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2020년]] 개최되는 [[지지옥션배 신사 대 숙녀 연승대항전]]을 서술한 문서. == 전기 대회 == [[제13회 지지옥션배 신사 대 숙녀 연승대항전]] == 14회 아마연승대항전 선발전 및 일람 == === 선발전 === ||<-4> 신사1조 ||<-4> 신사2조 ||<-4> 신사3조 ||<-4> 신사4조 ||<-4> 신사5조 || || 김동근 || 양세모 || 박강수 || 이철주 || 박윤서 || 이병희 || 권병훈 || 김희중 || 장시영 || 김세현 || 서부길 || 안재성 || 양창연 || 최진복 || 이용만 || 최호철 || 김경래 || 장부상 || 김정우 || 양덕주 || ||<-2> 양세모 ||<-2> 박강수 ||<-2> 이병희 ||<-2> 김희중 ||<-2> 김세현 ||<-2> 서부길 ||<-2> 양창연 ||<-2> 이용만 ||<-2> 장부상 ||<-2> 김정우 || ||<-4> 박강수 ||<-4> 김희중 ||<-4> 김세현 ||<-4> 이용만 ||<-4> 김정우 || ||<-3> 숙녀1조 ||<-3> 숙녀2조 ||<-3> 숙녀3조 ||<-3> 숙녀4조 ||<-3> 숙녀5조 || ||<|2> 이루비 || 김희수 || 조시연 ||<|2> 정지우 || 김지수 || 이선아 ||<|2> 조은진 || 한지원 || 조경진 ||<|2> 권가양 || 김세영 || 서수경 ||<|2> 송예슬 || 강경낭 || 김현아 || ||<-2> 김희수 ||<-2> 김지수 ||<-2> 한지원 ||<-2> 서수경 ||<-2> 김현아 || ||<-3> 이루비 ||<-3> 김지수 ||<-3> 조은진 ||<-3> 권가양 ||<-3> 김현아 || * 아마추어랭킹시드 : 신사-조민수 숙녀-박예원 * 후원사와일드카드 : 신사-권병훈 숙녀-고미소 === 아마연승대항전 본선 === * 일정 : 6월 16일 (화)~ , 매주 월화 저녁 7시 바둑TV 생방송 * 30분 초읽기 40초 5회 ||<:>대국구분||<:>일자||<:>신사팀||<:>숙녀팀||<:>결과|| ||<:>01국||<:>6월 16일 [화]||<:>김정우||<:><|2>김지수||<:>322수[br]흑 2집반승|| ||<:>02국||<:>6월 22일 [월]||<:><|4>박강수||<:>247수[br]흑 불계승|| ||<:>03국||<:>6월 23일 [화]||<:>고미소||<:>180수[br]백 불계승|| ||<:>04국||<:>6월 29일 [월]||<:>김현아||<:>197수[br]흑 불계승|| ||<:>05국||<:>6월 30일 [화]||<:><|3>이루비||<:>196수[br]백 불계승|| ||<:>06국||<:>7월 06일 [월]||<:>이용만||<:>150수[br]백 불계승|| ||<:>07국||<:>7월 07일 [화]||<:><|4>'''김희중'''(최종4승)||<:>231수[br]흑 불계승|| ||<:>08국||<:>7월 13일 [월]||<:>권가양||<:>201수[br]흑 불계승|| ||<:>09국||<:>7월 14일 [화]||<:>박예원||<:>183수[br]흑 불계승|| ||<:>10국||<:>7월 20일 [월]||<:>조은진||<:>267수[br]백 8집반승|| 9국 시점에서 숙녀팀이 패배함으로서 숙녀팀에는 조은진 선수만 남게 됐다. 그에 반해 신사팀은 9국 종료전 기준으로 김희중 선수가 지더라도 김세현-권병훈-조민수... 그리고 결국 김희중 선수가 승부를 결정지었다. == 14회 프로연승대항전 선발전 및 일람 == === 예선(선발전) === [[파일:14회 지지프로예선대진표.png]] 신사팀 와일드카드 : 김영삼 숙녀팀 와일드카드 : 오정아 본방송 대국[* 예선 결승 한정] * 7. 27 방송 * 김동면 - __김동엽__(B그룹 1조 / 흑 불계승)[* 2년 연속 본선안착] * __한종진__ - 김영삼(A그룹 2조 / 백 불계승)[* 지난해 5연승의 주역이다.] * 7. 28 방송 * 강다정 - __박지연__(2조 / 백 불계승)[* 간만의 본선진출이다.] * __조승아__ - 김경은(8조 / 백 불계승)[* 이 때 후반부 즘부터 다음날 시니어리그 생중계 전까지(!) 유튜브스트리밍 사운드가 먹통이 되었다.] === 본선 일람 === * 일정 : 8월 3일(월)~, 매주 월화 저녁 7시 바둑TV 생방송[* 유튜브(오로바둑TV) 중계 대국이 있긴 하지만, 보통은 바둑TV에서만 하는 경우가 많다.] * 팀별 출전선수(와.카 = 와일드카드) * 신사 : '''패배''' / --이창호-유창혁-이성재-안조영-김종수-김동엽-한종진-안관욱-이상훈-백대현-김수장-김영삼(와.카)-- * 숙녀 : '''승리''' / 최정-오유진-김채영-이민진---박지은-김혜민-조승아-오정아(와.카)-김미리-이영주-박지연-김수진-- || 대국구분 || 일자 || 신사팀 || 숙녀팀 || 결과 || 중계플랫폼 || || 01국 || 8월 3일[월] || 김영삼 ||<|2> 김수진 || 354수 백 11집반승 ||<|4> 바/오[* 이 표기는 '''바'''둑TV와 유튜브의 '''오'''로바둑TV에서, 볼드처리된 글자를 따왔다. 유튜브에서의 해설은 한철균이다.] || || 02국 || 8월 4일[화] ||<|2> 김수장 || 195수 흑 불계승 || || 03국 || 8월 10일[월] ||<|5> 박지연 || 244수 백 불계승 || || 04국 || 8월 11일[화] || 백대현 || 323수 백 3집반승 || || 05국 || 8월 17일[월] || 이상훈 || 185수 흑 불계승 || 바[* 이 표기의 경우 바둑TV 측만 중계한 날에 해당] || || 06국 || 8월 18일[화] || 안관욱 || 263수 백 2집반승 || 바/오 || || 07국 || 8월 24일[월] ||<|2> 한종진 || 283수 흑 불계승 ||<|13> 바 || || 08국 || 8월 25일[화] ||<|2> 이영주 || 311수 흑 2집반승 || || 09국 || 8월 31일[월] ||<|2> 김동엽 || 319수 흑 불계승 || || 10국 || 9월 1일[화] ||<|3> 김미리 || 235수 백 12집반승 || || 11국 || 9월 7일[월] || 김종수 || 220수 백 불계승 || || 12국 || 9월 8일[화] ||<|6> 안조영 || 329수 백 7집반승 || || 13국 || 9월 14일[월] || 오정아 || 237수 흑 불계승 || || 14국 || 9월 15일[화] || 조승아 || 151수 흑 불계승 || || 15국 || 9월 21일[월] || 김혜민 || 131수 흑 불계승 || || 16국 || 9월 22일[화] || 박지은 || 233수 흑 불계승 || || 17국 || 9월 28일[월] ||<|4> 이민진[br](최종 4연승) || 290수 백 불계승 || || 18국 || 9월 29일[화] || 이성재 || 131수 흑 불계승 || || 19국 || 10월 5일[월] || 유창혁 || 164수 백 불계승 || || 20국 || 10월 6일[화] || 이창호[br](마지막 선수) || -수 백 반집승 || 바/오 || * 4국은 백대현 9단이 다 이겨놓은 바둑을 확실히 이길려다가, 중앙이 자충으로 패가 걸리면서, 오히려 박지연 5단이 역전승을 거두었다. 그리고 이상훈과의 대국에서 불계승을 받아내면서 기어코 초반부터 3연승을 숙녀팀이 달성하였다. 5연승을 코앞에 두고 박지연이 패배를 하긴 했지만, 신사팀 입장에선 그야말로 ...--강한 선수가 필요하다..-- 그러다 안조영이 5연승을 함으로서 압살의 결말은 피하게 됐다. 그러나 20국 이창호 선수를 끝으로 숙녀팀이 우승을 차지하였다. ---- ||<-6> 이벤트매치 || || 대국구분 || 일자 || 신사팀(어린이영재[* 괄호는 현재 연구생 조 구분]/흑번) || 숙녀팀(여자정상/백번) || 결과 || 중계플랫폼 || || 1국 || 10. 12[월] || 조상연(4조) || 김채영 || 백 불계승 ||<|3> 바 || || 2국 || 10. 13[화] || 기민찬(2조) || 최정 || 백 불계승 || || 3국 || 10. 14[수] || 김민서(4조) || 오유진 || 백 불계승 || == 여담 및 논란 == 지난 대회에서도 그랬을테지만, 해설진의 발언이 문제가 되었다고 보는 바둑팬도 나왔다. 이번 대회에서는 프로대항전 20국 종반 수순 때의 "'''저 수는 얄미운 수'''"라고 한 대목이다. 하지만, 그것이 문제가 되는 것인지 판단하는 건 한국기원(바둑TV)의 몫이지 바둑팬의 몫은 결과적으론 아니다. 바둑팬 하나하나의 의견은 소중할 수 있어 의견을 낼 수야 있지만, 별 문제 없다고 판단했음에도 그 자체가 불편하다면 [[프로불편러|바둑TV 입장에서 그들은(또는 그는)..]] == 차기 대회 == [[제15회 지지옥션배 신사 대 숙녀 연승대항전]] [[분류:지지옥션배 신사 대 숙녀 연승대항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