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일본 내각)]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D7003A 0%, #D7003A)" {{{#fff '''레이와 시대[br]{{{+1 제2차 기시다 제2차 개조내각}}}'''[br]'''第2次岸田第2次改造内閣 | 2nd Kishida Cabinet (2nd Reshuffled)'''}}}}}} || ||<-2> {{{#!wiki style="margin: -16px -11px" ||<-2> '''[[2023년|{{{#D7003A 2023년}}}]] [[9월 13일|{{{#D7003A 9월 13일}}}]] {{{#D7003A ~ 현재}}}''' || || '''{{{#fff 출범 이전}}}''' || '''{{{#fff 이후}}}''' || || '''[[제2차 기시다 제1차 개조내각|{{{#D7003A 제2차 기시다 내각[br]{{{-2 (제1차 개조내각)}}}}}}]]''' || '''{{{#D7003A -}}}''' ||}}} || || {{{#fff '''내각총리대신'''}}} ||[[기시다 후미오]] ,,/ 제101대 (제27대 [[자유민주당(일본)|자유민주당]] 총재, 제40~49대 중의원 의원),,|| || {{{#fff '''여당'''}}}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 || {{{#fff '''연립여당'''}}} ||[include(틀:공명당)]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제2차 기시다 제2차 개조내각 공식사진.jpg|width=100%]]}}}|| || '''{{{-1 ▲ 제2차 기시다 제2차 개조내각 출범 기념사진}}}''' || [목차] [clearfix] == 개요 == [[2023년]] [[9월 13일]]에 출범한 제101대 내각총리대신 [[기시다 후미오]]의 내각. [[기시다 후미오]] 총리는 9월 8일, 여당 간부들에게 오는 9월 13일에 내각 개각을 단행하겠다고 밝혔다.[[https://www.yomiuri.co.jp/politics/20230908-OYT1T50271/|#]] 기존 내각 뿐만 아니라 당 지도부 임원 일부도 교체된다. [[제2차 기시다 제1차 개조내각|전임 내각]]에서 여러 국무대신과 총리 비서관, 정무관들이 각종 사건 사고들을 일으켜 경질이나 사임 등을 포함해 4개월만에 무려 '''5명'''이나 낙마하면서 내각에 대한 여론이 급속도로 악화되었고, 기시다 총리는 마침 두 차례의 [[2023년 한일정상회담|한일정상회담]]과 [[2023년 한미일정상회담|한미일정상회담]], [[2023년 G7 히로시마 정상회의|G7 정상회의]] 개최 등의 시기를 틈 타 내각 개조를 단행했다. 전후 태생자들만 있는 첫 개조된 내각이다. == 국무대신 == [include(틀:제2차 기시다 제2차 개조내각의 국무대신)] === 인사 기조 === * 자민당 내에선 [[아소 다로]] 부총재와 [[모테기 도시미쓰]] 간사장, [[하기우다 고이치]] 정무조사회장은 유임되었다. 또한 [[오부치 유코]] 조직운동본부장이 선대위원장직을 겸임하며, [[엔도 도시아키]] 총무회장은 교체되어 [[모리야마 히로시]] 선거대책위원장이 총무회장직에 내정되었다. [[https://news.yahoo.co.jp/articles/e1b4b85b499ea8135a0dffc334d775d1671ae54d|#]] [[https://www.yomiuri.co.jp/politics/20230912-OYT1T50007/|##]] * [[고노 다로]] 디지털대신과 [[다카이치 사나에]] 경제안보대신, [[마쓰노 히로카즈]] 내각관방장관은 유임된다.[[https://news.yahoo.co.jp/articles/e1b4b85b499ea8135a0dffc334d775d1671ae54d|#]] [[https://www.yomiuri.co.jp/politics/20230912-OYT1T50007/|##]] 이 셋은 전부 포스트 기시다로 불리고있는 유력한 차기 총리 후보들인데, 대신 다른 유력한 후보인 [[하야시 요시마사]] 외무대신과 [[가토 가쓰노부]] 후생노동대신은 교체되었다. * [[기하라 세이지]] 내각관방 부장관은 본인의 퇴임 의사에 따라 교체된다.[[https://www.asahi.com/sp/articles/ASR9C7FTTR9CUTFK01D.html|#]] 후임에는 무라이 히데키 총리비서관이 내정된다.[[https://www.nikkei.com/article/DGXZQOUA122N60S3A910C2000000/|##]] * 연립여당인 [[공명당]]의 [[야마구치 나쓰오]] 대표가 기시다 총리와 만나 내각 개조에 대한 요망을 전했다고하며, 공명당 소속의 [[사이토 데쓰오]] 국토교통대신은 유임된다.[[https://jp.reuters.com/world/japan/K2M2HCO7KVN55LK4VBDS6UZMOI-2023-09-12/|#]] * 여성 대신이 5명으로 역대 내각 중 여성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전에는 [[제1차 고이즈미 내각]]과 [[제2차 아베 신조 내각]]이 4명으로 가장 높았었다.] 기시다 정부의 목표치인 30%엔 못미치지만 25%로 점차 가까워지는 중이다. 하지만 부대신과 정무관인 차관급에 남성이 54명이라며 남성 일색이라는 비판이 나왔다[[https://www.google.com/amp/s/m.yna.co.kr/amp/view/AKR20230916027300073?bshm=rime/2|#]] * 이례적으로 야당인 [[국민민주당(2020년)|국민민주당]] 소속 [[야타 와카코]] 前 부대표가 내각총리대신 보좌관에 내정되었다. [[국민민주당(2018년)|과거]] [[입헌민주당(2017년)|입헌민주당]]과의 합당 논의 과정에서 갈등을 빚어 당 내의 일부 중도-보수파들이 분당하여 우경화되었던 국민민주당이 [[입헌민주당(2020년)|입헌민주당]], [[일본공산당]], [[사회민주당(일본)|사회민주당]], [[레이와 신센구미]] 간의 야당공투에서 탈퇴하고, 미미하지만 친[[자유민주당(일본)|자민당]]-[[일본 유신회(2016년)|유신회]] 성향을 보이면서 자공 연립 정권이 국민민주당에게도 연립 정권 참여의 가능성이 있다는걸 보여줬다는 평가가 있다. * 전반적으로 연공서열에 따라 입각 선수[* 중의원 5선 이상 또는 참의원 3선 이상]와 나이가 있는 다선 의원들이 입각했다. 내년에 실시될 차기 총재 선거를 앞둔 계파 안배 성향이 매우 짙다. * 19명의 대신 중 13명이 교체되었으며, 6명[* 스즈키 슌이치, 니시무라 야스토시, 사이토 데쓰오, 고노 다로, 다카이치 사나에, 마쓰노 히로카즈]은 유임되었다. === 계속되는 내각 인사 낙마 === * 2023년 10월 26일, [[야마다 다로]] 문부과학 정무관이 한 언론사에 의해 불륜 관계가 발각되어 정무관직을 사임했다.[[https://bunshun.jp/articles/-/66637|#]] [[https://www.nikkei.com/article/DGXZQOUA260NK0W3A021C2000000/|##]] * 2023년 10월 31일, [[가키자와 미토]] 법무부대신이 2023년 4월 도쿄 고토구장 선거 당시 자민당 구의원들에게 20만엔 상당의 현금을 제공한 것이 발각되어 부대신직을 사임했다.[[https://www.yomiuri.co.jp/national/20231110-OYT1T50051/|#]] 이후 12월 14일 자민당을 탈당했고, 12월 28일 검찰 구속되었다. * 2023년 11월 13일, 간다 겐지 재무부대신이 세금 체납 문제로 인해 부대신직을 사임했다.[[https://www.nikkei.com/article/DGXZQOUA108220Q3A111C2000000/|#]] === 2023년 12월 개각 인사 기조 === * 아베파 인사 중에서 가장 자금 논란이 큰 4명 [[마쓰노 히로카즈]] 내각관방장관과 [[니시무라 야스토시]] 경제산업대신, [[미야시타 이치로]] 농림수산대신, [[스즈키 준지]] 총무대신은 각각 [[하야시 요시마사]], [[사이토 겐]], [[사카모토 데쓰시]], [[마쓰모토 다케아키]]로 교체됐다. * 마찬가지로 정치 자금 논란이 있는 [[세코 히로시게]] 참의원 간사장과 [[하기우다 고이치]] 정무조사회장, [[다카기 쓰요시]] 국회대책위원장은 스스로 사임을 표명했다.[[https://news.yahoo.co.jp/articles/03349fc8f9402e6f988423d631395549aff4f29b|#]] [[https://news.yahoo.co.jp/articles/a51daf212c1311928b5bc28d1afb9b5a1ed38b42|##]] [[https://news.yahoo.co.jp/pickup/6484863|###]] * [[세이와 정책연구회|아베파]] 소속의 중의원 초선 의원 출신 대신정무관 5명은 유임됐다. * [[사토 게이]] 재무대신 정무관 또한 교체되어 후임으로 신도 가네히코 참의원 의원이 내정되었다.[[https://news.yahoo.co.jp/articles/f43750e6aed00da2faa448a209c4e11646991489|#]] * 미야자와 히로유키 부대신이 정치자금 문제로 12월 14일 사임을 표명했다.[[https://news.yahoo.co.jp/articles/adbd01ef87af4a4c52b87c8aaacd46a80a5cc62e|#]] [[분류:기시다 내각]][[분류:2020년대]][[분류:레이와 시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