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여단)] [include(틀:보병여단)] [include(틀:제53보병사단 예하부대)] ||<-7> '''{{{#fff {{{+1 제126보병여단}}}}}}'''[br]'''{{{#fff 第126步兵旅團}}}'''[br]'''{{{#fff The 126th Infantry Brigade}}}''' || ||<-7> [[파일:제53보병사단 부대마크.svg|width=300]] || ||<-7> '''{{{#fff }}}''' || || '''{{{#fff 창설일}}}''' ||<-6>[[년|0000년]] [[월|00월]] [[일|00일]](제126보병연대)[br][[2020년]] [[12월 1일]]('''제126보병여단''') || || '''[[상징명칭|{{{#fff 상징명칭}}}]]''' ||<-6>'''코끼리부대, 장산대''' || || '''{{{#fff 소속}}}''' ||<-6>[[대한민국 육군]] || || '''{{{#fff 상급부대}}}''' ||<-6>[[제53보병사단]] || || '''{{{#fff 규모}}}''' ||<-6>[[여단]](대령급) || || '''{{{#fff 역할}}}''' ||<-6>[[부산광역시]] 수호 || || '''[[여단장|{{{#fff 여단장}}}]]''' ||<-6>[[대령]] 노현석 || || '''{{{#fff 위치}}}''' ||<-6>[[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좌동]] || ||<-7>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부산 제53보병사단, 너비=100%, 높이=100%)]}}}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 육군]] [[제2작전사령부]] [[제53보병사단]] 예하 '''제126보병여단.''' 별칭은 '''코끼리부대.''' == 상세 == [[여단장]]은 [[대령]]이며 예하 대대장은 [[중령]]급 지휘관이다. 여단 예하에 총 5개 대대가 존재한다. 부산광역시 지역 담당. 본부는 해운대에 있다. [[공병대대]], [[공군]]부대, [[예비군]]훈련장[* 동부산의 대부분 예비군 훈련장이 여기에 몰려있다.] 등이 같이 주둔해있으며 송정일대까지 영내가 연결되어있어 규모가 제법 크다.[* 이 때문에 각종 행군을 영내 코스만 돌아도 거리가 다 채워진다.] 특히 신해운대역 바로 코앞에 정문이 위치해있어 교통이 상당히 편리한데 오히려 사단본부보다 교통편이 더 좋다. 이 일대를 통칭해서 장산대라고 부르기도 한다. 원래 명칭은 제126보병연대였으나 [[국방개혁 2.0]] 기본계획에의거, 상비사단과 지역방위사단이 개편되어 126보병연대 역시 2020년부로 126보병여단으로 격상되었다. 2022년 12월자로 125여단 해체에 따라 125여단이 맡고있던 부산 남쪽지역의 위수업무를 넘겨받으면서[* 예비군 훈련장은 사단에서 직할로 담당하다가 송도, 개금예비군 훈련장은 126여단 소속으로 변경했다. 나머지는 사단 직할로 관리하다가 2030년 이내로 폐쇄될 예정이다.] 경남 양산지역을 39사단으로 넘겼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사실상 김해 생활권인 가락동을 왜 39사단으로 넘기지 않았는지는 의문을 품기도 한다.[* 가락동 상근예비역들이 위수지역 간 이동이 김해로 들어가야하는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부산 버스 122|122번]]을 이용하여 빙 들어가지 않는 한 김해로 무조건 점프를 뛰어야 해서 탈영이 되고, 이를 통해 가락동 거주 장병들을 잠재적 범법자로 만들어버렸기 때문이다.] == 예하부대 == === 여단직할중대 === * '''[[본부중대]]''' * '''[[기동중대]]''' * '''[[통신중대]]''' * '''[[의무중대]]''' * '''[[수송부대|수송정비중대]]''' * '''[[전투지원중대]]''' === 제2대대 백호 === 여단 본부에 위치해있으며, 남구·수영구 담당 === 제3대대 장산호랑이 === 해운대구·기장군 담당 === 제4대대 불사조 === 동래구·연제구 담당 === 제5대대 청송 === 여단 본부에 위치해있으며, 여단 본부 통합막사 내에서 유일하게 침대형 생활관이 있다. 금정구를 담당한다. === 제?대대 === 부산진구 개금3동에 위치해있으며 강서구, 부산진구, 북구, 사상구 예비군 훈련을 담당한다. === 제?대대 === 서구 암남동에 위치해있으며 서구, 중구, 사하구, 영도구, 동구 예비군 훈련을 담당한다. == 해체된 부대 == === 제1대대 양산 === 책임지역은 양산을 담당했으며 경남 양산시 상북면 좌삼리 주둔하고 있다.(양산대대[* 과거에는 마을 이름을 따서 좌삼부대라고 불렸는데 양산시에서 계속 명칭변경운동을 벌인 끝에 지금은 양산대대가 정착되었다.]) 대대(일반 예비군훈련장)와 석계동원훈련장이 서로 분리되어있다. 양산시 외곽에 위치해있긴 하지만 부대앞으로 시내버스가 바로 들어와 출타환경은 나쁘지 않다. 국방개혁 부대개편에 따라 2022년 12월 1일부로 해체되었으며, 양산은 김해대대가 담당하게 된다. 양산의 예비군중대 통제를 위해 김해대대와 예비군중대의 중간제대인 양산시 예비군지역대는 2023년 7월 1일 창설되었다. 어곡동원훈련장과 석계동원훈련장은 계속 유지되나 지역대 창설 전 까지는 김해로 가서 예비군 훈련을 받아야 했다. 현재는 지역대가 정상적으로 운영중이며 지역대장은 예비군지휘관중 예비역 소령이 맡는다. == 출신인물 == === [[여단장]] === ||'''볼드체'''는 [[대장(계급)|대장]] 진급이 된 연대장 및 여단장.|| ||<-6> '''{{{#fff 역대 제126보병여단장}}}''' || || '''{{{#fff 역대}}}''' || '''{{{#fff 이름}}}''' || '''{{{#fff 계급}}}''' || '''{{{#fff 임관}}}''' || '''{{{#fff 비고}}}''' || '''{{{#fff 기타}}}''' || || 초대 || 000 || 예) [[대령]] || [[육군사관학교|육사]] 00기 ||前 [[연대장]] || || || 00대 || [[신원식]] || 예) [[중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37기 ||現 [[대한민국 국방부장관|국방부장관]] || || || 00대 || [[장재환]] || 예) [[중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39기 ||前 [[제7기동군단]]장 || || || 20대 || 김형권 || 예) [[대령]] || [[학생군사교육단|학군]] 26기 ||前 [[연대장]] || || || 21대 || 김상옥 || 예) [[대령]] || [[학생군사교육단|학군]] 25기 ||前 [[연대장]] || || || 22대 || 서중구 || 예) [[대령]] || [[육군3사관학교|3사]] 24기 ||前 [[연대장]] || || || 23대 || [[이계철]] || [[소장(계급)|소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46기 ||現 [[육군종합군수학교]]장 || || || 26대 || [[김종묵]] || [[소장(계급)|소장]] || [[학생군사교육단|학군]] 32기 ||現 [[제39보병사단]]장 || || || 27대 || 김태선 || [[대령]] || [[학생군사교육단|학군]] 33기 ||現 [[1사단]] 참모장 || || || 28대 || 권기창 || [[대령]] || [[육군사관학교|육사]] 53기 ||現 [[여단장]] || || || 29대 || 노현석 || [[대령]] || [[육군사관학교|육사]] OO기 ||現 [[여단장]] || || === 장교/부사관 === * [[이상철(학군28기)|이상철]]: 해운대대대장 역임 === 병 === * [[이동형]]: 팟케스트 [[이박사와 이작가의 이이제이]]의 작가. 본인 얘기로는 조교출신이라 함.[* 본인이 제작하는 수많은 팟케와 유튜브채널등에서 군대썰이 나올때마다 수없이도 많이 언급해서 유명해졌다. 사실상 코끼리부대를 알린 유일한 사례. 복무당시 부조리가 매우 심했는데 약간의 구타라도 발생하면 즉시 사단급으로 소원수리를 날려 아무도 건들지 않았다고...] == 기타 == === 근무환경 === * 사단 내 타부대와 마찬가지로 부산,경남권의 온화한 날씨로 제설작전이 거의 없다. * 대부분의 부대와 다르게 도심권(해운대 장산)에 위치해 있어 굳이 휴가가 아니더라도 외출을 통해 충분한 자유를 느낄수 있다. * 교회가 있어 기독교 신자들은 주말에 예배가 가능하다.[* 천주교, 불교 신자들은 신교대로 간다.] * 통합막사 기준으로 체육관(a.k.a. 코끼리관)이 있어 개인 트레이닝이 가능하며 주둔지도 굉장히 넓어서 구보하기에도 좋다. 또한 2개의 인조잔디 풋살장, 대연병장이 있어 구기종목 하기에도 좋다. === 여단가 === 없음. == 사건 사고 == == 여담 == * 민간인 장산 일부지역 출입금지[* 몇몇 사람들은 이딴거없이 나물 캔다고 출입할 수도 있으니 주둔지 순찰간 유심있게 봐서 포상휴가 탈수 있도록 하자.] 때문인지 환경오염이 거의 없어 부대 내 산줄기를 따라 흐르는 계곡을 보면 [[갈겨니]], [[고라니]], [[멧돼지]], [[산딸기]]와 같이 도심에서 쉽게 보기힘든 동식물들을 구경할수 있다. [[분류:대한민국 육군]][[분류:제53보병사단]][[분류: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