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제14대 국회의원 선거]]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제14대 국회의원 선거/지역구 국회의원)] [목차] == 개요 == 본 [[항목]]은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의 [[전라북도]] [[지역구]] [[선거]] 결과를 정리하는 항목이다. [[선거구]]는 가나다순이 아니라 '''지역 선거관리위원회가 설치된 순서'''로 한다. 이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서 쓰는 공식 발표법이기 때문이다. == 결과 == === [[전주시 병|전주시 덕진구]] === ||<-4> {{{#ffffff {{{+1 '''전주시 덕진구'''}}}}}}[br]{{{#ffffff 덕진구 일원}}}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임방현]](林芳鉉) || 28,301 || 2위 || || [include(틀: 민주자유당)] || 24.37% || 낙선 || ||<|2> {{{#ffffff {{{+5 '''2'''}}}}}} || '''[[오탄]](吳坦)''' || '''67,301''' || '''1위''' || || [include(틀: 민주당(1991년))] || '''57.97%''' || '''{{{#000000 당선}}}''' || ||<|2> {{{#ffffff {{{+5 '''3'''}}}}}} || [[임광순]](任廣淳) || 13,771 || 3위 || || [include(틀: 통일국민당)] || 11.86% || 낙선 || ||<|2> {{{#ffffff {{{+5 '''4'''}}}}}} || 홍범식(洪範植) || 1,709 || 5위 || || [include(틀:신정치개혁당)] || 1.47% || 낙선 || ||<|2> {{{#ffffff {{{+5 '''5'''}}}}}} || 신금철(申金澈) || 301 || 7위 || || [include(틀:공명민주당)] || 0.26% || 낙선 || ||<|2> {{{#ffffff {{{+5 '''6'''}}}}}} || [[최형재]](崔炯宰) || 3,183 || 4위 || || [include(틀: 민중당(1990년))] || 2.74% || 낙선 || ||<|2> {{{#ffffff {{{+5 '''7'''}}}}}} || 김동진(金東鎭) || 1,432 || 6위 || || [include(틀: 무소속)] || 1.23%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70,815 ||<|3> '''투표율'''[br]68.70% || || '''투표 수''' || 117,351 || || '''무효표 수''' || 1,268 || 4년 전 맞붙었던 민자당 [[임방현]] 전 의원과 민주당 [[오탄]] 의원이 재대결했다. 4년 전에 비해 후보가 난립하면서 민주당 오탄 의원의 득표율은 어느정도 당연히 줄어들 수 밖에 없었으나, 기본적인 민주당 우위의 지역구도는 4년전과 별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민주당 오탄 후보가 다시 한 번 압승했다. === [[전주시 갑|전주시 완산구]] === ||<-4> {{{#ffffff {{{+1 '''전주시 완산구'''}}}}}}[br]{{{#ffffff 완산구 일원}}}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이연택]](李衍澤) || 31,564 || 2위 || || [include(틀: 민주자유당)] || 27.91% || 낙선 || ||<|2> {{{#ffffff {{{+5 '''2'''}}}}}} || '''[[장영달]](張永達)''' || '''69,509''' || '''1위''' || || [include(틀: 민주당(1991년))] || '''61.47%''' || '''{{{#000000 당선}}}''' || ||<|2> {{{#ffffff {{{+5 '''3'''}}}}}} || 허위남(許偉男) || 1,359 || 5위 || || [include(틀:신정치개혁당)] || 1.20% || 낙선 || ||<|2> {{{#ffffff {{{+5 '''4'''}}}}}} || [[손주항]](孫周恒) || 6,437 || 3위 || || [include(틀: 무소속)] || 5.69% || 낙선 || ||<|2> {{{#ffffff {{{+5 '''5'''}}}}}} || 한기호(韓起虎) || 4,204 || 4위 || || [include(틀: 무소속)] || 3.71%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60,714 ||<|3> '''투표율'''[br]71.18% || || '''투표 수''' || 114,394 || || '''무효표 수''' || 1,321 || 민주당은 김대중 총재 노선에 반기를 든 [[손주항]] 의원을 공천에서 탈락시키고, 젊은 민주화 운동가인 [[장영달]]씨를 공천했다. 민자당도 민주당 내 공천잡음을 기회로 생각하고, 호남 출신 최고위관료이자 [[노태우]] 대통령의 측근인 [[이연택]] 전 총무처장관을 공천했다. 이연택 후보도 선전했지만, 지역구도를 극복하지 못했다. 민주당 장영달 후보가 당선되었다. 공천에 반발해 무소속으로 출마한 손주항 의원은 10%도 못 득표하며, 4년 전 자신에게 밀려 낙선한 신민당 [[이철승]] 전 총재처럼 참패했다. === [[군산시]] === ||<-4> {{{#ffffff {{{+1 '''군산시'''}}}}}}[br]{{{#ffffff 군산시 일원}}}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강현욱]](姜賢旭) || 33,011 || 2위 || || [include(틀: 민주자유당)] || 36.89% || 낙선 || ||<|2> {{{#ffffff {{{+5 '''2'''}}}}}} || '''[[채영석]](蔡英錫)''' || '''38,281''' || '''1위''' || || '''[include(틀: 민주당(1991년))]''' || '''42.78%''' || '''당선''' || ||<|2> {{{#ffffff {{{+5 '''3'''}}}}}} || 신동안(申東安) || 4,094 || 4위 || || [include(틀: 통일국민당)] || 4.57% || 낙선 || ||<|2> {{{#ffffff {{{+5 '''4'''}}}}}} || 김종철(金鍾喆) || 1,499 || 5위 || || [include(틀: 민중당(1990년))] || 1.67% || 낙선 || ||<|2> {{{#ffffff {{{+5 '''5'''}}}}}} || 고세정(高世政) || 833 || 6위 || || [include(틀: 무소속)] || 0.93% || 낙선 || ||<|2> {{{#ffffff {{{+5 '''6'''}}}}}} || [[엄대우]](嚴大雨) || 11,758 || 3위 || || [include(틀: 무소속)] || 13.14%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23,779 ||<|3> '''투표율'''[br]73.15% || || '''투표 수''' || 90,545 || || '''무효표 수''' || 1,069 || 현역 [[채영석]] 의원과 압도적인 민주당 지역세에 맞서, 민자당은 이번에도 고위 관료를 공천했다. 4년 전에 출마했던 [[고건]] 전 내무부장관 대신, 이번에는 [[강현욱]] 전 경제기획원 차관을 공천했다. 강현욱 후보가 꽤 선전했으나, 6% 차이로 민주당 채영석 후보가 신승했다. 강현욱 후보는 낙선했으나 선전을 인정받아, 직후 [[농림수산부]] 장관으로 임명되었다. 이후 [[1995년]] [[제1회 지방선거]]에 [[전라북도지사]]에 출마해 다시 한 번 민주당 [[유종근]] 후보에게 낙선하나, 30% 이상의 득표를 기록하며 선전했고 군산시에서는 1위를 했다. 그리고 다음해에 치러진 [[1996년]] [[제15대 국회의원 선거]]때 군산시 을 선거웨 출마해 [[새정치국민회의]] [[강철선]] 후보를 꺾고 승리한다. === [[이리시]] === ||<-4> {{{#ffffff {{{+1 '''이리시'''}}}}}}[br]{{{#ffffff 이리시 일원}}}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공천섭]](孔千燮) || 24,348 || 2위 || || [include(틀: 민주자유당)] || 26.41% || 낙선 || ||<|2> {{{#ffffff {{{+5 '''2'''}}}}}} || '''[[이협(정치인)|이협]](李協)''' || '''61,100''' || '''1위''' || || '''[include(틀: 민주당(1991년))]''' || '''66.28%''' || '''당선''' || ||<|2> {{{#ffffff {{{+5 '''3'''}}}}}} || [[김득수]](金得洙) || 626 || 6위 || || [include(틀: 신정치개혁당)] || 0.67% || 낙선 || ||<|2> {{{#ffffff {{{+5 '''4'''}}}}}} || 손인범(孫仁范) || 1,532 || 4위 || || [include(틀: 민중당(1990년))] || 1.66% || 낙선 || ||<|2> {{{#ffffff {{{+5 '''5'''}}}}}} || [[박경철(정치인)|박경철]](朴慶澈) || 3,708 || 3위 || || [include(틀: 무소속)] || 4.02% || 낙선 || ||<|2> {{{#ffffff {{{+5 '''6'''}}}}}} || 정창기(鄭昌基) || 863 || 5위 || || [include(틀: 무소속)] || 0.93%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26,515 ||<|3> '''투표율'''[br]73.57% || || '''투표 수''' || 93,083 || || '''무효표 수''' || 906 || 현역 의원인 민주당 [[이협]] 후보가 쌍방울 사장을 지낸 민자당 [[공천섭]] 후보와의 재대결에서 다시 큰 표차로 이기며 재선에 성고했다. 한편 인접 익산군 선거구의 평민당 공천을 받지 못하고 지역구를 옮겨 이곳에 도전한 신정당 [[김득수]] 후보는 최하위에 그친다. === [[정읍시(선거구)|정주시·정읍군]] === ||<-4> {{{#ffffff {{{+1 '''정주시·정읍군'''}}}}}}[br]{{{#ffffff 정주시 일원, 정읍군 일원}}}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정원조(鄭源朝) || 11,836 || 2위 || || [include(틀: 민주자유당)] || 15.90% || 낙선 || ||<|2> {{{#ffffff {{{+5 '''2'''}}}}}} || '''[[김원기(1937)|김원기]](金元基)''' || '''55,616''' || '''1위''' || || [include(틀: 민주당(1991년))] || '''74.74%''' || '''{{{#000000 당선}}}''' || ||<|2> {{{#ffffff {{{+5 '''3'''}}}}}} || 권영신(權寧信) || 2,570 || 4위 || || [include(틀: 무소속)] || 3.45% || 낙선 || ||<|2> {{{#ffffff {{{+5 '''4'''}}}}}} || 정태진(鄭泰辰) || 4,382 || 4위 || || [include(틀: 무소속)] || 5.88%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06,469 ||<|3> '''투표율'''[br]70.94% || || '''투표 수''' || 75,527 || || '''무효표 수''' || 1,123 || 평민당 원내총무를 지낸 [[김원기(1937)|김원기]] 의원이 무난히 당선된다. === [[남원시]]·남원군 === ||<-4> {{{#ffffff {{{+1 '''남원시·남원군'''}}}}}}[br]{{{#ffffff 남원시 일원, 남원군 일원}}}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양창식]](梁昶植)''' || '''20,491''' || '''1위''' || || [include(틀:민주자유당)] || '''34.19%''' || '''당선''' || ||<|2> {{{#ffffff {{{+5 '''2'''}}}}}} || [[조찬형]](趙贊衡) || 19,916 || 2위 || || [include(틀:민주당(1991년))] || 33.23% || 낙선 || ||<|2> {{{#ffffff {{{+5 '''3'''}}}}}} || [[이형배]](李炯培) || 19,519 || 3위 || || [include(틀:무소속)] || 32.57%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75,406 ||<|3> '''투표율'''[br]80.73% || || '''투표 수''' || 60,876 || || '''무효표 수''' || 950 || 4년 전 [[평화민주당|평민당]] 공천 경쟁에서 [[조찬형]] 후보가 승리하여 남원에서 당선되었고, [[이형배]] 후보는 전국구에 배정되어 당선되었다. 4년 후에 [[민주당(1991년)|민주당]] 남원 지역구 공천을 놓고 두 사람이 다시 맞붙은 결과, 또 다시 조찬형 후보가 공천되었고, 이형배 후보는 이번에는 민주당을 탈당하여 무소속 출마를 감행한다. 그리하여 [[민주정의당|민정당]] 소속으로 이 지역 11, 12대 의원을 지낸 [[양창식]] 후보와 두 민주당 계열 후보 간의 삼파전이 벌어졌고, 1~3위 간 표차가 1000표 미만인 치열한 접전 끝에 [[민주자유당|민자당]] 양창식 후보가 당선되었다. === [[완주군]] === ||<-4> {{{#ffffff {{{+1 '''완주군'''}}}}}}[br]{{{#ffffff 완주군 일원}}}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신동욱(申東昱) || 9,160 || 2위 || || [include(틀: 민주자유당)] || 20.83% || 낙선 || ||<|2> {{{#ffffff {{{+5 '''2'''}}}}}} || '''[[김태식(정치인)|김태식]](金台植)''' || '''28,899''' || '''1위''' || || '''[include(틀: 민주당(1991년))]''' || '''65.72%''' || '''당선''' || ||<|2> {{{#ffffff {{{+5 '''3'''}}}}}} || 송주인(宋柱仁) || 5,910 || 3위 || || [include(틀: 통일국민당)] || 13.44%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61,615 ||<|3> '''투표율'''[br]72.81% || || '''투표 수''' || 44,859 || || '''무효표 수''' || 890 || 현역 의원인 민주당 [[김태식(정치인)|김태식]] 후보가 무난히 당선되었다. === [[진안군·무주군·장수군·임실군|진안군·무주군·장수군]] === ||<-4> {{{#ffffff {{{+1 '''진안군·무주군·장수군'''}}}}}}[br]{{{#ffffff 진안군 일원, 무주군 일원, 장수군 일원}}}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황인성(1926)|황인성]](黃寅性)''' || '''32,280''' || '''1위''' || || [include(틀: 민주자유당)] || '''51.05%''' || '''당선''' || ||<|2> {{{#ffffff {{{+5 '''2'''}}}}}} || [[오상현]](吳上鉉) || 24,989 || 2위 || || [include(틀:민주당(1991년))] || 39.52% || 낙선 || ||<|2> {{{#ffffff {{{+5 '''3'''}}}}}} || [[이상옥(1950)|이상옥]](李相玉) || 5,962 || 3위 || || [include(틀:통일국민당)] || 9.42%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79,673 ||<|3> '''투표율'''[br]85.50% || || '''투표 수''' || 64,333 || || '''무효표 수''' || 1,102 || === [[임실군]]·[[순창군]] === ||<-4> {{{#ffffff {{{+1 '''임실군·순창군'''}}}}}}[br]{{{#ffffff 임실군 일원, 순창군 일원}}}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최용안]](崔容安) || 13,893 || 2위 || || [include(틀:민주자유당)] || 27.67% || 낙선 || ||<|2> {{{#ffffff {{{+5 '''2'''}}}}}} || '''[[홍영기(1918)|홍영기]](洪英基)''' || '''24,204''' || '''1위''' || || [include(틀:민주당(1991년))] || '''48.21%''' || '''당선''' || ||<|2> {{{#ffffff {{{+5 '''3'''}}}}}} || 신호(申澔) || 1,557 || 4위 || || [include(틀:무소속)] || 3.10% || 낙선 || ||<|2> {{{#ffffff {{{+5 '''4'''}}}}}} || 양영두(梁永斗) || 10,548 || 3위 || || [include(틀:무소속)] || 21.01%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65,927 ||<|3> '''투표율'''[br]77.34% || || '''투표 수''' || 50,991 || || '''무효표 수''' || 789 || === [[고창군]] === ||<-4> {{{#ffffff {{{+1 '''고창군'''}}}}}}[br]{{{#ffffff 고창군 일원}}}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이호종(1929)|이호종]](李昊鍾) || 17,868 || 2위 || || [include(틀:민주자유당)] || 36.49% || 낙선 || ||<|2> {{{#ffffff {{{+5 '''2'''}}}}}} || '''[[정균환]](鄭均桓)''' || '''26,061''' || '''1위''' || || '''[include(틀:민주당(1991년))]''' || '''53.22%''' || '''당선''' || ||<|2> {{{#ffffff {{{+5 '''3'''}}}}}} || [[노동채]](魯棟采) || 5,034 || 3위 || || [include(틀:통일국민당)] || 10.28%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64,004 ||<|3> '''투표율'''[br]77.6% || || '''투표 수''' || 49,669 || || '''무효표 수''' || 706 || 4년 전과 마찬가지로 현역 의원이 된 민주당 [[정균환]] 후보와 민자당 [[이호종(1929)|이호종]] 후보가 맞대결을 펼쳤다. 지역 특성상 이번에도 정균환 후보가 무난히 당선되었다. 또다시 낙선한 이호종 후보는 눈길을 기초단체장 선거로 돌렸다. 3년 뒤 고창군수 선거에 출마해 당선되었다. === [[부안군]] === ||<-4> {{{#ffffff {{{+1 '''부안군'''}}}}}}[br]{{{#ffffff 부안군 일원}}}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고명승]](高明昇) || 20,529 || 2위 || || [include(틀:민주자유당)] || 42.33% || 낙선 || ||<|2> {{{#FFFFFF {{{+5 '''2'''}}}}}} || '''[[이희천]](李熙天)''' || '''22,422''' || '''1위''' || || '''[include(틀:민주당(1991년))]''' || '''46.23%''' || '''당선''' || ||<|2> {{{#ffffff {{{+5 '''3'''}}}}}} || [[최규환(정치인)|최규환]](崔奎煥) || 4,432 || 4위 || || [include(틀:통일국민당)] || 9.13% || 낙선 || ||<|2> {{{#ffffff {{{+5 '''4'''}}}}}} || 김송철(金松喆) || 215 || 5위 || || [include(틀:무소속)] || 0.44% || 낙선 || ||<|2> {{{#FFFFFF {{{+5 '''5'''}}}}}} || 김종수(金鐘洙) || 536 || 3위 || || [include(틀:무소속)] || 1.10% || 낙선 || ||<|2> {{{#FFFFFF {{{+5 '''6'''}}}}}} || 장종현(張鐘鉉) || 361 || 3위 || || [include(틀:무소속)] || 0.74%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62,675 ||<|3> '''투표율'''[br]78.40% || || '''투표 수''' || 49,143 || || '''무효표 수''' || 648 || [[하나회]]의 일원이자 [[전두환]] 정부시절 3군사령관까지 오르며 승승장구했던 [[고명승]] 예비역 대장이 민자당 후보로 출마했다. 전두환에 대한 호남의 반감에도 불구하고, 현역 의원인 민주당 [[이희천]] 후보를 2,000여표까지 추격하며 크게 선전했다. 민자당 공천에서 탈락한 [[최규환(정치인)|최규환]]씨가 국민당 후보로 출마해서 표를 가르지 않았으면 당선되었을 가능성도 매우 높다. === [[김제시|김제시·김제군]] === ||<-4> {{{#ffffff {{{+1 '''김제시·김제군'''}}}}}}[br]{{{#ffffff 김제시, 김제군 일원}}}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이건식]](李建植) || 26,427 || 2위 || || [include(틀: 민주자유당)] || 38.05% || 낙선 || ||<|2> {{{#ffffff {{{+5 '''2'''}}}}}} || '''[[최락도]](崔洛道)''' || '''41,886''' || '''1위''' || || '''[include(틀: 민주당(1991년))]''' || '''60.32%''' || '''당선''' || ||<|2> {{{#ffffff {{{+5 '''3'''}}}}}} || 노귀철(盧貴澈) || 1,125 || 3위 || || [include(틀: 신정치개혁당)] || 1.62%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95,619 ||<|3> '''투표율'''[br]73.74% || || '''투표 수''' || 70,512 || || '''무효표 수''' || 1,074 || === [[옥구군]] === ||<-4> {{{#ffffff {{{+1 '''옥구군'''}}}}}}[br]{{{#ffffff 옥구군 일원}}}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원형연(元亨淵) || 12,771 || 2위 || || [include(틀: 민주자유당)] || 34.04% || 낙선 || ||<|2> {{{#ffffff {{{+5 '''2'''}}}}}} || '''[[강철선]](姜喆善)''' || '''18,878''' || '''1위''' || || '''[include(틀: 민주당(1991년))]''' || '''50.31%''' || '''당선''' || ||<|2> {{{#ffffff {{{+5 '''3'''}}}}}} || 채의석(蔡宜錫) || 5,868 || 3위 || || [include(틀: 통일국민당)] || 15.64%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48,401 ||<|3> '''투표율'''[br]78.80% || || '''투표 수''' || 38,141 || || '''무효표 수''' || 624 || === [[익산군]] === ||<-4> {{{#ffffff {{{+1 '''익산군'''}}}}}}[br]{{{#ffffff 익산군 일원}}}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조남조]](趙南熙) || 23,676 || 2위 || || [include(틀: 민주자유당)] || 41.37% || 낙선 || ||<|2> {{{#ffffff {{{+5 '''2'''}}}}}} || '''[[최재승]](崔在昇)''' || '''31,046''' || '''1위''' || || '''[include(틀: 민주당(1991년))]''' || '''54.24%''' || '''당선''' || ||<|2> {{{#ffffff {{{+5 '''3'''}}}}}} || 류재석(柳在石) || 1,631 || 3위 || || [include(틀: 통일국민당)] || 2.84% || 낙선 || ||<|2> {{{#ffffff {{{+5 '''4'''}}}}}} || [[오승엽]](吳承燁) || 876 || 4위 || || [include(틀: 신정치개혁당)] || 1.53%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73,694 ||<|3> '''투표율'''[br]78.73% || || '''투표 수''' || 58,017 || || '''무효표 수''' || 78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