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몽전쟁]] 1차침입 때 [[평안남도 순천시]] 자산에서 벌어진 전투를 찾는다면 [[제1차 자모산성 전투]] 항목으로 * [[병자호란]] 당시 [[강원도]] [[철원군]] 김화읍에서 벌어진 전투를 찾는다면 [[자모산성 전투]] 항목으로 ||<-3><#C0C0FF><:> {{{+1 제2차 자모산성 전투}}} || ||<-3> [[파일:attachment/jamosansung12.png]][br]자모산성 || ||<:><#C0C0FF> '''시기''' ||<-2>[[고종(고려)|고종]] 23년(1236년) 6월 병신일 ~ 7월 정유일[* 양력으로는 1236년 7월 15일 ~ 1236년 8월 15일] || ||<:><#C0C0FF> '''장소''' ||<-2>자모산성 (現 [[평안남도 순천시]] 자산) || ||<:><#C0C0FF> '''원인''' ||<-2>[[몽골]]의 3차 침입. || ||<:><#C0C0FF> '''교전국''' ||{{{+1 고려}}} [[파일:고려 의장기.svg|width=50]] ||{{{+1 원}}} || ||<:><#C0C0FF> '''지휘관''' ||최경후(崔景侯)[br]김지저(金之佇)[br]김경희(金景禧) ||지휘관 불명 || ||<#C0C0FF><:> '''병력''' ||병력 규모 불명 ||병력 규모 불명 || ||<#C0C0FF><:> '''피해''' ||지휘부 궤멸 ||피해 규모 불명 || ||<:><#C0C0FF> '''결과''' ||<-2>자모산성 함락. || [목차] [clearfix] == 개요 == [[여몽전쟁]] 시기에 벌어진 전투. == 설명 == [[몽골]]은 1235년, [[남송]]을 공격하던 차에 ~~1+1의 덤으로~~ [[고려]]침공을 개시한다. [[탕우타이]](唐兀台)가 이끄는 [[몽골군]]은 6월 경인일에 [[압록강]]을 건너 영삭진(寧朔鎭) → 가주(嘉州)[* 계사일에 점령] → 운암역(雲岩驛)[* 을미일에 점령] → 박주(博州)[* 을미일에 점령] → 자주[* 병신일에 도착] 순으로 움직였다. 이에 자주부사 최경후, 판관 김지저, 은주부사 김경희 등이 병력을 자주산성으로 집결시켜 몽고군을 상대로 1달 동안 분전하였으나, 모두 살해당했다는 기록으로 보아 패배한 것으로 추측된다. == 기록 == >○병신일. ([[몽골군]]이)'''자주(慈州)''', 삭주(朔州), [[구성시|구주]](龜州), [[곽산군|곽주]](郭州) 등지에 진을 둘러쳤다. >- 《[[고려사]]》권26 [[고종(고려)|고종]] 23년 6월 기사   >○계유일. 몽고 기병 20여기가 '''자주(慈州) 동쪽 들판에 침입'''해 [[벼]]를 베던 농민 20여명을 사로잡아 전부 죽였다. >○정유일. '''몽골군이 자주(慈州)를 함락시켰다. 부사(副使) 최경후(崔景侯), 판관(判官) 김지저(金之佇), 은주 부사(殷州副使) 김경희(金景禧) 등이 모두 살해당했다.''' >- 《[[고려사]]》 권26 [[고종(고려)|고종]] 23년 7월 기사   >○가을 7월, '''몽골병이 자주(慈州)를 함락하였고, 부사(副使) 최경후(崔景侯), 판관(判官) 김지저(金之佇)와 은주 부사(殷州副使) 김경희(金景禧) 등이 모두 피살'''되었다. >-《[[동국통감]]》 권32 고려기   >○8월, '''[[몽골]]이 자주(慈州)를 함락시키고,''' 진군하여 남경(南京)에 이르렀다. >-《[[동사강목]]》 제10하 [[고종(고려)|고종]] 23년 기사. == 기타 == [[제1차 자모산성 전투|6년 전 벌인 전투]]와 판이한 결과를 낳았는데 당시에는 몽골의 주력군을 상대한 게 아니거니와, 전투 말미에 [[고려]]가 [[회안공|회안공 왕정]]을 보내 강화조약을 맺었기에 몽골군이 전투를 중단한 상황이였다. 반면, 제2차 자모산성 전투는 몽골의 주력군과 맞서 싸운 것이다. [[분류:고려-몽골 전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