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여단)] [include(틀:보병여단)] [include(틀:제17보병사단 예하부대)] ||<-7> '''{{{#fb0000 {{{+1 제100보병여단}}}}}}'''[br]'''{{{#fb0000 第100步兵旅團}}}'''[br]'''{{{#fb0000 The 100th Infantry Brigade}}}''' || ||<-7> [[파일:제17보병사단 부대마크.svg|width=300]] || ||<-7> '''{{{#fb0000 }}}''' || || '''{{{#fb0000 창설일}}}''' ||<-6>[[년|0000년]] [[월|00월]] [[일|00일]](제100보병연대)[br][[2020년]] [[12월 1일]]('''제100보병여단''') || || '''[[상징명칭|{{{#fb0000 상징명칭}}}]]''' ||<-6>'''백승부대''' || || '''{{{#fb0000 소속}}}''' ||<-6>[[대한민국 육군]] || || '''{{{#fb0000 상급부대}}}''' ||<-6>[[제17보병사단]] || || '''{{{#fb0000 규모}}}''' ||<-6>[[여단]] || || '''{{{#fb0000 역할}}}''' ||<-6>인천 서, 북부 해안 경계 및 방위 || || '''[[여단장|{{{#fb0000 여단장}}}]]''' ||<-6>[[대령]] 000(육사 00기) || || '''{{{#fb0000 위치}}}''' ||<-6>[[인천광역시]] [[계양구]] || ||<-7>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백승아파트, 너비=100%, 높이=100%)]}}}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 육군]] [[수도군단]] [[제17보병사단]] 예하 '''제100보병여단'''. 별칭은 '''백승부대'''.[[인천광역시]] [[계양구]]에 위치하고 있다. == 역사 == [[제33보병사단]] 시절에는 평택, 화성 일대의 해안경계를 담당했던 것으로보아 당시에는 남양반도를 비롯한 아산만 근처의 경기 서남부권(수원, 화성, 평택)이 관할구역이었을 것으로 보인다. 현재는 [[인천항]]을 위시한 주변 지역 방위[* 1대대와 2대대가 맡고 있다.] 및 [[해안 경계]][* 3대대가 맡고 있다.]를 맡고 있다. 연대본부는 [[인천광역시]] [[계양구]]에 위치해 있다.[* 지금의 제51보병사단이 된 99보병여단이 화성으로 내려가면서 평택, 화성, 수원 일대를 담당했던 100연대와 주둔지를 맞교환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부대 개편이 예정된 연대로 현재 전입병 수가 크게 줄어든 상태며 연대본부와 가까운 2대대의 경우 대대급 통합막사 신축으로 인해 컨테이너 생활관을 구축해 사용 중이다. 과거 제2신병교육대대를 운영하던 시절 17보병사단 제2신병교육대대가 100연대 1대대였다. 3대대는 원래 학운부대였으나 18년 초 당시 대대장이었던 이X순 중령에 의해 뇌전으로 명칭 변경되었다. 3대대는 강화도 초지대교 남단의 대명리소초부터 경인북항 경인감시기지까지 3개의 소초와 1개의 감시기지에 투입되며, 19년 이후 X중대가 고정으로 경계작전을 수행중이다. 평소 외출 외박이 제한되어있으나, 용사들은 한달에 3일의 해안경계보상휴가와 추가 경계비를 받는다. 해안에 투입된 부대는 9,10,11중대 등의 명칭 이외에 장도중대라고 불리기도 한다. 중대본부가 장도소초에 있기 때문이다. 2020년 말에 연대 통합막사가 신축되면서, 사단 영내에 독립대대로 주둔하던 1대대가 연본과 2대대가 있는 계양구 쪽으로 이전하였다. 기존에 1대대가 맡던 사단영내 예비대 역할은 102연대로 다시 넘어가게 되었다. [[국방개혁 2.0]] 2020년 12월 1일 부로 연대에서 [[여단]]으로 개편되었다. == 예하부대 == === 여단 직할대 === * '''[[본부중대]]''' - * '''[[정보중대]]''' - * '''[[통신중대]]''' - * '''[[의무중대]]''' - * '''[[포병대대]]'''(舊 [[전투지원중대]]) - 2020년 12월 [[국방개혁 2.0]]으로 인해 [[연대(군대)|연대]]에서 [[여단]]급으로 승격되면서 전투지원중대에서 [[포병대]]로 개편. 이후 편제가 바뀌면서 포병대대가 되었다. === 군수지원대대 (舊 수송대) === 2020년 12월 [[국방개혁 2.0]]으로 인해 [[연대(군대)|연대]]에서 [[여단]]급으로 격상되면서 수송대가 해체되며 [[군수지원대대]]가 창설되었다. 군수지원대대, 1대대, 2대대는 같은 주둔지에서 같은 막사를 사용한다.(구 2대대 주둔지) === 제1대대 진격 === 인천광역시 계양구 갈현동에 위치 * 본부중대 * 제1중대 * 제2중대 * 제3중대 * 제4중대 === 제2대대 천마 === 인천광역시 계양구 갈현동에 위치 * 본부중대 * 제5중대 * 제6중대 * 제7중대 * 제8중대 === 제3대대 뇌전 === 김포시 양촌읍에 위치 * 본부중대 * 제9중대 * 제10중대 * 제11중대 * 제12중대 == 과거부대 == * ~~[[제17보병사단]] 제2신병교육대대~~ [[제2신병교육대]]를 운영하던 시절, 17사단의 제2신병교육대는 100여단 1대대가 운영했었다. 1대대가 과거 [[독립대대]]였던 이유. 현재는 제2신병교육대 자체가 없어져서 제2신병교육대를 거치지 않은 2010년대 중후반대 군번들의 대부분은 1대대가 뜬금없이 독립대대가 되어 본대에서 떨어져 사단 본부에 홀로 주둔했었던 이유를 몰랐다. == 출신인물 == === [[여단장]] === ||'''볼드체'''는 [[대장(계급)|대장]] 진급이 된 연대장 및 여단장.|| ||<-6> '''{{{#fb0000 역대 제100보병여단장}}}''' || || '''{{{#fb0000 역대}}}''' || '''{{{#fb0000 이름}}}''' || '''{{{#fb0000 계급}}}''' || '''{{{#fb0000 임관}}}''' || '''{{{#fb0000 비고}}}''' || '''{{{#fb0000 기타}}}''' || || 초대 || || || ||前 [[연대장]] || || || 00대 || '''정수성''' || [[대장]] || [[갑종장교]] 202기 ||前 [[제1야전군사령관]] || || === 장교/부사관 === === 병 === == 특징 == === 근무환경 === * 17사 예하 보병여단 중에서는 사단 본부와 가장 먼 곳에 주둔 중인 여단이다. 하지만 광역시 소재 부대답게 주변 교통환경은 매우 양호한 편에 속한다. 여단본부는 [[인천 지하철 1호선]] [[귤현역]] 역세권이며 예하 대대들은 [[계양역]] 역세권에 해당한다. [[계양역]]이 [[인천국제공항철도]]와 [[인천 지하철 1호선]]의 환승역이기 때문에 출타 때는 경인 지역이 연고지인 장병이 아닌 이상 대부분 공항철도 타고 서울로 나가는 것을 선호한다. * 대대별로 맡고 있는 임무가 달라서 근무 환경은 대대별로 차이가 많이 있었다.(19년도 군번 기준) 특히 [[2020년]] [[12월]] 여단급 개편 전까지 [[부평구]] 사단본부 영내에 [[독립대대]] 형태로 주둔 중이었던 1대대의 경우 연대(現 여단) 주임무에서 벗어난, 사단 본부 영내 예비대 역할 및 5분대기조 역할을 맡았다. 지금은 대대 통합 막사가 신축되고 모든 대대가 막사를 공유하게 되어 지금은 근무 환경이 대대별로 비슷해진 상황. 하지만 여전히 해강안 경계임무를 맡고 있는 3대대는 다른 대대에 훈련을 짬시킨 대신 실제 작전으로 24시간이 돌아가는 부대라 경계병들이 분기별로 바뀌는 생활패턴에 어려움을 느끼기도 한다. === 부대 영상 === === 여단가 === == 사건 사고 == == 여담 == * [[분류:대한민국 육군]][[분류:제17보병사단]][[분류: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