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아카데미상)] ---- ||<-8>
'''{{{#white 역대 아카데미 시상식}}}''' || || [[제10회 아카데미 시상식]] || → || '''제11회 아카데미 시상식''' || → || [[제12회 아카데미 시상식]] || [목차] == 개요 == {{{+2 '''11th Academy Awards'''}}} 1939년 2월 23일 [[로스앤젤레스]]의 빌트모어 호텔에서 개최한 열한 번째 [[아카데미상]] 시상식. 1938년에 개봉한 영화들을 대상으로 했으며, 공식적인 사회자가 없는 첫 번째 시상식이었다. == 수상작 및 후보작 == 복수 부문에 노미네이트 된 작품들은 다음과 같다. * 7개 - 《[[우리 집의 낙원]]》 * 6개 - 《알렉산더의 랙타임 밴드》(Alexander's Ragtime Band) * 5개 - 《소년의 거리》(Boys Town), 《네 명의 딸들》(Four Daughters), 《[[제저벨]]》, 《메레리 위 리브》(Merrily We Live) * 4개 - 《[[로빈 후드의 모험]]》, 《알지어스》(Algiers), 《[[성채#s-3]]》, 《내가 왕이라면》(If I Were King), 《음악에 미쳐》(Mad About Music), 《[[마리 앙투아네트#영화]]》, 《[[피그말리온#s-2]]》 * 3개 - 《더럽혀진 얼굴의 천사》(Angels with Dirty Faces), 《아미 걸》(Army Girl), 《케어프리》(Carefree), 《카우보이와 숙녀》(The Cowboy and the Lady), 《그레이트 왈츠》(The Great Waltz), 《수에즈》(Suez), 《테스트 파일럿》(Test Pilot), 《마음의 젊음》(The Young in Heart) * 2개 - 《봉쇄 명령》(Blockade), 《골드윈 시사 풍자극》(The Goldwyn Follies), 《스윗하트》(Sweethearts), 《댓 서튼 에이지》(That Certain Age), 《비바셔스 레이디》(Vivacious Lady) === [[아카데미 작품상|작품상]] === '''Outstanding Production''' ||
'''작품''' || '''영화 스튜디오''' || || '''《[[우리 집의 낙원]]》''' || '''[[컬럼비아 픽처스|컬럼비아]]''' || || 《[[로빈 후드의 모험]]》 || [[워너 브라더스]]-퍼스트 내셔널 || || 《알렉산더의 랙타임 밴드》 || [[20세기 스튜디오|20세기 폭스]] || || 《소년의 거리》 || [[MGM/UA|메트로-골드윈-메이어]] || || 《[[성채#s-3]]》 || [[MGM/UA|메트로-골드윈-메이어]] || || 《네 명의 딸들》 || [[워너 브라더스]]-퍼스트 내셔널 || || 《[[위대한 환상]]》 || R. A. C. || || 《[[제저벨]]》 || [[워너 브라더스]] || || 《[[피그말리온#s-2]]》 || [[MGM/UA|메트로-골드윈-메이어]] || || 《테스트 파일럿》 || [[MGM/UA|메트로-골드윈-메이어]] || === [[아카데미 감독상|감독상]] === '''Best Directing''' ||
'''작품''' || '''감독''' || || '''《[[우리 집의 낙원]]》''' || '''[[프랭크 카프라]]''' || || 《더럽혀진 얼굴의 천사》 || [[마이클 커티즈]] || || 《소년의 거리》 || [[노먼 터로그]] || || 《[[성채#s-3]]》 || [[킹 비더]] || || 《네 명의 딸들》 || [[마이클 커티즈]] || === [[아카데미 남우주연상|남우주연상]] === '''Best Actor''' ||
'''배우''' || '''작품''' || || '''[[스펜서 트레이시]]''' || '''《소년의 거리》''' || || [[샤를르 보와이에]] || 《알지어스》 || || [[제임스 카그니]] || 《더럽혀진 얼굴의 천사》 || || [[로버트 도나트]] || 《[[성채#s-3]]》 || || [[레슬리 하워드]] || 《[[피그말리온#s-2]]》 || === [[아카데미 여우주연상|여우주연상]] === '''Best Actress''' ||
'''배우''' || '''작품''' || || '''[[베티 데이비스]]''' || '''《[[제저벨]]》''' || || 페이 베인터 || 《화이트 배너스》[br](White Banners) || || 웬디 힐러 || 《[[피그말리온#s-2]]》 || || [[노마 시어러]] || 《[[마리 앙투아네트#영화]]》 || || 마거릿 설리번 || 《세 전우》[br](Three Comrades) || === [[아카데미 남우조연상|남우조연상]] === '''Best Actor in a Supporting Role''' ||
'''배우''' || '''작품''' || || '''[[월터 브레넌]]''' || '''《켄터키》'''[br](Kentucky) || || [[존 가필드]] || 《네 명의 딸들》 || || 진 로크하트 || 《알지어스》 || || 로버트 몰리 || 《[[마리 앙투아네트#영화]]》 || || [[바실 래스본]] || 《내가 왕이라면》 || === [[아카데미 여우조연상|여우조연상]] === '''Best Actress in a Supporting Role''' ||
'''배우''' || '''작품''' || || '''페이 베인터''' || '''《[[제저벨]]》''' || || 벨루아 본디 || 《오브 휴먼 하트》[br](Of Human Hearts) || || 빌리 버크 || 《메레리 위 리브》 || || 스프링 바잉톤 || 《[[우리 집의 낙원]]》 || || 밀리자 코류스 || 《그레이트 왈츠》 || === [[아카데미 원안상|작가상 (원안)]] === '''Best Writing (Original Story)''' ||
'''작품''' || '''작가''' || || '''《소년의 거리》''' || '''도어 섀리, 엘레노어 그리핀''' || || 《알렉산더의 랙타임 밴드》 || [[어빙 벌린]] || || 《더럽혀진 얼굴의 천사》 || 롤런드 브라운 || || 《봉쇄 명령》 || 존 하워드 로슨 || || 《음악에 미쳐》 || 마르셀라 버크, 프레데릭 코너 || || 《테스트 파일럿》 || 프랭크 위드 || === [[아카데미 각색상|작가상 (각색)]] === '''Best Writing (Sceenplay)''' ||
'''작품''' || '''작가''' || || '''《[[피그말리온#s-2]]》''' || '''[[조지 버나드 쇼]]'''(각본 및 대사)[br]'''W. P. 립스콤, 세실 루이스, 이안 달림플'''(각색) || || 《소년의 거리》 || 존 미한, 도어 섀리 || || 《[[성채#s-3]]》 || 이안 달림플, 프랭크 위드, 엘리자베스 힐 || || 《네 명의 딸들》 || 줄리어스 J. 엡스타인, 레노어 커피 || || 《[[우리 집의 낙원]]》 || 로버트 리스킨 || === [[아카데미 단편 영화상|단편 영화상 (1릴)]] === '''Best Short Subject (One-Reel)''' ||
'''작품''' || '''제작''' || || '''《어머니들이 살 수 있도록》'''[br](That Mothers Might Live) || '''[[MGM/UA|메트로-골드윈-메이어]]''' || || 《위대한 심장》[br](The Great Heart) || [[MGM/UA|메트로-골드윈-메이어]] || || 《장애물 넘기 챔피언》[br](Timber Toppers) || [[20세기 스튜디오|20세기 폭스]] || === [[아카데미 단편 영화상|단편 영화상 (2릴)]] === '''Best Short Subject (Two-Reel)''' ||
'''작품''' || '''제작''' || || '''《독립 선언》'''[br](Declaration of Independence) || '''[[워너 브라더스]]''' || || 《영화 속 스윙타임》[br](Swingtime in the Movies) || [[워너 브라더스]] || || 《놈들은 반드시 잡힌다》[br](They're Always Caught) || [[MGM/UA|메트로-골드윈-메이어]] || === [[아카데미 단편 애니메이션상|단편 영화상 (카툰)]] === '''Best Short Subject (Cartoon)''' ||
'''작품''' || '''제작''' || || '''《황소 페르디난드》'''[br](Ferdinand the Bull) || '''[[월트 디즈니]]'''(제작자) || || 《[[용감한 꼬마 재봉사#s-3]]》 || [[월트 디즈니]](제작자) || || 《보이스카우트》[br](Good Scouts) || [[월트 디즈니]](제작자) || || 《헝키와 스펑키》[br](Hunky and Spunky) || [[파라마운트 픽처스|파라마운트]] || || 《[[실리 심포니|마더 구스 할리우드에 가다]]》 || [[월트 디즈니]](제작자) || === [[아카데미 음악상|음악상 (오리지널 스코어)]] === '''Best Music (Original Score)''' ||
'''작품''' || '''작곡''' || || '''《[[로빈 후드의 모험]]》''' || '''[[에리히 볼프강 코른골트]]''' || || 《아미 걸》 || 빅터 영 || || 《돌대가리들》[br](Block-Heads) || 마빈 하틀리 || || 《봉쇄 명령》 || 워너 얀센 || || 《얼음 깨끼》[br](Breaking the Ice) || 빅터 영 || || 《카우보이와 숙녀》 || [[알프레드 뉴먼]] || || 《내가 왕이라면》 || 리차드 헤이그만 || || 《[[마리 앙투아네트#영화]]》 || 허버트 스토서트 || || 《태평양 여객선》[br](Pacific Liner) || 러셀 베넷 || || 《수에즈》 || 루이스 실버스 || || 《마음의 젊음》 || 프란츠 왁스만 || === [[아카데미 음악상|음악상 (스코어)]] === '''Best Music (Scoring)''' ||
'''작품''' || '''작곡''' || || '''《알렉산더의 랙타임 밴드》''' || '''[[알프레드 뉴먼]]''' || || 《케어프리》 || 빅터 바라발레 || || 《여학교》[br](Girls' School) || 모리스 스토로프, 그레고리 스톤 || || 《골드윈 시사 풍자극》 || [[알프레드 뉴먼]] || || 《[[제저벨]]》 || 맥스 스테이너 || || 《음악에 미쳐》 || 찰스 프레빈, 프랭크 스키너 || || 《폭풍이 휩쓴 벵골》[br](Storm Over Bengal) || 사이 퓨어 || || 《스윗하트》 || 허버트 스토서트 || || 《가버린 내 마음》[br](There Goes My Heart) || 마빈 하틀리 || || 《트로픽 홀리데이》[br](Tropic Holiday) || 보리스 모로스 || || 《마음의 젊음》 || 프란츠 왁스만 || === [[아카데미 주제가상|음악상 (주제가)]] === '''Best Music (Song)''' ||
'''작품''' || '''음악''' || '''작곡 · 작사''' || || '''《빅 브로드캐스트 오브 1938》'''[br](The Big Broadcast of 1938) || '''"Thanks for the Memory"''' || '''랄프 레인거'''(작곡), '''리오 로빈'''(작사) || || 《마네킹》[br](Mannequin) || "Always and Always" || 에드워드 워드(작곡), 쳇 포레스트, 로버트 라이트(작사) || || 《케어프리》 || "Change Partners" || [[어빙 벌린]] || || 《카우보이와 숙녀》 || "The Cowboy and the Lady" || 리오넬 뉴먼(작곡), 아서 켄저(작사) || || 《서부의 별 아래서》[br](Under Western Stars) || "Dust" || 조니 마빈 || || 《고잉 플레이시즈》[br](Going Places) || "Jeepers Creepers" || 해리 워런(작곡), 조니 머서(작사) || || 《메레리 위 리브》 || "Merrily We Live" || 필 차리그(작곡), 아서 켄저(작사) || || 《여인의 항의》[br](The Lady Objects) || "A Mist Over the Moon" || 벤 오클랜드(작곡), [[오스카 해머스타인 2세]](작사) || || 《댓 서튼 에이지》 || "My Own" || 지미 맥휴(작곡), 해럴드 애덤슨(작사) || || 《알렉산더의 랙타임 밴드》 || "Now It Can Be Told" || [[어빙 벌린]] || === [[아카데미 음향상|음향상]] === '''Best Sound Recording''' ||
'''작품''' || '''음향감독''' || || '''《카우보이와 숙녀》''' || '''타머스 T. 몰턴'''[br]([[유나이티드 아티스트]] 스튜디오 음향부서) || || 《아미 걸》 || 찰스 L. 루튼스[br](리퍼블릭 스튜디오 음향부서) || || 《네 명의 딸들》 || 네이선 레빈슨[br]([[워너 브라더스]] 스튜디오 음향부서) || || 《내가 왕이라면》 || 로렌 L. 라이더[br]([[파라마운트 픽처스|파라마운트]] 스튜디오 음향부서) || || 《메레리 위 리브》 || 엘머 A. 라구스[br](핼 로치 스튜디오 음향부서) || || 《수에즈》 || 에드먼드. H. 핸슨[br]([[20세기 스튜디오|20세기 폭스]] 스튜디오 음향부서) || || 《스윗하트》 || 더글러스 쉐어러[br]([[MGM/UA|메트로-골드윈-메이어]] 스튜디오 음향부서) || || 《댓 서튼 에이지》 || 버나드 B. 브라운[br]([[유니버설 픽처스|유니버설]] 스튜디오 음향부서) || || 《비바셔스 레이디》 || 존 올버그[br]([[RKO 라디오 픽쳐스|RKO 라디오]] 스튜디오 음향부서) || || 《[[우리 집의 낙원]]》 || 존 리버더리[br]([[컬럼비아 픽처스|컬럼비아]] 스튜디오 음향부서) || === [[아카데미 프로덕션 디자인상|미술상]] === '''Best Art Direction''' ||
'''작품''' || '''미술감독''' || || '''《[[로빈 후드의 모험]]》''' || '''칼 J. 웨일''' || || 《[[톰 소여의 모험]]》 || 라일 R. 휠러 || || 《알렉산더의 랙타임 밴드》 || 버나드 헤즈브런, 보리스 레븐 || || 《알지어스》 || 알렉산더 톨루보프 || || 《케어프리》 || 반 네스트 폴글레이즈 || || 《골드윈 시사 풍자극》 || 리처드 데이 || || 《어떤 휴가》[br](Holiday) || 스티븐 구슨, 라이오넬 뱅크스 || || 《내가 왕이라면》 || 한스 드레이어, 존 굿맨 || || 《음악에 미쳐》 || 잭 오터슨 || || 《[[마리 앙투아네트#영화]]》 || 세드릭 기븐스 || || 《메레리 위 리브》 || 찰스 D. 홀 || === [[아카데미 촬영상|촬영상]] === '''Best Cinematography''' ||
'''작품''' || '''촬영감독''' || || '''《그레이트 왈츠》''' || '''조셉 루텐버그''' || || 《알지어스》 || 제임스 웡 호우 || || 《아미 걸》 || 어니스트 밀러, 해리 J. 와일드 || || 《더 버커니어》[br](The Buccaneer) || 빅터 밀너 || || 《[[제저벨]]》 || 어니스트 할러 || || 《음악에 미쳐》 || 조셉 발렌틴 || || 《메레리 위 리브》 || 노버트 브로딘 || || 《수에즈》 || 피버렐 말리 || || 《비바셔스 레이디》 || 로버트 드 그래스 || || 《[[우리 집의 낙원]]》 || 조세프 워커 || || 《마음의 젊음》 || 레온 샴로이 || === [[아카데미 편집상|편집상]] === '''Best Film Editing''' ||
'''작품''' || '''편집자''' || || '''《[[로빈 후드의 모험]]》''' || '''랄프 도슨''' || || 《알렉산더의 랙타임 밴드》 || 바바라 맥클린 || || 《그레이트 왈츠》 || 톰 헬드 || || 《테스트 파일럿》 || 톰 헬드 || || 《[[우리 집의 낙원]]》 || 진 하블릭 || == 특별상 == === [[아카데미 공로상|공로상]] === ||
'''수상''' || '''사유''' || || '''디애나 더빈'''(Deanna Durbin)[br]'''[[미키 루니]]''' || '''젊은 정신과 형상을 스크린에 가져온 것에 대한 큰 기여와 청소년 연기자로서 이룬 우수한 능력과 공로에 대하여.''' || || '''해리 M. 워너'''(Harry M. Warner) || '''건국 초기 자유를 위해 싸워온 미국인들의 중요한 사건들을 보여주는 역사 단편 영화들의 제작에 있어서의 애국적인 봉사를 인정하며.''' || || '''[[월트 디즈니]]''' || '''수백만 명을 매료시키고 애니메이션 장편 영화라는 새롭고도 거대한 엔터테인먼트 영역을 개척한 중요한 스크린 업적으로 인정받는 《[[백설공주와 일곱 난쟁이]]》에 대하여.''' || || '''올리버 마쉬'''(Oliver Marsh)[br]'''앨런 데이비'''(Allen Davey) || '''메트로-골드윈-메이어 제작 《스윗하트》의 컬러 촬영에 대하여.''' || || '''고든 제닝스 외 10인'''[* '''특수효과:''' Gordon Jennings, 보조: Jan Domela, Dev Jennings, Irmin Roberts, Art Smith, '''투명화(畵):''' Farciot Edouart, 보조: Loyal Griggs, '''음향효과:''' Loren Ryder, 보조: Harry Mills, Louis H. Mesenkop, Walter Oberst] || '''파라마운트 제작 《북해의 남아》'''(Spawn of the North)'''의 특수촬영 및 음향효과 작업에서의 뛰어난 공로에 대하여.''' || || '''J. 아서 볼'''(J. Arthur Ball) || '''영화 컬러 촬영의 발전에 대한 뛰어난 기여에 대하여.''' || === 과학기술상 === * 3종 * '''존 올버그'''(John Aalberg)''', [[RKO 라디오 픽쳐스]] 음향부서:''' for the application of compression to variable area recording in motion picture production. [음향] * '''브라이언 해스킨'''(Byron Haskin)''', [[워너 브라더스]] 특수효과부서:''' for pioneering the development and for the first practical application to motion picture production of the triple head background projector. [특수촬영] === 어빙 G. 솔버그 기념상 === * '''핼 B. 월리스'''(Hal B. Wallis) * 새뮤얼 골드윈(Samuel Goldwyn) * 조 파스테르나크 (Joe Pasternak) * 데이비드 O. 셀즈닉(David O. Selznick) * 헌트 스트롬버그(Hunt Stromberg) * 월터 와그너(Walter Wanger) * 대릴 F. 재넉(Darryl F. Zanuck) 어빙 G. 솔버그 기념상의 후보가 발표된 유일한 시상식이었다. == 이야깃거리 == * [[프랭크 카프라]]는 《[[우리 집의 낙원]]》으로 3번째 감독상을 받아 아카데미상을 3회 수상한 최초의 감독이 되었다.[* 첫 번째는 《[[어느 날 밤에 생긴 일]]》([[제7회 아카데미 시상식|1934]]), 두 번째는 《천금을 마다한 사나이》([[제9회 아카데미 시상식|1936]])] * 비영어권 영화(《[[위대한 환상]]》, [[프랑스]])가 작품상 후보에 오른 첫 번째 시상식이다. * 배우상 수상자 4명 중 여우조연상을 받은 페이 베인터를 제외한 3명이 이전에도 아카데미상을 수상했다. 이런 경우는 56년이 지난 [[제67회 아카데미 시상식|제67회 시상식]] 이전까진 이때가 유일했다. * [[조지 버나드 쇼]]는 자신의 희곡 《[[피그말리온#s-2]]》을 영화로 각색해 각색상을 받았고, [[노벨상]](1925년 [[노벨문학상]])과 아카데미상을 모두 수상한 최초의 인물이 되었다. 77년 뒤 [[밥 딜런]]이 아카데미상(2001년 주제가상)과 노벨상(2016년 노벨문학상)을 받기 이전까지는 유일한 인물이기도 했다. * [[라디오]] 중계가 금지되었는데, [[제2회 아카데미 시상식|1930년]]부터 아카데미 시상식을 중계해왔던 기자 조지 피셔가 몰래 부스 안에 숨어있다가 경비원들이 문을 부수고 끌고 가기 전까지 12분 동안 방송하는 일이 있었다. 이후 1942년 [[제14회 아카데미 시상식|제14회 시상식]]부터 라디오 중계가 다시 허용되었다. == 외부 링크 == * [[아카데미상]] 웹사이트 [[https://www.oscars.org/oscars/ceremonies/1939|#]] * 아카데미상 데이터베이스 [[https://awardsdatabase.oscars.org|#]] * [[영어 위키백과]] [[https://en.wikipedia.org/wiki/11th_Academy_Awards|#]] * 필름사이트 [[https://www.filmsite.org/aa38.html|#]] [[분류:아카데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