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아프리카TV LOL 대회]][[분류:김봉준]] [include(틀:김봉준)]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무드컵 로고.jpg|width=100%]]}}} || ||<-3> {{{+1 '''{{{#white '''제2회 무드컵'''}}}'''}}} || || {{{#white '''대회 기간'''}}} ||<-2> [[2020년]] [[12월 22일]] ~ [[12월 27일]] || || {{{#white '''주최·주관'''}}} ||<-2> [[김봉준]] [[http://bj.afreecatv.com/khm11903|생중계 방송]] [[https://www.youtube.com/channel/UCP-KRZsIkIqww2jIdrciu2g|녹화본]] || || {{{#white '''개최지'''}}} ||<-2>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white '''조 추첨식'''}}} ||<-2> [[12월 19일]] || || {{{#white '''참가팀'''}}} ||<-2> 8팀 || ||<-3> {{{#white '''일 정''' }}} || ||<-3>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2> {{{-3 {{{#white '''8강'''}}} }}} || ||<-2> [[2020년]] [[12월 22일]] ~ [[2020년]] [[12월 23일]] || ||<-2> {{{-3 {{{#white '''4강'''}}} }}} || ||<-2> [[2020년]] [[12월 26일]] || ||<-2> {{{-3 {{{#white '''결승'''}}} }}} || ||<-2> [[2020년]] [[12월 27일]] || ||||}}}}}} || ||<-3> {{{#white '''결 과''' }}} || ||<-3>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1 {{{#white '''우승'''}}} }}} ||<-2> 무ROX || || {{{#white '''준우승'''}}} ||<-2> 학교감싸기 || || {{{#white '''결승 MVP'''}}} ||<-2> [[듀단]] || ||||}}}}}} || [목차] [clearfix] == 개요 == 10개월만에 다시 개최되는 [[무드컵]]이다. 대상은 브론즈에서 다이아까지의 롤을 하는 BJ들이 참여할 수 있다. 상금은 아프리카TV의 후원으로 1,000만원이다. == 대회 규칙 == * 모든 참가자들은 경기 당일 영상을 다시보기로 남겨 놓아야 한다.(방송을 켜지 않을 경우 뒷캠을 제출 해야함) * 밴픽 단계에 들어갔을 때, 선수 이외의 감독&코치는 관여할 수 없음 (단, 한 세트가 끝나고, 디스코드에 참여하는 것 상관 없음) * 블루, 레드 진영은 추첨공으로 바로 결정(3판 2선승제의 경우, 1,2 세트 선블루레드 진영은 현장추첨, 마지막 세트도 현장추첨) * 스왑버그가 아닌 이상 밴픽은 실수인 경우에도 무를 수 없음 == 드래프트 == 최초에는 티어가 낮은 정글부터 선수를 선발할 수 있는 것으로 구상했으나 드래프트 직전 뽑기로 순서를 정하여 스네이크 방식으로 뽑는 것으로 변경 되었다. 이번 대회에서는 [[나는푸르]]-[[토마토(인터넷 방송인)|토마토]]-[[기뉴다]]-[[김봉준|와꾸대장봉준]]-[[싸패]]-[[김윤환]]-[[철구(인터넷 방송인)|철구]]-[[앵지]] 순이며 미드 포지션의 [[민찬기]]가 1픽으로 제일 먼저 선발되었다. 탑 포지션에서는 [[염보성]], 원딜에서는 [[기룡이]], 서폿에서는 [[듀단]]이 먼저 선발되었다. == 참가팀 로스터 == === One Sun (TEAM 나는푸르) === ||<-5> [[제2회 무드컵#s-4.1|'''{{{#ffffff '''{{{#ffffff ONE SUN}}}'''}}}''']] || || [[파일:롤아이콘-포지션-탑-White.svg|width=20]][br]'''{{{#ffffff TOP}}}'''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정글-White.svg|width=20]][br]'''{{{#ffffff JGL}}}''' || [[파일:롤아이콘-포지션-미드-White.svg|width=20]][br]'''{{{#ffffff MID}}}'''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원거리-White.svg|width=20]][br]'''{{{#ffffff BOT}}}'''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서포터-White.svg|width=20]][br]'''{{{#ffffff SPT}}}''' || || [[남순]][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0.75em;" {{{#ffffff Onesun Namsoon}}}}}} || [[나는푸르]][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0.75em;" {{{#ffffff Onesun Plue}}}}}} || [[민찬기]][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0.75em;" {{{#ffffff Onesun 양갱}}}}}} || [[김레인]][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0.75em;" {{{#ffffff Onesun Rain}}}}}} || [[유소나]][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0.75em;" {{{#ffffff 브머니}}}}}} || ||<-2> {{{#fff 감독}}} ||<-3> [[오뀨]] || ||<-2> {{{#fff 코치}}} ||<-3> [[내현]] || === 토교핫(TEAM 토마토) === ||<-5> [[제2회 무드컵#s-4.2|'''{{{#ffffff '''{{{#ffffff 토교핫}}}'''}}}''']] || || [[파일:롤아이콘-포지션-탑-White.svg|width=20]][br]'''{{{#ffffff TOP}}}'''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정글-White.svg|width=20]][br]'''{{{#ffffff JGL}}}''' || [[파일:롤아이콘-포지션-미드-White.svg|width=20]][br]'''{{{#ffffff MID}}}'''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원거리-White.svg|width=20]][br]'''{{{#ffffff BOT}}}'''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서포터-White.svg|width=20]][br]'''{{{#ffffff SPT}}}''' || || [[킹기훈]][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FF7F00; font-size: 0.75em;" {{{#ffffff 킹기훈 avi}}}}}} || [[토마토(인터넷 방송인)|토마토]][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FF7F00; font-size: 0.75em;" {{{#ffffff 토마토 avi}}}}}} || [[김민교(인터넷 방송인)|김민교]][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FF7F00; font-size: 0.75em;" {{{#ffffff 김민교 avi}}}}}} || [[깨박이]][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FF7F00; font-size: 0.75em;" {{{#ffffff 깨박이 avi}}}}}} || [[다쁘]][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FF7F00; font-size: 0.75em;" {{{#ffffff 돈까스먹다가 avi}}}}}} || ||<-2> {{{#fff 코치}}} ||<-3> [[백크]], 나탈리 || === 꼰과항께(TEAM 기뉴다) === ||<-5> [[제2회 무드컵#s-4.3|'''{{{#ffffff '''{{{#ffffff 꼰과항께}}}'''}}}''']] || || [[파일:롤아이콘-포지션-탑-White.svg|width=20]][br]'''{{{#ffffff TOP}}}'''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정글-White.svg|width=20]][br]'''{{{#ffffff JGL}}}''' || [[파일:롤아이콘-포지션-미드-White.svg|width=20]][br]'''{{{#ffffff MID}}}'''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원거리-White.svg|width=20]][br]'''{{{#ffffff BOT}}}'''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서포터-White.svg|width=20]][br]'''{{{#ffffff SPT}}}''' || || [[최군]][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7FFF00; font-size: 0.75em;" {{{#ffffff 슈슈아저씨}}}}}} || [[기뉴다]][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7FFF00; font-size: 0.75em;" {{{#ffffff 기바견}}}}}} || [[이경민(프로게이머)|이경민]][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7FFF00; font-size: 0.75em;" {{{#ffffff 돼지다무섭지}}}}}} || [[여우비]][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7FFF00; font-size: 0.75em;" {{{#ffffff 우스포츈}}}}}} || [[냥슬]][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7FFF00; font-size: 0.75em;" {{{#ffffff 다이즈나 하또}}}}}} || ||<-2> {{{#fff 코치}}} ||<-3> [[라코]] || === 무ROX(TEAM 김봉준) === ||<-5> [[제2회 무드컵#s-4.4|'''{{{#ffffff '''{{{#ffffff 무ROX}}}'''}}}''']] || || [[파일:롤아이콘-포지션-탑-White.svg|width=20]][br]'''{{{#ffffff TOP}}}'''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정글-White.svg|width=20]][br]'''{{{#ffffff JGL}}}''' || [[파일:롤아이콘-포지션-미드-White.svg|width=20]][br]'''{{{#ffffff MID}}}'''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원거리-White.svg|width=20]][br]'''{{{#ffffff BOT}}}'''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서포터-White.svg|width=20]][br]'''{{{#ffffff SPT}}}''' || || [[타요(인터넷 방송인)|타요]][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08000; font-size: 0.75em;" {{{#ffffff DWG Than}}}}}} || [[김봉준]][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08000; font-size: 0.75em;" {{{#ffffff 무니언}}}}}} || [[박사장]][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08000; font-size: 0.75em;" {{{#ffffff 분골쇄신박사장}}}}}} || [[임아니]][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08000; font-size: 0.75em;" {{{#ffffff 아 니가제일예뻐}}}}}} || [[듀단]][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08000; font-size: 0.75em;" {{{#ffffff 듀릴}}}}}} || ||<-2> {{{#fff 감독}}} ||<-3> [[스맵]] || ||<-2> {{{#fff 코치}}} ||<-3> [[준밧드]] || === 학교감싸기(TEAM 싸패) === ||<-5> [[제2회 무드컵#s-4.5|'''{{{#ffffff '''{{{#ffffff 학교감싸기}}}'''}}}''']] || || [[파일:롤아이콘-포지션-탑-White.svg|width=20]][br]'''{{{#ffffff TOP}}}'''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정글-White.svg|width=20]][br]'''{{{#ffffff JGL}}}''' || [[파일:롤아이콘-포지션-미드-White.svg|width=20]][br]'''{{{#ffffff MID}}}'''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원거리-White.svg|width=20]][br]'''{{{#ffffff BOT}}}'''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서포터-White.svg|width=20]][br]'''{{{#ffffff SPT}}}''' || || [[감스트]][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000FF; font-size: 0.75em;" {{{#ffffff UTG 감스트}}}}}} || [[싸패]][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000FF; font-size: 0.75em;" {{{#ffffff UTG Ssasik}}}}}} || [[김효종(2000)|학살]][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000FF; font-size: 0.75em;" {{{#ffffff UTG 학살}}}}}} || [[기룡이]][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000FF; font-size: 0.75em;" {{{#ffffff UTG 기룡이}}}}}} || [[애교용]][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000FF; font-size: 0.75em;" {{{#ffffff UTG 애교용}}}}}} || ||<-2> {{{#fff 감독}}} ||<-3> [[마린]] || ||<-2> {{{#fff 코치}}} ||<-3> [[쿠로]], [[나는상윤]], [[임재현(프로게이머)|톰]], [[미아]] || === 사랑해(TEAM 철구) === ||<-5> [[제2회 무드컵#s-4.6|'''{{{#ffffff '''{{{#ffffff 사랑해}}}'''}}}''']] || || [[파일:롤아이콘-포지션-탑-White.svg|width=20]][br]'''{{{#ffffff TOP}}}'''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정글-White.svg|width=20]][br]'''{{{#ffffff JGL}}}''' || [[파일:롤아이콘-포지션-미드-White.svg|width=20]][br]'''{{{#ffffff MID}}}'''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원거리-White.svg|width=20]][br]'''{{{#ffffff BOT}}}'''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서포터-White.svg|width=20]][br]'''{{{#ffffff SPT}}}''' || || [[염보성]][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87CEEB; font-size: 0.75em;" {{{#ffffff 위례라이즈}}}}}} || [[철구(인터넷 방송인)|철구]][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87CEEB; font-size: 0.75em;" {{{#ffffff 초반갱안감버티쌤}}}}}} || [[정윤종]][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87CEEB; font-size: 0.75em;" {{{#ffffff 플딱딱이}}}}}} || [[김승현(프로게이머)|오메킴]][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87CEEB; font-size: 0.75em;" {{{#ffffff 암행오사}}}}}} || [[파이(인터넷 방송인)|파이]][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87CEEB; font-size: 0.75em;" {{{#ffffff 이걸파이가}}}}}} || ||<-2> {{{#fff 감독}}} ||<-3> [[저라뎃]] || ||<-2> {{{#fff 코치}}} ||<-3> [[로렌]], [[땅우양]], [[김주호(프로게이머)|에프람]] || === 안녕, 서른(TEAM 김윤환) === ||<-5> [[제2회 무드컵#s-4.7|'''{{{#ffffff '''{{{#ffffff 안녕서른}}}'''}}}''']] || || [[파일:롤아이콘-포지션-탑-White.svg|width=20]][br]'''{{{#ffffff TOP}}}'''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정글-White.svg|width=20]][br]'''{{{#ffffff JGL}}}''' || [[파일:롤아이콘-포지션-미드-White.svg|width=20]][br]'''{{{#ffffff MID}}}'''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원거리-White.svg|width=20]][br]'''{{{#ffffff BOT}}}'''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서포터-White.svg|width=20]][br]'''{{{#ffffff SPT}}}''' || || [[주보리]][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800080; font-size: 0.75em;" {{{#ffffff 주보리}}}}}} || [[김윤환]][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800080; font-size: 0.75em;" {{{#ffffff 암탄소녀단김윤환}}}}}} || [[이현우(게임 해설가)|클템]][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800080; font-size: 0.75em;" {{{#ffffff 난협곡이무서웡}}}}}} || [[안녕수야]][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800080; font-size: 0.75em;" {{{#ffffff 수야}}}}}} || [[서리(인터넷 방송인)|서리]][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800080; font-size: 0.75em;" {{{#ffffff HLE Thirty}}}}}} || ||<-2> {{{#fff 코치}}} ||<-3> [[김도엽|구거]] || === 찐텐즈(TEAM 앵지) === ||<-5> [[제2회 무드컵#s-4.8|'''{{{#ffffff '''{{{#ffffff 찐텐즈}}}'''}}}''']] || || [[파일:롤아이콘-포지션-탑-White.svg|width=20]][br]'''{{{#ffffff TOP}}}'''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정글-White.svg|width=20]][br]'''{{{#ffffff JGL}}}''' || [[파일:롤아이콘-포지션-미드-White.svg|width=20]][br]'''{{{#ffffff MID}}}'''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원거리-White.svg|width=20]][br]'''{{{#ffffff BOT}}}'''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서포터-White.svg|width=20]][br]'''{{{#ffffff SPT}}}''' || || [[케이(인터넷 방송인)|케이]][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FF69B4; font-size: 0.75em;" {{{#ffffff 케이는우도환}}}}}} || [[앵지]][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FF69B4; font-size: 0.75em;" {{{#ffffff 은평구 발바닥}}}}}} || [[김태효(프로게이머)|벤츠]][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FF69B4; font-size: 0.75em;" {{{#ffffff IAMBENZ}}}}}} || [[킴성태]][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FF69B4; font-size: 0.75em;" {{{#ffffff 개포총잡이}}}}}} || [[구보라]][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FF69B4; font-size: 0.75em;" {{{#ffffff 머리반짝이는스님}}}}}} || ||<-2> {{{#fff 감독}}} ||<-3> [[꿀탱탱]] || ||<-2> {{{#fff 코치}}} ||<-3> [[꿀탱탱]], [[손영민(프로게이머)|미키]], [[갱맘]], [[백다훈|수입뿌드]], [[안현국|레이닝]], [[개인팟]] || == 대회 일정 == === 사전 스크림 순위(2020.12.20~12.21) === || 순위 || 팀 || 경기 수 || 승 || 패 || 승률 || || 1 || 무ROX || 15 || 11 || 4 || 73.3% || || 2 || 안녕서른 || 10 || 6 || 4 || 60% || || 3 || 꼰과항께 || 12 || 7 || 5 || 58.3% || || 4 || One sun || 14 || 8 || 6 || 57.1% || || 5 || 학교감싸기 || 12 || 5 || 7 || 41.7% || || 5 || 토교핫 || 12 || 5 || 7 || 41.7% || || 7 || 찐텐즈 || 12 || 4 || 7 || 33.3% || || 8 || 사랑해 || 16 || 5 || 11 || 31.2% || === 8강 === ==== 1경기(2020.12.22) ==== ||<-8> '''{{{#white 8강 C그룹 (2020.12.22 22:00)}}}''' || ||<-3> [[|'''{{{#white TEAM One Sun}}}''']] ||<|2> 0 ||<|2> 2 ||<-3> [[|'''{{{#white 학교감싸기 }}}''']] || || x || x || - || o || o || - || ||<-3> 탈락 ||<-2> {{{#white 결과}}} ||<-3> '''4강 진출''' || ===== 1세트 =====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10밴픽, blueteam=One Sun, redteam=학교감싸기, d_blueban1=자크(리그 오브 레전드), p_blueban1=zac, d_blueban2=헤카림, p_blueban2=hecarim, d_blueban3=루시안(리그 오브 레전드), p_blueban3=lucian, d_blueban4=레오나(리그 오브 레전드), p_blueban4=leona, d_blueban5=노틸러스(리그 오브 레전드), p_blueban5=nautilus, d_redban1=케인(리그 오브 레전드), p_redban1=kayn, d_redban2=바이(리그 오브 레전드), p_redban2=vi, d_redban3=르블랑(리그 오브 레전드), p_redban3=leblanc, d_redban4=아칼리, p_redban4=akali, d_redban5=유미(리그 오브 레전드), p_redban5=yuumi, d_bluepic1=말파이트, p_bluepic1=malphite, d_bluepic2=녹턴, p_bluepic2=nocturne, d_bluepic3=카이사, p_bluepic3=kaisa, d_bluepic4=소라카, p_bluepic4=soraka, d_bluepic5=아지르, p_bluepic5=azir, d_redpic1=모데카이저, p_redpic1=mordekaiser, d_redpic2=세주아니, p_redpic2=sejuani, d_redpic3=이즈리얼, p_redpic3=ezreal, d_redpic4=나미(리그 오브 레전드), p_redpic4=nami, d_redpic5=케이틀린(리그 오브 레전드), p_redpic5=caitlyn)] || [[리그 오브 레전드/드래곤|{{{#fff '''드래곤'''}}}]] || || [[리그 오브 레전드/드래곤#s-2.1|[[파일:Ocean_Dragon_buff.png|width=25]] {{{#000,#fff →}}} [[파일:Mountain_Dragon_buff.png|width=25]] {{{#000,#fff →}}} [[파일:Cloud_Dragon_buff.png|width=25]] {{{#000,#fff →}}} [[파일:Cloud_Dragon_Soul_buff.png|width=25]]]] || '''정글의 무능력함과 바텀 차이로 인해서 결정난 승부''' 6분에 학교감싸기 팀이 바텀의 우위를 통해서 대회 첫 용인 바다용을 선취했다. 9분에 One Sun팀이 대회 첫 전령을 선취했다. 11분에 One Sun팀의 김레인이 애교용에게서 대회 첫 킬을 기록했지만 이와 동시에 학교감싸기 팀의 미드인 학살이 미드 민찬기에게서 킬을 기록했고 이어서 대지용까지 얻었다. 14분에 One Sun팀의 정글 나는푸르가 미드와의 연계를 통해서 상대팀 학살에게서 킬을 기록하고 대회 첫 퍼블을 기록하고 탑인 감스트를 죽이고 2차 전령을 얻었다. 하지만 이와 동시에 학교감싸기 팀의 기룡이가 바텀에서 더블킬을 기록했다. 그리고 One Sun팀이 드래곤을 획득했지만, 학교감싸기 팀의 기룡이의 활약에 더불어서 2대 4 교환을 하면서 이득을 보았다. 하지만 학교감싸기 팀이 바론 버스트를 하자 상대팀인 One Sun팀이 기룡이를 잡으며 제압골을 획득했다. 그리고 24분에 학교감싸기 팀이 드래곤 버스트를 했는데 상대팀에게 드래곤을 뺏겼으나 4대 2 킬 교환을 하고 바론을 획득했다. 26분에 One Sun이 3킬을 당하고 미드 억제기까지 밀리게 되었다. 28분에 학교감싸기 팀이 오랜만에 바람용을 먹고 5대 4 킬 교환을 하면서 쌍둥이 탑까지 다 밀게 되었다. 34분에 학교감싸기 팀이 바람용을 먹고 3대 1 킬교환을 하고 넥서스를 파괴하고 첫 세트를 선취했다. ===== 2세트 =====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10밴픽, blueteam=학교감싸기, redteam=One Sun, d_blueban1=바이(리그 오브 레전드), p_blueban1=vi, d_blueban2=미스 포츈(리그 오브 레전드), p_blueban2=missFortune, d_blueban3=애쉬(리그 오브 레전드), p_blueban3=ashe, d_blueban4=진(리그 오브 레전드), p_blueban4=jhin, d_blueban5=아칼리, p_blueban5=akali, d_redban1=자크(리그 오브 레전드), p_redban1=zac, d_redban2=루시안(리그 오브 레전드), p_redban2=lucian, d_redban3=이즈리얼, p_redban3=ezreal, d_redban4=케이틀린(리그 오브 레전드), p_redban4=caitlyn, d_redban5=레오나(리그 오브 레전드), p_redban5=leona, d_bluepic1=르블랑, p_bluepic1=leblanc, d_bluepic2=모데카이저, p_bluepic2=mordekaiser, d_bluepic3=헤카림, p_bluepic3=hecarim, d_bluepic4=유미(리그 오브 레전드), p_bluepic4=yuumi, d_bluepic5=시비르, p_bluepic5=sivir, d_redpic1=말파이트, p_redpic1=malphite, d_redpic2=나미(리그 오브 레전드), p_redpic2=nami, d_redpic3=케인(리그 오브 레전드), p_redpic3=kayn, d_redpic4=카이사, p_redpic4=kaisa, d_redpic5=에코(리그 오브 레전드), p_redpic5=ekko)] || [[리그 오브 레전드/드래곤|{{{#fff '''드래곤'''}}}]] || || [[리그 오브 레전드/드래곤#s-2.1|[[파일:Mountain_Dragon_buff.png|width=25]] {{{#000,#fff →}}} [[파일:Infernal_Dragon_buff.png|width=25]] {{{#000,#fff →}}} [[파일:Ocean_Dragon_buff.png|width=25]] {{{#000,#fff →}}} [[파일:Ocean_Dragon_Soul_buff.png|width=25]]]] || 3분 33초에 학살이 먼저 킬에 성공했으나 동시에 애교용이 유미를 픽했는데 내려지게 되어서 킬을 당하게 되었다. 이어서 6분 30초에 대지 드래곤을 먹었다. 7분 경에 학살이 미드 민찬기에게 킬을 기록했다. 9분 25초에 싸패가 갑자기 급발진을 하면서 킬을 당했다. 11분에 전령을 얻고 바텀에서 퍼블을 기록하고 곧바로 화염 드래곤을 얻었다. 12분에 기룡이가 민찬기에게 킬을 기록했다. 12분에 남순 텔을 탔고 한타가 벌어졌는데 Onesun이 1:2킬 이득을 보게 되면서 미드 1차 포탑을 밀게 되었다. 15분 22초에 학교감싸기팀이 2차 전령을 획득했다. 17분 30초에 한타를 해서 학교감싸기 팀이 학살 덕분에 4대 1의 킬의 비율로 이득을 얻게 되어 바다 용을 얻게 되어 3용 스텍을 쌓았다. 19분 20초에 학교감싸기팀이 탑의 1차 포탑을 깼다. 그리고 Onesun팀이 바텀 1차 포탑을 깼다. 21분에 기룡이가 남순을 죽였다. 23분에 학살이 죽었지만 기룡이의 시비르가 트리플을 기록해 4대 2 교환을 하게 되었고 4용을 채우고 미드 1차 포탑을 파괴시켰다. 25분에 기룡이가 2킬을 했지만 푸르가 바론 스틸을 하게 되었다. Onesun에게 분위기가 넘어가는 분위기였지만, 29분에 학살이 민찬기를 킬하면서 그에게서 붙어있던 현상금을 얻게 되면서 미드 2차 포탑을 깼깨고 장로를 획득했다. 32분에 학교감싸기팀이 킬수를 4:3으로 교환하면서 미드 억제기까지 깼다. 34분에 Onesun이 바론버스트를 해서 바론을 먹긴 했지만 학교감싸기팀이 2대 1로 킬 이득을 봤다. 그리고 37분에 학교감싸기팀이 장로를 획득하고 넥서스를 깨고 승리했다. ===== 총평 ===== '''학교감싸기가 트위치[* 이 게임에서 활약한 [[기룡이]], [[김효종(2000)|학살]]이 대회가 열린 달에 트위치에서 아프리카로 이적했다.] 출신의 활약으로 이긴 승부.''' 전 오버워치 프로게이머 출신인 학살이 미드라이너로서 피지컬을 제대로 보여주었으며, 기룡이 역시 자신이 원딜 중 가장 먼저 뽑힌 이유를 실력으로서 증명했다. 초반 솔킬을 당하며 불안한 출발을 했던 [[민찬기]]는 중반이 될 수록 놀라운 퍼포먼스를 보여줬지만 4만딜이라는 수치를 기록하고도 자신을 제외한 모든 라인에서 밀리는 전세를 뒤집기에는 역부족이였다. 원썬의 바텀라인은 티어에서 부터 상대에 밀렸고 김레인은 원딜 출신이 아니었다. 탑에서는 남순이 대회 직전 탑 최강자 타요의 솔킬을 따서 고평가를 받았으나 이게 독이 되어 연습을 소홀히 하였고 약체 탑인 감스트를 압도하지 못했다. 정글에서도 싸패가 푸르에게 우위에 있었으며 푸르는 이 대회 이후 탑으로 포변하며 정글을 하지 않고 있다. ==== 2경기(2020.12.22) ==== ||<-8> '''{{{#white 8강 A그룹 (2020.12.22 1경기 종료 후)}}}''' || ||<-3> [[|'''{{{#white 사랑해}}}''']] ||<|2> 1 ||<|2> 2 ||<-3> [[|'''{{{#white 찐텐즈}}}''']] || || o || x || x || x || o || o || ||<-3> 탈락 ||<-2> {{{#white 결과}}} ||<-3> '''4강 진출''' || ===== 1세트 =====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10밴픽, blueteam=찐텐즈, redteam=사랑해, d_blueban1=쉬바나, p_blueban1=shyvana, d_blueban2=자크(리그 오브 레전드), p_blueban2=zac, d_blueban3=빅토르(리그 오브 레전드), p_blueban3=viktor, d_blueban4=레오나(리그 오브 레전드), p_blueban4=leona, d_blueban5=에코(리그 오브 레전드), p_blueban5=ekko, d_redban1=애니비아, p_redban1=anivia, d_redban2=세트(리그 오브 레전드), p_redban2=sett, d_redban3=루시안(리그 오브 레전드), p_redban3=lucian, d_redban4=룰루(리그 오브 레전드), p_redban4=leona, d_redban5=나미(리그 오브 레전드), p_redban5=nami, d_bluepic1=애쉬(리그 오브 레전트), p_bluepic1=ashe, d_bluepic2=케인(리그 오브 레전드), p_bluepic2=kayn, d_bluepic3=바루스(리그 오브 레전드), p_bluepic3=varus, d_bluepic4=오른, p_bluepic4=ornn, d_bluepic5=모르가나(리그 오브 레전드), p_bluepic5=morgana, d_redpic1=모데카이저, p_redpic1=mordekaiser, d_redpic2=자르반 4세, p_redpic2=jarvanIV, d_redpic3=이즈리얼, p_redpic3=ezreal, d_redpic4=리산드라, p_redpic4=lissandra, d_redpic5=자이라, p_redpic5=zyra)] || [[리그 오브 레전드/드래곤|{{{#fff '''드래곤'''}}}]] || || [[리그 오브 레전드/드래곤#s-2.1|[[파일:Mountain_Dragon_buff.png|width=25]] {{{#000,#fff →}}} [[파일:Cloud_Dragon_buff.png|width=25]] {{{#000,#fff →}}} [[파일:Ocean_Dragon_buff.png|width=25]] {{{#000,#fff →}}} [[파일:Locked_Dragon_buff.png|width=25]]]] || '''정글 차이가[* 사랑해 팀의 철구 선수가 찐텐즈 팀의 앵지 선수에게 거의 모든 정글 아이템들을 다 뺏겼다.] 나기는 했으나 나머지 라인들이 다 차이가 나서 사랑해 팀이 겨우 이긴 경기''' 사랑해 팀이 6분에 대지 용을 먹고 8분에 같은 팀에 오메킴 선수가 벤츠 선수에게서 먼저 킬을 기록했다. 하지만 그와 동시에 찐텐즈 팀이 불리한 상황에서도 킴성태 선수 덕분에 2대 2 킬 교환을 했다. 그리고 그 슈퍼플레이로 1차 전령을 먹었다. 10분에 사랑해 팀의 바텀의 활약 덕분에 3대 2 킬 교환을 하면서 바람 용을 획득했다. 그리고 미드에서 1대 1 킬 교환을 하면서 찐텐즈 팀이 미드에 전령을 풀었다. 하지만 찐텐즈 팀의 벤츠 선수가 제압골이 붙어 있던 사랑해 팀의 파이 선수에게 킬을 기록하면서 제압골드와 바다 용을 획득했다. 하지만 18분에 사랑해팀이 퍼블을 기록했다. 그리고 20분에 그 팀의 원딜 오메킴 선수의 활약 덕분에 4대 1 킬 교환을 기록하면서 한타 대승을 이끌어서 미드 1차 포탑을 밀면서 바다용을 획득하게 되었다. 하지만 찐텐즈 팀의 킴성태의 3대 1 킬 교환의 활약으로 매우 불리했었던 게임을 따라 붙었다. 29분에 찐텐즈팀 2킬이 기록하며 바다용을 먹었지만 이후의 한타에서 사랑해 팀의 염보성의 활약을 통해서 에이스를 당하면서 바론을 뺏기게 되었다. 바론을 뺏겨서 불리해진 찐텐즈 팀은 4대 1 킬 교환으로 바다용으로 3스텍을 쌓게 되었다. 하지만 36분에 사랑해 팀이 찐텐즈 팀에게 바론 앞에서 에이스를 기록하면서 넥서스를 부시고 1세트를 선취했다. ===== 2세트 =====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10밴픽, blueteam=사랑해, redteam=찐텐즈, d_blueban1=애니비아, p_blueban1=anivia, d_blueban2=세트(리그 오브 레전드), p_blueban2=sett, d_blueban3=루시안(리그 오브 레전드), p_blueban3=lucian, d_blueban4=룰루(리그 오브 레전드), p_blueban4=lulu, d_blueban5=나미(리그 오브 레전드), p_blueban5=nami, d_redban1=쉬바나, p_redban1=shyvana, d_redban2=애쉬(리그 오브 레전드), p_redban2=ashe, d_redban3=헤카림, p_redban3=hecarim, d_redban4=에코(리그 오브 레전드), p_redban4=ekko, d_redban5=리산드라, p_redban5=lissandra, d_bluepic1=자크(리그 오브 레전트), p_bluepic1=zac, d_bluepic2=말파이트, p_bluepic2=malphite, d_bluepic3=바루스(리그 오브 레전드), p_bluepic3=varus, d_bluepic4=오른, p_bluepic4=ornn, d_bluepic5=빅토르(리그 오브 레전드), p_bluepic5=viktor, d_redpic1=미스 포츈(리그 오브 레전드), p_redpic1=missFortune, d_redpic2=모데카이저, p_redpic2=mordekaiser, d_redpic3=신드라, p_redpic3=syndra, d_redpic4=케인(리그 오브 레전드), p_redpic4=kayn, d_redpic5=잔나, p_redpic5=janna)] || [[리그 오브 레전드/드래곤|{{{#fff '''드래곤'''}}}]] || || [[리그 오브 레전드/드래곤#s-2.1|[[파일:Cloud_Dragon_buff.png|width=25]] {{{#000,#fff →}}} [[파일:Mountain_Dragon_buff.png|width=25]] {{{#000,#fff →}}} [[파일:Ocean_Dragon_buff.png|width=25]] {{{#000,#fff →}}} [[파일:Locked_Dragon_buff.png|width=25]]]] || ''' 초반 미드 1렙 킬에서 끝난 경기''' 찐텐즈 팀이 렌즈를 눈치를 못챈 사랑해 팀의 미드 정윤종 선수가 찐텐즈 팀의 벤츠 선수에게 1분만에 킬을 당했다. 그리고 3분 뒤에 또 사랑해 팀의 정윤종 선수는 상대 팀 벤츠 선수에게 데스를 기록했다. 하지만 사랑해 팀의 서폿 파이 선수가 상대 팀 원딜 킴성태에게서 킬을 기록했다. 8분에 찐텐즈 팀이 바람 용을 획득했다. 그리고 9분 경에 찐텐즈 벤츠 선수가 상대 팀 정윤종 선수에게서 기록했다. 그러나 이와 동시에 파이가 킴성태에게 킬을 기록했다. 10분 경에 찐텐즈 앵지 선수가 전령을 획득하려 했으나 전령의 눈이 사라져 전령을 획득하는 것을 실패했다. 그리고 11분에 사랑해의 파이 선수가 미드와 서폿에게서 더블 킬을 기록했다. 하지만 그 이후로 12분에 탑에서 찐텐즈의 케이가 상대 팀의 염보성이 솔킬을 당하고 벤츠가 또 미드에서 미드 정윤종과 정글 철구를 상대로 킬을 내면서 대지용을 획득하면서 비벼볼 만한 분위기를 다시 넘겨 주었다. 그 이후 15분에 찐텐즈의 미드 벤츠 선수와 정글 앵지 선수가 상대 팀 미드 정윤종과 현상금이 붙어 있던 파이 선수를 상대로 킬을 기록했고 미드 탑을 깨면서 퍼블을 기록했다. 20분에 찐텐즈 팀이 상대팀에게 에이스를 기록하면서 바론과 바람용을 획득했다. 그리고 이 기세를 이어서 1세트를 졌던 찐텐즈 팀이 넥서스를 깨고 다시 균형을 맞췄다. ===== 3세트 =====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10밴픽, blueteam=찐텐즈, redteam=사랑해, d_blueban1=쉬바나, p_blueban1=shyvana, d_blueban2=헤카림, p_blueban2=hecarim, d_blueban3=모데카이저, p_blueban3=mordekaiser, d_blueban4=에코(리그 오브 레전드), p_blueban4=ekko, d_blueban5=빅토르(리그 오브 레전드), p_blueban5=viktor, d_redban1=애니비아, p_redban1=anivia, d_redban2=신드라, p_redban2=syndra, d_redban3=케인(리그 오브 레전드), p_redban3=kayn, d_redban4=룰루(리그 오브 레전드), p_redban4=lulu, d_redban5=나미(리그 오브 레전드), p_redban5=nami, d_bluepic1=애쉬(리그 오브 레전드), p_bluepic1=ashe, d_bluepic2=볼리베어, p_bluepic2=volibear, d_bluepic3=카시오페아(리그 오브 레전드), p_bluepic3=cassiopeia, d_bluepic4=세트(리그 오브 레전드), p_bluepic4=sett, d_bluepic5=잔나, p_bluepic5=janna, d_redpic1=오른, p_redpic1=ornn, d_redpic2=세주아니, p_redpic2=sejuani, d_redpic3=미스 포츈(리그 오브 레전드), p_redpic3=missFortune, d_redpic4=리산드라, p_redpic4=lissandra, d_redpic5=자이라, p_redpic5=zyra)] || [[리그 오브 레전드/드래곤|{{{#fff '''드래곤'''}}}]] || || [[리그 오브 레전드/드래곤#s-2.1|[[파일:Mountain_Dragon_buff.png|width=25]] {{{#000,#fff →}}} [[파일:Cloud_Dragon_buff.png|width=25]] {{{#000,#fff →}}} [[파일:Infernal_Dragon_buff.png|width=25]] {{{#000,#fff →}}} [[파일:Infernal_Dragon_Soul_buff.png|width=25]]]] || '''벤츠 선수의 펜타킬에 의해서 결정난 승부''' 추첨을 통해서 찐텐즈 팀이 블루를 사랑해 팀이 레드 진영에서 게임을 하게 되었다. 찐텐즈의 정글인 앵지 선수가 2분만에 정글을 돌던 상대팀의 정글인 철구 선수에게 먼저 킬을 기록했다. 그리고 7분에 찐텐즈의 미드 벤츠 선수가 상대팀의 정윤종 선수에게서 킬을 기록했는데 그 와중에 사랑해 팀의 염보성 선수가 텔을 타서 찐텐즈 팀의 케이 선수는 쉽게 파밍을 하면서 찐텐즈팀이 대지용도 획득했다. 물론 10분에 찐텐즈의 구보라 선수가 뇌절을 하여 정윤종 선수가 킬을 기록했고 정윤종 선수와 오메킴 선수가 2킬을 했으나 바람 용도 빼꼇다. 그 이후에 찐텐즈 팀과 사랑해 팀이 2대 2 킬 교환을 하면서 따라 잡았다. 17분에 전령 싸움 도중에 찐텐즈 팀의 케이의 세트 덕분에 3대 2 킬 교환을 했지만, 상대팀이 전령을 뺏어서 대회 처음으로 획득하게 되었다. 그리고 19분 경에 사실상 승부가 결정이 났는데, 불용 싸움을 하면서 찐텐즈 벤츠 선수가 무드컵 최초로 펜타킬을 기록했다. 그러면서 불용도 획득하고 퍼블도 기록했다. 23분에 찐텐즈 팀이 상대 팀 모르게 바론을 획득했고 앵지 선수가 용 스틸을 하면서 용 4스택을 쌓고 또 다시 에이스를 기록했다. 그 이후에 2차례의 퍼즈가 걸리기는 했지만, 결국은 사랑해 팀의 넥서스를 깨며 찐텐즈 팀이 사랑해 팀을 꺾고 4강에 진출했다. ===== 총평 ===== '''정글의 기본기 차이에 의해서 갈려진 승부''' 애초에는 탑, 미드, 바텀 라인의 3라인과 정글 차이로 인해서 철구의 사랑해 팀이 이길 것이라고 예측되었던 경기이다. 바텀 라인 같은 경우에는 사랑해 팀의 [[김승현(프로게이머)|오메킴]] 선수와 [[파이(인터넷 방송인)|파이]] 선수의 활약으로 찐텐즈 팀이 압살을 당했고 탑 라인 같은 경우에는 [[염보성]] 선수랑 [[케이(인터넷 방송인)|케이]] 선수가 비슷하게 활약을 했다. 하지만 1세트 때 잘하던 사랑해 팀의 [[정윤종]] 선수가 2세트 초반에 1렙 킬을 당한 뒤로 멘탈이 터졌고 [[철구(인터넷 방송인)|철구]] 선수는 [[쉬바나]]를 잘 다뤄서 티어는 높아보였지만 코치의 조언을 1도 듣지 않고 다른 캐릭터에 대한 이해도가 '1'도 없어서 8티어로 여겨졌지만 코치의 조언을 잘 들은 [[앵지]] 선수에게 3세트 내내 고전할 수 밖에 없는 승부가 되었다. 하지만 철구의 티어를 너무 맹신해 제대로 된 조언을 못한 코치의 잘못이라는 의견도 소수 존재한다. 연습 당시 밴픽을 빼기 위해 헤카림을 연습할것이 아니라 "자크"와 "세주아니"를 제대로 점검하면서 본 경기를 제대로 분석했어야 하는게 아니냐는 의견이다. 실제로 철구는 팀들과 합을 맞출때 자크와 세주아니를 사용하고 싶어했으나 코치들의 생각은 철구가 "헤카림"을 연습해야 팀에 도움이 될꺼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상대편은 코치들의 생각을 역으로 이용해 헤카림을 밴했다는것. 밴픽을 빼는데에는 성공했지만 결국 연습했던 조합이 제대로 나오지 않으면서 자멸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 연출되었다는 의견도 존재한다. ,, ==== 3경기(2020.12.23) ==== ||<-8> '''{{{#white 8강 D그룹 (2020.12.23 22:00)}}}''' || ||<-3> [[|'''{{{#white 꼰과항께}}}''']] ||<|2> 2 ||<|2> 0 ||<-3> [[|'''{{{#white 안녕,서른}}}''']] || || o || o || - || x || x || - || ||<-3> '''4강 진출''' ||<-2> {{{#white 결과}}} ||<-3> 탈락 || ===== 1세트 =====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10밴픽, blueteam=꼰과항께, redteam=안녕서른, d_blueban1=헤카림, p_blueban1=hecarim, d_blueban2=루시안(리그 오브 레전드), p_blueban2=lucian, d_blueban3=말파이트, p_blueban3=malphite, d_blueban4=녹턴, p_blueban4=nocturne, d_blueban5=카이사, p_blueban5=kaisa, d_redban1=누누와윌럼프, p_redban1=nunuWillump, d_redban2=룰루, p_redban2=lulu, d_redban3=미스 포츈(리그 오브 레전드), p_redban3=missFortune, d_redban4=코르키, p_redban4=corki, d_redban5=트위스티드 페이트, p_redban5=twistedFate, d_bluepic1=올라프(리그 오브 레전드), p_bluepic1=olaf, d_bluepic2=레오나(리그 오브 레전드), p_bluepic2=leona, d_bluepic3=나서스, p_bluepic3=nasus, d_bluepic4=이즈리얼, p_bluepic4=ezreal, d_bluepic5=탈리야, p_bluepic5=taliyah, d_redpic1=오른, p_redpic1=ornn, d_redpic2=모데카이저, p_redpic2=mordekaiser, d_redpic3=볼리베어, p_redpic3=volibear, d_redpic4=애쉬(리그 오브 레전드), p_redpic4=ashe, d_redpic5=마오카이, p_redpic5=maokai)] || [[리그 오브 레전드/드래곤|{{{#fff '''드래곤'''}}}]] || || [[리그 오브 레전드/드래곤#s-2.1|[[파일:Cloud_Dragon_buff.png|width=25]] {{{#000,#fff →}}} [[파일:Mountain_Dragon_buff.png|width=25]] {{{#000,#fff →}}} [[파일:Infernal_Dragon_buff.png|width=25]] {{{#000,#fff →}}} [[파일:Infernal_Dragon_Soul_buff.png|width=25]]]] || '''미드의 슈퍼캐리와 구멍으로 여겨졌던 탑의 활약으로 결정난 승부''' 안녕서른팀의 미드인 클템이 먼저 킬을 기록했고 안녕서른 팀이 바람 용을 선취했다. 바텀 또한 애쉬를 가져온 안녕서른 팀이 강력하게 리드하였고 이 우위를 바탕으로 설계한 전령싸움에서 4:5 수적 우위를 만들게 된다. 하지만 김윤환의 볼리베어가 한박자 빠르게 전령으로 혼자 향하게 되어 먼저 물리면서 한타가 시작되고 바텀에서 날아온 이즈리얼의 정조준 일격이 안녕서른 팀 전원을 긁게되며 4:5한타를 꼰과 함께 팀이 이기게 되는 대참사가 벌어진다. 이 한타에서 트리플킬을 쓸어담은 이경민의 올라프는 괴물이 되버렸고 태생적으로 딜이 약한 조합인 안녕서른은 이후 일어나는 모든 교전에서 막무가내로 밀고들어오는 올라프를 저지할 데미지가 없어서 쓸려나가게 되며 경기를 내주게 된다. 중간중간 번뜩이는 인원배치를 통해 최군의 나서스를 끊어내는 성과를 보여주었으나 스플릿, 소규모 교전, 대규모 한타가 전부 올라프 하나에 막혀있으니 승패를 뒤집기는 역부족이었다. 여담으로 어제 전승을 거두었던 모데카이저의 불패신화가 이번 패배로 깨지게 되었다. ===== 2세트 =====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10밴픽, blueteam=안녕서른, redteam=꼰과함께, d_blueban1=킨드레드, p_blueban1=kindred, d_blueban2=그레이브즈, p_blueban2=graves, d_blueban3=룰루(리그 오브 레전드), p_blueban3=lulu, d_blueban4=질리언(리그 오브 레전드), p_blueban4=zilean, d_blueban5=누누와 윌럼프, p_blueban5=nunuWillump, d_redban1=헤카림, p_redban1=hecarim, d_redban2=카직스, p_redban2=khazix, d_redban3=말파이트, p_redban3=malphite, d_redban4=루시안(리그 오브 레전드), p_redban4=lucian, d_redban5=카이사, p_redban5=kaisa, d_bluepic1=올라프(리그 오브 레전드), p_bluepic1=olaf, d_bluepic2=일라오이, p_bluepic2=illaoi, d_bluepic3=레오나(리그 오브 레전드), p_bluepic3=leona, d_bluepic4=모데카이저, p_bluepic4=mordekaiser, d_bluepic5=애쉬(리그 오브 레전드), p_bluepic5=ashe, d_redpic1=미스 포츈(리그 오브 레전드), p_redpic1=missFortune, d_redpic2=나서스, p_redpic2=nasus, d_redpic3=아지르(리그 오브 레전드), p_redpic3=azir, d_redpic4=세주아니, p_redpic4=sejuani, d_redpic5=모르가나, p_redpic5=morgana)] || [[리그 오브 레전드/드래곤|{{{#fff '''드래곤'''}}}]] || || [[리그 오브 레전드/드래곤#s-2.1|[[파일:Mountain_Dragon_buff.png|width=25]] {{{#000,#fff →}}} [[파일:Infernal_Dragon_buff.png|width=25]] {{{#000,#fff →}}} [[파일:Ocean_Dragon_buff.png|width=25]] {{{#000,#fff →}}} [[파일:Ocean_Dragon_Soul_buff.png|width=25]]]] || '''사소한 실수에 의해서 결정난 승부''' 스왑버그가 일어나 픽이 끝나고 다시 방을 파게되는 해프닝이 있었다. 밴픽중 안녕서른 팀의 밴 실수가 있었다. 계획대로라면 2밴에서 룰루밴이 되어야 했는데 주보리 선수가 급박한 시간에 클릭을 잘못해 질리언을 밴하게 된것. 결과적으로 안녕서른 팀은 3밴에 룰루를 밴 할 수 밖에 없었고 여기서 열리게 된 미스포춘이 이 게임 전체를 관통하게된다 본디 계획에선 선픽이 안녕서른이니 미포를 자를경우 올라프 막밴을 강요하는 상황이었으나 둘이 전부 풀리게 되어 안녕서른이 올라프, 꼰과함께가 미포를 가져가는 나눠먹기 구도가 된다. 문제는 이렇게 내준 미포로 인해 안녕서른의 에이스딜러인 수야가 다시 애쉬를 할 수 밖에 없게 된것. 미포를 포기하고 1픽으로 가져온 김윤환 올라프의 어깨가 무거운 상황이 된다. 안녕서른 팀이 초반 올라프의 강력함을 바탕으로 첫 용인 대지용을 선취한다. 바텀은 미포 애쉬의 구도답게 원딜끼리 유성싸움을 벌이며 반반을 가는 상황에서 올라프를 정글러로 두고있는 애쉬-레오나의 발이 먼저 풀리게 된다. 애쉬-레오나가 바텀 강가까지 활동범위를 넓힌 상태에서 기습적인 애쉬의 미드를 향한 궁이 아지르에 적중하게되며 완벽한 킬각을 잡았다. 하지만 연계하는 레오나의 점멸 - 천공의 검 호응이 기절해있는 아지르 못맞추고 아지르가 살아나가게 되며 찬물이 뿌려진다. 두 번째 용인 화염용을 안녕서른 팀이 획득했으나, 꼰과함께 팀이 첫 킬을 비롯한 3대 1 교환을 하게 되었다. 그리고 꼰과함께 팀이 15분경에 1대2 킬교환을 손해를 보기는 했으나 전령을 먹고 1,2차 미드 포탑을 밀고 바다용을 먹으면서 5대 2 킬 교환을 하게 되었다. 23분에 안녕, 서른팀은 탑, 미드 1차 포탑을 깼으며 동시에 꼰과함께 팀은 바다용을 먹었다. 27분에 꼰과 함께 팀이 바론을 먹고 탑 1차 포탑을 밀었으나 안녕, 서른 팀이 3대 2 킬교환을 하고 바다용을 오랜만에 획득했다. 29분에 꼰과 함께 팀은 안녕, 서른 팀의 탑 주보리 선수가 죽이고 바텀의 2차 포탑을 밀었고 안녕, 서른 팀은 탑과 미드의 2차 포탑을 밀었다. 33분에 4용이 걸려 있던 싸움에서 꼰과 함께 팀이 상대 팀을 상대로 에이스를 기록하면서 용의 수를 3대 3으로 동률로 맞춰놓고 바론을 획득했다. 35분에 미드 억제기를 밀었지만, 클템의 일라오이가 4대 2의 킬교환을 이끌어내며 탑의 억제기까지 밀리는 것을 막았다. 38분에 클렘의 일라오이가 죽게 되면서 꼰과함께가 4개의 물용을 획득하고 넥서스를 파괴하고 4강 진출에 성공한다. 여담으로 꼰과 함께의 원딜 여우비는 '''KDA 15/0/9'''를 기록했다. ===== 총평 ===== '''1세트는 미드 차이, 2세트에는 밴픽과 이외 경기에서의 사소한 실수에 의해서 갈린 승부였다.''' 참고로 꼰과함께 팀의 미드 이경민 선수는 1,2 세트에서 100%의 킬 관여율을 보였다. 1세트 같은 경우에는 이경민 선수의 원맨쇼 캐리를 하면서 활약을 했고 2세트 같은 경우에는 클템 선수의 프로에 있고 중계를 한 경험을 살려서 G2식 운영을 하려 했으나 사소한 밴픽 실수 등이 겹친 나머지 지고 말았다. [* 특히 밴픽 상에서 모데카이저가 나서스를 압박하기 괜찮을거라는 클템의 언급이 있었는데 사실 많은 이들이 잘모르는 사실인데 모데카운터가 나서스라 모데가 나서스를 압박하기는 어렵다.][* 그리고 클템 특성상 미드에서 정통메이지챔을 픽하지 못하는데 원딜로 뽑은 애쉬마저 마나무네-제국 템트리를 타면서 팀이 빵딜조합이 되버려 주요 오브젝트 싸움에서 우위를 내준게 아쉬웠다.] ==== 4경기(2020.12.23) ==== ||<-8> '''{{{#white 8강 B그룹 (2020.12.23 1경기 종료 후)}}}''' || ||<-3> [[|'''{{{#white 토교핫}}}''']] ||<|2> 0 ||<|2> 2 ||<-3> [[|'''{{{#white 무ROX}}}''']] || || x || x || - || o || o || - || ||<-3> 탈락 ||<-2> {{{#white 결과}}} ||<-3> '''4강 진출''' || ===== 1세트 =====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10밴픽, blueteam=토교핫, redteam=무ROX, d_blueban1=럼블(리그 오브 레전드), p_blueban1=rumble, d_blueban2=쉔, p_blueban2=shen, d_blueban3=케이틀린(리그 오브 레전드), p_blueban3=caitlyn, d_blueban4=클레드, p_blueban4=kled, d_blueban5=판테온(리그 오브 레전드), p_blueban5=pantheon, d_redban1=베인(리그 오브 레전드), p_redban1=vayne, d_redban2=피즈(리그 오브 레전드), p_redban2=fizz, d_redban3=말파이트, p_redban3=malphite, d_redban4=사일러스(리그 오브 레전드), p_redban4=sylas, d_redban5=아칼리, p_redban5=akali, d_bluepic1=미스 포츈(리그 오브 레전드), p_bluepic1=missFortune, d_bluepic2=모데카이저, p_bluepic2=mordekaiser, d_bluepic3=트런들, p_bluepic3=trundle, d_bluepic4=레오나(리그 오브 레전드), p_bluepic4=leona, d_bluepic5=스웨인(리그 오브 레전드), p_bluepic5=swain, d_redpic1=올라프, p_redpic1=olaf, d_redpic2=마오카이, p_redpic2=maokai, d_redpic3=볼리베어, p_redpic3=volibear, d_redpic4=진(리그 오브 레전드), p_redpic4=jhin, d_redpic5=오른, p_redpic5=ornn)] || [[리그 오브 레전드/드래곤|{{{#fff '''드래곤'''}}}]] || || [[리그 오브 레전드/드래곤#s-2.1|[[파일:Ocean_Dragon_buff.png|width=25]] {{{#000,#fff →}}} [[파일:Infernal_Dragon_buff.png|width=25]] {{{#000,#fff →}}} [[파일:Cloud_Dragon_buff.png|width=25]] {{{#000,#fff →}}} [[파일:Cloud_Dragon_Soul_buff.png|width=25]]]] || '''무창 날뻔 했지만, 타요를 필두로 한 나머지 선수들의 활약에 힘입어 얻은 무ROX의 승리''' 5분 경에 Togyo hot의 정글 토마토 선수가 무ROX 서폿인 듀단에게 먼저 킬을 기록했으나 무ROX의 탑인 타요 선수가 탑에서 솔킬 내고 이어서 정글 김봉준 선수가 상대 미드인 김민교에게 킬을 냈다. 그리고 7분 경에 무ROX의 정글 김봉준 선수가 상대 정글 토마토 선수를 킬하고 물용을 선취했다. 8분 경에 토교핫의 원딜 깨박이가 상대팀의 서폿 듀단을 죽였으나 타요가 뒷텔을 타서 토교핫의 바텀 두 명을 죽였다. 12분에 무ROX의 타요 선수가 상대 미드인 김민교 선수에게 킬을 하고 불용을 획득했다. 그러나 14분에 토교핫의 다쁘의 활약에 힘입어서 상대 미드, 정글을 상대로 킬을 했다. 16분에 무ROX가 탑의 우위를 바탕으로 전령을 먹고 미드 1차를 밀고 원딜 임아니가 용을 스틸해 획득했지만 무ROX 정글의 김봉준의 뇌절과 토교핫의 원딜 깨박이의 활약으로 토교핫이 4대 1의 킬 교환을 기록하게 되었다. 그리고 20분에 무ROX의 듀단 선수가 토교핫의 킹기훈 선수에게서 킬을 기록했다. 22분에 양팀은 원딜을 빼고 킬 교환을 하게 되었다. 4용이 걸렸던 24분에 토교핫의 김민교 선수의 활약으로 상대 팀의 4용 영혼 획득을 막았다. 26분에 바론 앞에서 토규핫이 바론을 치다가 한타가 열려서 무ROX가 3킬를 얻고 바론을 획득했다. 28분에 무ROX가 4대 2로 킬 교환을 하면서 바텀 억제기까지 밀고 4용의 바람의 영혼을 획득했다. 34분에 에이스를 기록하며 승리를 거두었다. ===== 2세트 =====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10밴픽, blueteam=무ROX, redteam=토교핫, d_blueban1=레오나(리그 오브 레전드), p_blueban1=leona, d_blueban2=피즈(리그 오브 레전드), p_blueban2=fizz, d_blueban3=말파이트, p_blueban3=malphite, d_blueban4=사일러스(리그 오브 레전드), p_blueban4=sylas, d_blueban5=아칼리, p_blueban5=akali, d_redban1=럼블(리그 오브 레전드), p_redban1=rumble, d_redban2=쉔, p_redban2=shen, d_redban3=미스 포츈(리그 오브 레전드), p_redban3=missFortune, d_redban4=케이틀린(리그 오브 레전드), p_redban4=caitlyn, d_redban5=진(리그 오브 레전드), p_redban5=jhin, d_bluepic1=올라프, p_bluepic1=olaf, d_bluepic2=마오카이, p_bluepic2=maokai, d_bluepic3=볼리베어, p_bluepic3=volibear, d_bluepic4=카이사, p_bluepic4=kaisa, d_bluepic5=클레드, p_bluepic5=kled, d_redpic1=모데카이저, p_redpic1=mordekaiser, d_redpic2=트런들, p_redpic2=trundle, d_redpic3=베인(리그 오브 레전드), p_redpic3=vayne, d_redpic4=알리스타, p_redpic4=alistar, d_redpic5=피오라(리그 오브 레전드), p_redpic5=fiora)] || [[리그 오브 레전드/드래곤|{{{#fff '''드래곤'''}}}]] || || [[리그 오브 레전드/드래곤#s-2.1|[[파일:Mountain_Dragon_buff.png|width=25]] {{{#000,#fff →}}} [[파일:Infernal_Dragon_buff.png|width=25]] {{{#000,#fff →}}} [[파일:Cloud_Dragon_buff.png|width=25]] {{{#000,#fff →}}} [[파일:Cloud_Dragon_Soul_buff.png|width=25]]]] || '''모든 라인에서 차이를 보이며 압승''' 7분에 무ROX팀이 대지 용을 먼저 획득했다. 8분에 무ROX팀이 전령을 먹고 거기에서 유발된 한타에서 첫 킬을 포함해 4대 1의 킬 교환을 하면서 큰 이득을 보았다. 또 무ROX의 미드 박사장이 상대 미드 김민교를 상대로 킬을 기록하고 이후에 전령을 미드에 풀고 화염용을 획득하면서 돌아가는 길에 상대 바텀 듀오에게 킬을 기록했다. 15분에 2차 전령을 획득하고 미드 1차 포탑을 깨며 퍼블을 기록했다. 17분에 무ROX팀의 미드와 원딜의 3킬을 통해서 바람용을 획득했다. 그리고 19분에 무ROX의 듀단과 미드 박사장의 3킬을 통해서 사실상 승부를 굳혔다. 이후에 무ROX팀은 4용의 획득하고 바론, 장로를 획득하고 원딜인 임아니 선수가 쿼드라 킬을 거두면서 승리를 확정지었다. ===== 총평 ===== '''스크림 1위의 품격을 보여주다.''' 1세트 중간에 무ROX의 주장이자 정글인 김봉준 선수가 뇌절을 해서 어제 중간에 뇌절을 하면서 패배할 뻔 했으나 탑, 미드, 바텀 3라인의 조화가 1세트 승리, 2세트 완승으로 이끌었다. === 4강 === ==== 1경기(2020.12.26) ==== ||<-8> '''{{{#white 4강 A그룹 (2020.12.26 21:30)}}}''' || ||<-3> [[|'''{{{#white 꼰과항께}}}''']] ||<|2> 1 ||<|2> 2 ||<-3> [[|'''{{{#white 학교감싸기}}}''']] || || o || x || x || x || o || o || ||<-3> 탈락 ||<-2> {{{#white 결과}}} ||<-3> '''결승 진출''' || ===== 1세트 =====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10밴픽, blueteam=꼰과항께, redteam=학교감싸기, d_blueban1=헤카림, p_blueban1=hecarim, d_blueban2=모데카이저, p_blueban2=mordekaiser, d_blueban3=케이틀린(리그 오브 레전드), p_blueban3=caitlyn, d_blueban4=유미(리그 오브 레전드), p_blueban4=yuumi, d_blueban5=볼리베어, p_blueban5=volibear, d_redban1=트위스티드 페이트, p_redban1=twistedFate, d_redban2=미스 포츈, p_redban2=missFortune, d_redban3=이즈리얼, p_redban3=ezreal, d_redban4=진(리그 오브 레전드), p_redban4=jhin, d_redban5=애쉬(리그 오브 레전드), p_redban5=ashe, d_bluepic1=루시안(리그 오브 레전드), p_bluepic1=lucian, d_bluepic2=룰루(리그 오브 레전드), p_bluepic2=lulu, d_bluepic3=문도 박사, p_bluepic3=drMundo, d_bluepic4=올라프(리그 오브 레전드), p_bluepic4=olaf, d_bluepic5=리산드라, p_bluepic5=lissandra, d_redpic1=르블랑(리그 오브 레전드), p_redpic1=leblanc, d_redpic2=카이사(리그 오브 레전드), p_redpic2=kaisa, d_redpic3=말파이트, p_redpic3=malphite, d_redpic4=나미(리그 오브 레전드), p_redpic4=nami, d_redpic5=세주아니, p_redpic5=sejuani)] || [[리그 오브 레전드/드래곤|{{{#fff '''드래곤'''}}}]] || || [[리그 오브 레전드/드래곤#s-2.1|[[파일:Ocean_Dragon_buff.png|width=25]] {{{#000,#fff →}}} [[파일:Cloud_Dragon_buff.png|width=25]] {{{#000,#fff →}}} [[파일:Mountain_Dragon_buff.png|width=25]] {{{#000,#fff →}}} [[파일:Mountain_Dragon_Soul_buff.png|width=25]]]] || '''잘못된 오더에 의해 결정난 승부''' 진영 뽑기에서 꼰과항께 팀이 블루 진영을, 학교감싸기 팀이 레드 진영에서 경기하게 되었다. 7분에 꼰과항께 팀이 바다용을 선취했지만, 학교감싸기 팀의 학살 선수가 먼저 킬을 기록하며 2대 1 킬교환을 했다. 8분에 꼰과항께 팀이 1차 전령을 획득했다. 12분에, 감스트의 뒷텔로 여우비 선수에게 킬을 획득했지만, 꼰과항께 팀의 기뉴다 선수가 대지 용을 스틸해서 획득했다. 15분에 학교감싸기 팀의 학살 선수가 상대팀의 정글 기뉴다 선수에게 킬을 기록했다. 16분에 학교감싸기 팀이 상대 팀 탑 최군을 죽이고 바텀에서 퍼블을 기록했다. 학교감싸기 팀이 유리해지던 18분에 꼰과항께 팀이 상대팀 감스트의 뇌절 덕분에 한타에서 대박을 내서 4대 1 킬교환을 하면서 대지 용도 획득하며 용3스텍을 쌓게 되었다. 그리고 21분에 바위게를 줍던 학교감싸기의 싸패 선수는 상대팀의 최군 선수에게 킬을 당했다. 그리고 24분, 학교감싸기 팀의 감스트가 플을 써야 된 상황에서 궁을 쓰는 뇌절을 하게 되면서 4용이 되면서 대지용의 영혼을 내주게 되었다. 하지만 26분에, 학교감싸기 팀이 상대팀 미드이자 에이스 이경민을 죽이는 것을 시작으로 4대 2 킬 교환으로 한타에 성공했다. 장로가 나오게 된 30분에, 학교감싸기 팀이 꼰과항께의 미드인 이경민이 짤리는 것을 시작으로 에이스를 기록하면서, 바론과 장로를 먹으면서 4용을 빼기는 등의 불리했던 전세를 뒤집었다. 그리고 2차 장로 한타에서 학교감싸기 팀의 기룡이가 쿼드라 킬을 기록하면서 에이스를 띄우고 쌍둥이 타워까지 밀지만 앞서 장로를 갈지 타워를 밀지 팀원들의 오더가 갈리며 우왕좌왕 하던 탓에 넥서스까지 밀지 못하고 쌍둥이 포탑 앞에서 모두 잘리고만다. 기지에서 한타를 이긴 꼰과항께 팀은 장로를 먹고 바론까지 먹으며 역전하게 되었다. 여담으로, 이번 경기에서 승자 팀의 꼰과항께 팀의 미드 이경민은 킬관여율 100%가 깨지게 되었다. ===== 2세트 =====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10밴픽, blueteam=학교감싸기, redteam=꼰과항께, d_blueban1=나서스, p_blueban1=nasus, d_blueban2=트위스티드 페이트, p_blueban2=twistedFate, d_blueban3=미스포츈, p_blueban3=missFortune, d_blueban4=올라프(리그 오브 레전드), p_blueban4=olaf, d_blueban5=룰루(리그 오브 레전드), p_blueban5=lulu, d_redban1=모데카이저, p_redban1=mordekaiser, d_redban2=헤카림, p_redban2=hecarim, d_redban3=루시안(리그 오브 레전드), p_redban3=lucian, d_redban4=유미(리그 오브 레전드), p_redban4=yuumi, d_redban5=나미(리그 오브 레전드), p_redban5=nami, d_bluepic1=이즈리얼, p_bluepic1=ezreal, d_bluepic2=말파이트, p_bluepic2=malphite, d_bluepic3=케이틀린(리그 오브 레전드), p_bluepic3=caitlyn, d_bluepic4=모르가나(리그 오브 레전드), p_bluepic4=morgana, d_bluepic5=아무무, p_bluepic5=amumu, d_redpic1=애쉬(리그 오브 레전드), p_redpic1=ashe, d_redpic2=문도 박사, p_redpic2=drMundo, d_redpic3=코르키, p_redpic3=corki, d_redpic4=레오나(리그 오브 레전드), p_redpic4=leona, d_redpic5=누누와 윌럼프, p_redpic5=nunuWillump)] || [[리그 오브 레전드/드래곤|{{{#fff '''드래곤'''}}}]] || || [[리그 오브 레전드/드래곤#s-2.1|[[파일:Ocean_Dragon_buff.png|width=25]] {{{#000,#fff →}}} [[파일:Mountain_Dragon_buff.png|width=25]] {{{#000,#fff →}}} [[파일:Cloud_Dragon_buff.png|width=25]] {{{#000,#fff →}}} [[파일:Cloud_Dragon_Soul_buff.png|width=25]]]] || '''정글과 미드 차이에 의해서 결정난 승부''' 학교감싸기 팀의 학살의 이즈리얼이 상대팀의 기뉴다를 상대로 첫 킬을 기록했다. 그리고 꼰과항께 팀이 전령을 먹었으나 그와 동시에 학교감싸기 팀이 3대 2의 킬교환을 하고 원딜 기룡선수가 기뉴다에게 킬을 기록하면서 첫 용인 물용을 획득하게 되었다. 그리고 16분에 학교감싸기 팀이 2차 전령과 대지 용을 획득하고 미드 1차 탑에서 퍼플을 기록했다. 19분에 학교감싸기 팀의 기룡 선수가 상대 팀 서폿 냥슬에게 킬을 기록하고 바텀 1차 탑을 밀게 되었다. 22분 꼰과항께 팀이 바람 용을 획득하고 2킬을 기록했다. 하지만 분에 학교감싸기 팀이 싸패의 아무무를 필두로 해서 에이스를 기록하면서 바론을 획득하게 되었다. 27분에 학교감싸기 팀의 학살 선수가 펜타킬을 기록하면서 미드 억제기까지 밀고 바람 용을 획득하며 3용 스텍을 쌓게 되었다. 그리고 이 기세를 이어서 학교감싸기 팀이 승리를 거두게 되었다. 여담으로 이 경기에서 학교감싸기 팀의 학살 선수가 '''KDA 14/0/4'''를 기록했다. ===== 3세트 =====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10밴픽, blueteam=학교감싸기, redteam=꼰과함께, d_blueban1=나서스, p_blueban1=nasus, d_blueban2=트위스티드 페이트, p_blueban2=twistedFate, d_blueban3=미스 포츈(리그 오브 레전드), p_blueban3=missFortune, d_blueban4=헤카림, p_blueban4=hecarim, d_blueban5=룰루(리그 오브 레전드), p_blueban5=lulu, d_redban1=모데카이저, p_redban1=mordekaiser, d_redban2=루시안(리그 오브 레전드), p_redban2=lucian, d_redban3=이즈리얼, p_redban3=ezreal, d_redban4=신드라, p_redban4=syndra, d_redban5=야스오(리그 오브 레전드), p_redban5=yasuo, d_bluepic1=케이틀린(리그 오브 레전드), p_bluepic1=caitlyn, d_bluepic2=말파이트, p_bluepic2=malphite, d_bluepic3=아지르(리그 오브 레전드), p_bluepic3=azir, d_bluepic4=아무무, p_bluepic4=amumu, d_bluepic5=요네, p_bluepic5=yone, d_redpic1=애쉬(리그 오브 레전드), p_redpic1=ashe, d_redpic2=문도 박사, p_redpic2=drMundo, d_redpic3=아지르, p_redpic3=azir, d_redpic4=세주아니, p_redpic4=sejuani, d_redpic5=카르마(리그 오브 레전드), p_redpic5=karma)] || [[리그 오브 레전드/드래곤|{{{#fff '''드래곤'''}}}]] || || [[리그 오브 레전드/드래곤#s-2.1|[[파일:Cloud_Dragon_buff.png|width=25]] {{{#000,#fff →}}} [[파일:Infernal_Dragon_buff.png|width=25]] {{{#000,#fff →}}} [[파일:Mountain_Dragon_buff.png|width=25]] {{{#000,#fff →}}} [[파일:Locked_Dragon_buff.png|width=25]]]] || '''불리한 상황에서 바론 스틸에 의해서 이긴 승리''' 진영 뽑기에서 학교감싸기 팀이 블루 진영을, 꼰과항께 팀이 레드 진영에서 경기하게 되었다. 밴픽에서 3경기 연속으로 블루 진영의 학교감싸기 팀의 탑인 감스트는 말파이트를 꼰과함께 팀의 탑인 최군 선수는 문도 박사의 픽으로 승부를 하게 되었다. 7분에 학교감싸기 팀이 바람용을 뺏으면서 원딜 기룡 선수가 상대 정글 기뉴다를 죽이면서 첫 킬을 하게 되었다. 하지만, 꼰과항께의 탑 최군 선수가 상대 정글 싸패 선수에게 킬을 기록했다. 13분에 꼰과항께 팀이 불용을 획득했으나 상대 팀에게 1차 전령을 뺏기고, 원딜을 하는 기룡 선수에게 정글 기뉴다가 또 킬을 당했다. 19분에 학교감싸기 팀이 대지 용을 획득했으나 포지션이 갈려서 1대 5 킬교환으로 한타에서 완패했다. 하지만 학교감싸기 팀의 싸패 선수가 상대팀의 미드 이경민 선수에게 킬을 기록했다. 22분에 학교감싸기 싸패 선수가 바론을 스틸했다. 물론 그 사이에 상대팀은 대지용을 획득했다. 24분에 학교감싸기 팀이 매복을 통해서 상대 서폿 냥슬 등에게 2킬을 기록하고 미드 2차를 밀었다. 28분에 학교감싸기 팀이 서폿 냥슬을 제외하고 4대 1의 킬교환을 하면서 대지 용과 바론을 획득하게 되었다. 31분에 학교감싸기 미드 억제기까지 밀고 쌍둥이 탑을 둘다 밀었고 중간에 기룡 선수의 뇌절로 인해서 꼰과항께의 4대 2 킬 교환을 당하는 사고가 있었으나 4용 싸움하기 전에 정글 싸패 선수의 선 이니쉬가 대박난 덕분에 결승 진출에 성공하게 된다. ===== 총평 ===== '''정글 차이와 트위치 출신들의 재발견''' 8강전에서는 1티어로 여겨졌었던 사랑해 팀의 [[철구(인터넷 방송인)|철구]] 선수가 창을 내며 팀을 수렁으로 끌고 갔다면 이번 4강전에서는 우세라고 여겨졌던 꼰과항께의 [[기뉴다]] 선수의 컨디션 난조로 인해 창을 내 팀을 탈락으로 이끌었다. 한편, 지난 8강전과 이번 4강전을 보면서 새롭게 이적하게 된 학교감싸기 팀의 미드인 [[김효종(2000)|학살]]선수와 원딜인 [[기룡이|기룡]] 선수가 미드차이와 바텀차이를 보이는 활약을 하면서 결승으로 팀을 이끌게 되었다. ==== 2경기(2020.12.26) ==== ||<-8> '''{{{#white 4강 A그룹 (2020.12.26 1경기 종료 후)}}}''' || ||<-3> [[|'''{{{#white 무ROX}}}''']] ||<|2> 2 ||<|2> 0 ||<-3> [[|'''{{{#white 찐텐즈}}}''']] || || o || o || || x || x || || ||<-3> '''결승 진출''' ||<-2> {{{#white 결과}}} ||<-3> 탈락 || ===== 1세트 =====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10밴픽, blueteam=무ROX, redteam=찐텐즈, d_blueban1=애니비아, p_blueban1=anivia, d_blueban2=카시오페아(리그 오브 레전드), p_blueban2=cassiopeia, d_blueban3=모르가나(리그 오브 레전드), p_blueban3=morgana, d_blueban4=잔나, p_blueban4=janna, d_blueban5=룰루(리그 오브 레전드), p_blueban5=lulu, d_redban1=마오카이, p_redban1=maokai, d_redban2=럼블(리그 오브 레전드), p_redban2=rumble, d_redban3=미스 포츈(리그 오브 레전드), p_redban3=missFortune, d_redban4=피즈(리그 오브 레전드), p_redban4=fizz, d_redban5=에코(리그 오브 레전드), p_redban5=ekko, d_bluepic1=올라프(리그 오브 레전드), p_bluepic1=olaf, d_bluepic2=카이사, p_bluepic2=kaisa, d_bluepic3=레오나(리그 오브 레전드), p_bluepic3=leona, d_bluepic4=쉔, p_bluepic4=shen, d_bluepic5=클레드, p_bluepic5=kled, d_redpic1=트런들, p_redpic1=trundle, d_redpic2=진(리그 오브 레전드), p_redpic2=jhin, d_redpic3=빅토르(리그 오브 레전드), p_redpic3=viktor, d_redpic4=소라카, p_redpic4=soraka, d_redpic5=모데카이저, p_redpic5=mordekaiser)] || [[리그 오브 레전드/드래곤|{{{#fff '''드래곤'''}}}]] || || [[리그 오브 레전드/드래곤#s-2.1|[[파일:Ocean_Dragon_buff.png|width=25]] {{{#000,#fff →}}} [[파일:Mountain_Dragon_buff.png|width=25]] {{{#000,#fff →}}} [[파일:Infernal_Dragon_buff.png|width=25]] {{{#000,#fff →}}} [[파일:Infernal_Dragon_Soul_buff.png|width=25]]]] || '''역시 강팀은 강팀이다.''' 진영 뽑기에서 무ROX 팀이 블루 진영을, 찐텐즈 팀이 레드 진영에서 경기하게 되었다. 6분에 무ROX 팀이 바다 용을 획득했고 9분에 전령을 획득하게 되었다. 11분에 찐텐즈의 미드 벤츠가 상대 미드 박사장에게 킬을 기록하고 대지용을 획득했다. 13분에 찐텐즈의 탑 케이 선수와 무ROX의 정글 김봉준 선수가 킬을 교환했다. 무ROX의 서폿인 듀단이 상대 원딜 킴성태에게 킬을 기록하고 바텀 탑에서 퍼블을 기록했다. 16분에 무ROX팀의 원딜 임아니가 상대 탑 케이에게서 킬을 기록하고 불용을 획득했다. 그러나 찐텐즈의 미드 벤츠 선수가 무ROX의 타요 선수에게 킬을 기록하고 전령을 획득했다. 20분에 찐텐쯔가 미드 1차를 밀게 되었다. 22분에 무ROX팀이 서폿 듀단의 활약을 힘입어서 4대 2 킬교환을 하며 불용을 획득했다. 24분에 찐텐즈의 미드 벤츠 선수가 상대 서폿 듀단 선수에게 킬을 기록했다. 그리고 26분에 무ROX팀이 탑 1차 포탑을 밀었다. 28분에 무ROX팀이 불용을 획득하고 불용의 영혼을 획득했고 미드 2차 포탑을 밀고 있는 찐텐즈 선수들을 모두 다 죽여서 에이스를 기록했고 바론을 획득했고 또 다시 에이스를 기록하는 한타에서 대승을 기록하며 1승을 선취하게 되었다. ===== 2세트 =====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10밴픽, blueteam=찐텐즈, redteam=무ROX, d_blueban1=마오카이, p_blueban1=maokai, d_blueban2=클레드, p_blueban2=kled, d_blueban3=올라프(리그 오브 레전드), p_blueban3=olaf, d_blueban4=피즈(리그 오브 레전드), p_blueban4=fizz, d_blueban5=헤카림, p_blueban5=hecarim, d_redban1=애니비아, p_redban1=anivia, d_redban2=카시오페아(리그 오브 레전드), p_redban2=cassiopeia, d_redban3=미스 포츈(리그 오브 레전드), p_redban3=missFortune, d_redban4=신드라, p_redban4=syndra, d_redban5=다이애나(리그 오브 레전드), p_redban5=diana, d_bluepic1=볼리베어, p_bluepic1=volibear, d_bluepic2=진(리그 오브 레전드), p_bluepic2=jhin, d_bluepic3=소라카, p_bluepic3=soraka, d_bluepic4=직스, p_bluepic4=ziggs, d_bluepic5=오른, p_bluepic5=ornn, d_redpic1=모르가나(리그 오브 레전드), p_redpic1=morgana, d_redpic2=케이틀린(리그 오브 레전드), p_redpic2=caitlyn, d_redpic3=쉔, p_redpic3=shen, d_redpic4=빅토르(리그 오브 레전드), p_redpic4=viktor, d_redpic5=자르반 4세, p_redpic5=jarvanIV)] || [[리그 오브 레전드/드래곤|{{{#fff '''드래곤'''}}}]] || || [[리그 오브 레전드/드래곤#s-2.1|[[파일:Cloud_Dragon_buff.png|width=25]] {{{#000,#fff →}}} [[파일:Infernal_Dragon_buff.png|width=25]] {{{#000,#fff →}}} [[파일:Ocean_Dragon_buff.png|width=25]] {{{#000,#fff →}}} [[파일:Locked_Dragon_buff.png|width=25]]]] || '''올라갈 팀은 올라간다.''' 5분, 찐텐즈가 첫 용인 바람 용을 획득했다. 1대 1 킬 교환을 하면서 무ROX가 전령을 얻었다. 11분, 찐텐즈가 두 번째 용인 불 용을 획득했고 무ROX는 탑 1차 포탑을 밀면서 퍼블을 기록했다. 14분에 찐텐즈의 앵지가 상대 무ROX의 미드 박사장를 죽였으나 이후에 1대 4 킬교환을 하게 되면서 무ROX가 바텀 1차 포탑을 밀었다. 17분, 무ROX가 겨우 물용을 먹고 바텀이 2킬을 추가했다. 하지만 18분에 찐텐즈 원딜 킴성태가 상대 서폿 듀단에게서 킬을 기록했고 전령을 뺏었으나 상대팀인 무ROX의 서폿 듀단을 필두로 해서 또 한 번 에이스를 기록당하게 되었다. 21분, 물용싸움에서 무ROX가 4킬을 기록하면서 2번째 물용과 바론을 획득했다. 29분, 무ROX가 물용과 바론을 획득하면서 결승 진출을 확정지었다. 여담으로 이번 경기에서 무ROX팀이 킬 스코어가 '''22:6'''으로 대승을 했다. ===== 총평 ===== '''이변은 여기까지''' 지난 8강전에 사랑해(TEAM 철구)의 우세로 여겨졌던 경기에서 주장 철구의 부진으로 승리를 거두는 이변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8강전의 이변을 일으킨 기세를 주장인 김봉준 덕분에 무창을 일으켜서 4강전 초반에도 이번에게 이변이 일어나는 지를 보여줄 뻔했으나 선수들의 기본적인 실력과 오랫동안 맞춰온 호흡 차이[* 참고로 미드 박사장, 원딜 임아니, 서폿 듀단이 이전의 멸망전에서 같은 팀으로 출전한 전적이 있다.]에 의해서 이변은 결국 일어나지 않게 되었다. === 결승 === ||<-12> '''{{{#white 결승전 (2020.12.27 22:00)}}}''' || ||<-5> [[|'''{{{#white 학교감싸기}}}''']] ||<|2> 0 ||<|2> 3 ||<-5> [[|'''{{{#white 무ROX}}}''']] || || x || x || x || - || - || o || o || o || - || - || ||<#C0C0C0><-5><:><|2> {{{#black 준우승}}} ||<-2> {{{#white 결과}}} ||<#FFD700><-5><:> '''{{{#black 우승}}}''' || ==== 사전 예측 ==== 세부 스텟은 이 사이트에 자세히 정리되어 있다. [[https://www.fmkorea.com/index.php?mid=afreecatv&search_target=title_content&document_srl=3288330983&search_keyword=%EB%B9%84%EA%B5%90|#]] 탑: '''무ROX의 [[타요(인터넷 방송인)|타요]] 강세''' 정글: 학교감싸기의 [[싸패]]와 무ROX의 [[김봉준]]의 '''백중세''' 미드: '''학교감싸기의 [[김효종(2000)|학살]]의 약우세''' 바텀: '''학교감싸기의 [[기룡이|기룡]]과 [[애교용]]의 약우세''' 스크림 전적: '''무ROX 2-0 학교감싸기''', 무ROX 승리 위의 언급된 지표를 볼 때, 미드와 바텀은 학교감싸기 팀이 약간 우세하나 탑이 완전히 열세하다. 따라서 학교감싸기 팀은 탑인 [[감스트]]가 상대 탑인 타요에게서 탑고속도로를 뚫리지 않고 잘 버틸 수 있는지, 역으로 무ROX팀은 미드와 바텀에서 [[박사장]]과 [[임아니]]가 트위치에서 최근 이적한 미드 학살과 원딜 기룡이에게서 잘 버틸 수 있는지, 그리고 양 팀 정글들 중에서 누가 먼저 창을 낼 것인지가 승부에서 핵심적인 관건이 될 것으로 보여진다. 과연, 학교감싸기팀이 대회 전에 이러한 성적을 못 낼 것이라는 예측을 깨고 웃을 것인지, 아니면 무ROX 팀이 자신들이 우승후보라는 사실을 증명할 것인지. ==== 경기 내용 ==== ===== 1세트 =====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10밴픽, blueteam=무ROX, redteam=학교감싸기, d_blueban1=말파이트, p_blueban1=malphite, d_blueban2=모데카이저, p_blueban2=mordekaiser, d_blueban3=모르가나(리그 오브 레전드), p_blueban3=morgana, d_blueban4=아무무, p_blueban4=amumu, d_blueban5=세주아니, p_blueban5=sejuani, d_redban1=빅토르(리그 오브 레전드), p_redban1=viktor, d_redban2=올라프(리그 오브 레전드), p_redban2=olaf, d_redban3=자르반 4세, p_redban3=jarvanIV, d_redban4=럼블(리그 오브 레전드), p_redban4=rumble, d_redban5=클레드, p_redban5=kled, d_bluepic1=미스 포츈(리그 오브 레전드), p_bluepic1=missFortune, d_bluepic2=레오나(리그 오브 레전드), p_bluepic2=leona, d_bluepic3=볼리베어, p_bluepic3=volibear, d_bluepic4=헤카림, p_bluepic4=hecarim, d_bluepic5=오른, p_bluepic5=ornn, d_redpic1=케이틀린(리그 오브 레전드), p_redpic1=caitlyn, d_redpic2=마오카이, p_redpic2=maokai, d_redpic3=루시안(리그 오브 레전드), p_redpic3=lucian, d_redpic4=자크(리그 오브 레전드), p_redpic4=zac, d_redpic5=나미(리그 오브 레전드), p_redpic5=nami)] || [[리그 오브 레전드/드래곤|{{{#fff '''드래곤'''}}}]] || || [[리그 오브 레전드/드래곤#s-2.1|[[파일:Mountain_Dragon_buff.png|width=25]] {{{#000,#fff →}}} [[파일:Ocean_Dragon_buff.png|width=25]] {{{#000,#fff →}}} [[파일:Infernal_Dragon_buff.png|width=25]] {{{#000,#fff →}}} [[파일:Locked_Dragon_buff.png|width=25]]]] || '''전략과 한타 싸움 차이''' 1분 경에 퍼즈가 걸렸다. 3분 경에 학교감싸기의 학살 선수가 무ROX의 타요 선수에게 첫 킬을 기록했다. 5분 경에 김봉준 선수가 분위기를 반전시키기 위해서 바텀을 갱킹했으나 기룡이나 애교용에게 킬을 기록하는 것을 실패하고 대신에 대지 용을 획득했다. 그러나 9분경에 무ROX의 임아니 선수가 2전3기 끝에 상대 원딜 기룡 선수를 죽이고 1차 전령을 획득했다. 10분에 무ROX가 바텀에서 2킬을 내고 그 이후에 바로 미드인 박사장 선수가 상대 미드 학살 선수에게 솔킬을 내며 물용을 획득했다. 14분에 무ROX가 바텀에서 퍼블을 기록했다. 15분에 전세가 불리해지던 학교감싸기 팀이 회심의 일격으로 상대 미드 박사장에게 킬을 기록하려 했으나 불발되고 무ROX가 2차 전령도 획득했다. 그리고 19분에 무ROX가 미드 1차 전령을 깼다. 하지만 이 교전에서 동시에 무ROX가 교전을 하려 했으나, 킬이 안 나오고 불용 싸움에서 상대 팀 학교감싸기가 불용을 획득하고 4대 1 킬교환을 거두는 등의 활약을 하며 분위기를 반전시키는 데 성공했다. 22분에 학교감싸기의 학살 선수가 서폿 듀단을 죽이는 것을 시작으로 박사장 선수, 임아니 선수를 연달아 킬하면서 바론을 획득했다. 물론 동시에 무ROX가 불용을 획득했다. 그리고 25분에 학교감싸기가 3대 1 킬을 기록하며 미드 억제기까지 밀게 되었다. 한편, 학교감싸기 팀의 탑 감스트가 킬을 당하면서 탑 억제기까지 밀리게 되었다. 29분에 학교감싸기 팀이 불용을 획득했다. 그리고 31분에 학교감싸기 팀이 바론을 뺏고 3대 1 킬 교환을 했다. 35분에 학교감싸기 팀이 불용을 획득했으나 1대 4 킬교환을 당했다. 37분에 무ROX가 한타 싸움에서 에이스를 기록하면서 1세트를 가져가게 되었다. ===== 2세트 =====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10밴픽, blueteam=학교감싸기, redteam=무ROX, d_blueban1=올라프(리그 오브 레전드), p_blueban1=olaf, d_blueban2=자르반 4세, p_blueban2=jarvanIV, d_blueban3=쉔, p_blueban3=shen, d_blueban4=헤카림, p_blueban4=hecarim, d_blueban5=일라오이, p_blueban5=illaoi, d_redban1=말파이트, p_redban1=malphite, d_redban2=모르가나, p_redban2=morgana, d_redban3=미스포츈(리그 오브 레전드), p_redban3=missFortune, d_redban4=아무무, p_redban4=amumu, d_redban5=세주아니, p_redban5=sejuani, d_bluepic1=케이틀린(리그 오브 레전드), p_bluepic1=caitlyn, d_bluepic2=모데카이저, p_bluepic2=mordekaiser, d_bluepic3=이즈리얼, p_bluepic3=ezreal, d_bluepic4=나미(리그 오브 레전드), p_bluepic4=nami, d_bluepic5=자크(리그 오브 레전드), p_bluepic5=zac, d_redpic1=카이사, p_redpic1=kaisa, d_redpic2=레오나(리그 오브 레전드), p_redpic2=leona, d_redpic3=피즈(리그 오브 레전드), p_redpic3=fizz, d_redpic4=볼리베어, p_redpic4=volibear, d_redpic5=문도 박사, p_redpic5=drMundo)] || [[리그 오브 레전드/드래곤|{{{#fff '''드래곤'''}}}]] || || [[리그 오브 레전드/드래곤#s-2.1|[[파일:Infernal_Dragon_buff.png|width=25]] {{{#000,#fff →}}} [[파일:Ocean_Dragon_buff.png|width=25]] {{{#000,#fff →}}} [[파일:Mountain_Dragon_buff.png|width=25]] {{{#000,#fff →}}} [[파일:Locked_Dragon_buff.png|width=25]]]] || '''탑 차이''' 3분에 무ROX의 임아니 선수가 상대 서폿 애교용 선수에게 킬을 기록했다. 5분에 학교감싸기 팀의 정글 싸패 선수가 첫 용인 불용을 스틸하며 획득했다. 하지만 7분에 무ROX의 타요 선수가 상대 탑인 감스트에게 솔킬을 기록했다. 10분에 무ROX 팀이 1차 전령을 먹었으나 상대 미드 학살 선수에 의해서 2킬을 당했다. 하지만 이 한타가 끝나고 바로 무ROX의 김봉준이 상대 탑 감스트 선수에게 킬을 기록했다. 11분에 무ROX가 바다 용을 획득했다. 12분에 무ROX의 타요 선수가 또 다시 상대 탑 감스트 선수에게 킬을 기록했다. 학교감싸기가 불리해져가던 13분에 미드 학살의 활약을 필두로 해서 3대 2 킬 교환을 하며 오랜만에 이득을 보았다. 하지만, 무ROX가 4킬을 기록하면서 15분에 학교감싸기 미드 학살 선수가 타요에게 킬을 기록하고 전령과 대지 용을 획득했으나 상대 무ROX가 미드 1차 포탑에서 퍼블을 기록했다. 18분에 학교감싸기의 탑 감스트 선수가 또 킬을 당하며 탑과 바텀의 1차 탑이 깨지게 되었다. 23분에, 대지 용 싸움에서 무ROX가 3킬을 내주고 에이스를 기록하며 대지용을 획득했다. 하지만, 25분에 학교감싸기 팀의 학살 선수가 상대 탑 타요 선수에게 킬을 기록하면서 미드 1차 탑을 밀었지만 4킬을 당하게 되었다. 그리고 27분에 무ROX가 학교감싸기의 원딜인 기룡 선수에게 킬을 기록하고 이후에 바론을 스틸하려던 상대 탑 감스트 선수와 정글인 싸패 선수에게도 킬을 기록하면서 바론과 대지 용을 획득하며 사실상 승부가 기울어지게 되었다. 34분에, 무ROX가 대지 용과 바론을 획득하면서 2승을 획득하게 되었다. 여담으로, 무ROX의 탑 타요 선수는 이번 경기에서 '''KDA 11/4/3'''를 기록했고 원딜 임아니 선수는 '''KDA 9/1/8'''을 기록했으며, 상대 미드인 학살 선수는 '''KDA 8/2/2'''를 기록했다. ===== 3세트 =====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10밴픽, blueteam=무ROX, redteam=학교감싸기, d_blueban1=말파이트, p_blueban1=malphite, d_blueban2=모데카이저, p_blueban2=mordekaiser, d_blueban3=모르가나(리그 오브 레전드), p_blueban3=morgana, d_blueban4=이즈리얼, p_blueban4=ezreal, d_blueban5=아무무, p_blueban5=amumu, d_redban1=올라프(리그 오브 레전드), p_redban1=olaf, d_redban2=자르반 4세, p_redban2=jarvanIV, d_redban3=쉔, p_redban3=shen, d_redban4=빅토르(리그 오브 레전드), p_redban4=viktor, d_redban5=클레드, p_redban5=kled, d_bluepic1=미스 포츈(리그 오브 레전드), p_bluepic1=missFortune, d_bluepic2=마오카이, p_bluepic2=maokai, d_bluepic3=볼리베어, p_bluepic3=volibear, d_bluepic4=오른, p_bluepic4=ornn, d_bluepic5=일라오이, p_bluepic5=illaoi, d_redpic1=레오나(리그 오브 레전드), p_redpic1=leona, d_redpic2=카이사, p_redpic2=kaisa, d_redpic3=가렌(리그 오브 레전드), p_redpic3=garen, d_redpic4=헤카림, p_redpic4=hecarim, d_redpic5=야스오(리그 오브 레전드), p_redpic5=yasuo)] || [[리그 오브 레전드/드래곤|{{{#fff '''드래곤'''}}}]] || || [[리그 오브 레전드/드래곤#s-2.1|[[파일:Infernal_Dragon_buff.png|width=25]] {{{#000,#fff →}}} [[파일:Cloud_Dragon_buff.png|width=25]] {{{#000,#fff →}}} [[파일:Mountain_Dragon_buff.png|width=25]] {{{#000,#fff →}}} [[파일:Locked_Dragon_buff.png|width=25]]]] || '''밴픽 차이''' 경기가 시작되는 순간 퍼즈에 걸렸다. 2패로 탈락의 위기에 몰린 학교감싸기 팀이 불용을 먼저 획득했다. 그리고 학교감싸기의 탑 감스트가 상대 탑 타요에게 최초로 솔킬을 기록했다. 그리고 8분에 학교감싸기 기룡 선수가 상대 정글 김봉준에게 킬을 기록했지만, 무ROX의 박사장 선수가 역으로 상대 미드 학살 선수에게 킬을 기록했다. 11분에, 학교감싸기가 감스트의 텔을 필두로 2킬을 기록하고 바람용을 획득했다. 한편, 13분에 무ROX의 타요 선수가 탑 1차 포탑에서 채굴한 것을 기반으로 퍼블을 기록했다. 15분에도 무ROX의 타요 선수가 또 킬을 당했다. 하지만 16분에 무ROX가 바텀 1차 포탑을 밀고 3대 2 킬교환을 하면서 대지 용을 획득했다. 무ROX팀이 한타 싸움에서 3대 1 킬 교환의 큰 이득을 보고 대지 용을 먹었다. 그리고 바로 무ROX가 탑인 타요 선수의 일라오이를 필두로 4킬을 기록하면서 약간 불리했던 분위기를 뒤집어냈다. 그 후 19분에 무ROX가 2차 전령도 획득하면서 4대1 킬 교환을 했다. 그리고 20분에 미드 2차 포탑을 밀고, 전령을 통해서 탑 2차 포탑을 밀었다. 그리고 22분에 무ROX팀이 학교감싸기의 학살 선수를 죽이면서 바텀 2차 포탑도 밀게 되었다. 23분에, 무ROX팀이 대지용을 획득했다. 24분에 무ROX팀이 탑 타요의 일라오이가 킬을 당하기는 했으나 상대 팀 바텀 억제기를 파괴하고 바론을 획득했다. 그리고 28분에 무ROX가 에이스를 기록하며 넥서스를 깨고 '''전승 우승'''을 하게 되었다. ==== 총평 ==== '''경험 차이''' * 무ROX의 승리 요인: 밴픽을 쉽게 했다. 그리고 미드는 1, 2세트 동안에는 밀리는 경향이 있었지만, 정글도 지난 8강이나 4강에서 창을 자주 내던 것이 줄어들고 바텀은 약열세로 여겨졌으나 서폿 듀단 선수가 상대 팀의 서폿 애교용 선수와 차이를 만들어내고 원딜인 임아니 선수가 상대 기룡 선수를 상대로 선전하고 탑인 타요 선수가 재능을 보이며 상대 탑 감스트 선수에게 완승을 거둔 것이 승리의 요인으로 작용하게 되었다. * 학교감싸기의 패배 요인: 밴픽을 할 때 난이도 높은 픽들을 골라했다. 그리고 프로게이머 경험--근데 롤 프로가 아니다--이 있는 학교감싸기 팀의 미드인 학살 선수가 원맨쇼를 하기는 했지만, 약우세로 여겨졌던 기룡 선수를 비롯한 나머지 선수들이 상대 팀에게 차이를 보이게 된 것이 패배의 요인으로 작용하게 되었다. == 여담 == * 무ROX의 미드인 [[박사장]]과 원딜인 [[임아니]], 서폿인 [[듀단]] 선수는 [[2020 LoL BJ멸망전 시즌3|2020 BJ 롤멸망전 시즌3 앙코르 이벤트 매치]]에서 같은 팀으로 참여했다. 여담으로 [[박사장]] 선수는 그 대회에서는 탑으로 출전했다. * [[안녕수야]]와 [[김레인]]은 이 대회에서 탈락하고 울었다. 그리고 [[철구(인터넷 방송인)|철구]]는 그날 생일이었던 [[저라뎃]]과 싸웠다.--물론 그 뒤에 철구가 저라뎃에게 생일풍을 준 것은 비밀...-- * 4강 1차전에서 꼰과항께 주장인 [[기뉴다]]는 패배를 해 범인이 되어서 급방종을 하게 되었다. * 최근에 트위치에서 넘어온 [[기룡이|기룡]] 선수와 [[김효종(2000)|학살]] 선수를 재발굴하는 계기가 되었다. * 결승을 제외한 전 경기에서 [[김종인(프로게이머)|프레이]]와 [[김봉준]][* 단, 경기가 있는 경우에는 참여하지 않음.] 이 중계진으로 참여했고 객원해설위원으로 8강전 1일차에는 [[강범현|고릴라]], 2일차에는 [[이호진(e스포츠)|이호진]], 4강전에서는 8강에서 탈락한 [[김민교(인터넷 방송인)|김민교]], 결승전에서는 [[전용준]] LCK 캐스터와 8강에서 탈락한 [[이현우(게임 해설가)|클템]]과 전날의 4강전에도 중계에 참여했던 김민교가 참여했다. * 이 대회의 결승을 중계한 [[전용준]] 캐스터는 [[네이버]] 실검 1위에 오르게 되었다.. * [[듀단]]은 제 2차 나락전 이후로 오랜만에 롤 대회에서 우승하였다. * 한편, 대회 직후에 여러 커뮤니티에서 위장 티어 논란이 일어났다. * 당시 멤버 선발이 너무 흥행 위주라서 밸런스 붕괴가 심각했는데 대회 결승 직전까지 다수의 시청자들과 BJ들은 이 사실을 인지하지 못했다.위장티어 논란까지 겹쳐서 우승팀이 욕먹는 상황이 되자 아프리카 롤 열기가 식기 시작했다. 주최자 김봉준은 이 때의 스트레스로 현재까지 대회 개최를 꺼리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