ==== ||<:><-4> '''제프리 Geoffrey''' || ||<-4> [[파일:FEH_Geoffrey_Realm's_Protector_01.png|width=50%]] || || '''등급''' ||<-3> ★5 || || '''{{{#ffffff 병과}}}''' || [[파이어 엠블렘 히어로즈/등장 유닛/청속성|청 / 창병]] || '''{{{#ffffff 이동 타입}}}''' || 기병 || || '''{{{#ffffff 출신작}}}''' ||<-3> [[파이어 엠블렘 새벽의 여신]] || || '''{{{#ffffff 성우}}}''' || [[오노 켄쇼]] / [[조슈아 데이비드 킹]] || '''{{{#ffffff 일러스트}}}''' || 시모무라 와타리 || || '''{{{#ffffff 인게임[br]스프라이트}}}''' ||<-3> [[파일:Geoffrey_Heroes_sprite.png]] || >크리미아 왕궁기사단장 제프리, 등장! 적병들에게 고한다, 더 이상의 저항은 무의미하다. 즉시 무기를 버리고 투항해라! >---- >소환 대사. 2023년 2월 17일 출시. 고유 타이틀은 '''여왕의 기사''' == 기타 == 생김새가 이전 작품의 주인공인 [[에브라임(파이어 엠블렘 시리즈)|에브라임]]과 무척 닮아서 이에 대한 이야기도 많은 편이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제프리, version=56)] [[분류:파이어 엠블렘 시리즈/등장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