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제20대 국회의원 선거]][[분류:강원특별자치도의 정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제20대 국회의원 선거/지역별 결과)] [include(틀:제20대 국회의원 선거)] [목차] == 개요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의 [[강원도]] 지역 결과를 정리한 문서이다. == 결과 표 == === 지역구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제20대 총선 강원도 지역구 결과.svg|width=100%]]}}}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include(틀:무소속)] || || 1석 || 6석 || 1석 || ||<-3> {{{#ffffff '''정당별 강원도 지역구 득표율'''}}} || ||<|2> '''정당''' || '''득표수''' ||<|2> '''의석''' || || '''득표율''' || ||<|2>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345,158''' ||<|2> '''{{{#C9252B 6석}}}''' || || '''38.33%''' || ||<|2>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255,423''' ||<|2> '''{{{#004EA2 1석}}}''' || || '''35.27%''' || ||<|2> [[무소속|[include(틀:무소속)]]] || '''95,769''' ||<|2> '''{{{#808080 1석}}}''' || || '''13.22%''' || ||<|2> [include(틀:국민의당(2016년))] || '''14,644''' ||<|2> - || || '''2.02%''' || ||<|2> [include(틀:정의당)] || '''6,903''' ||<|2> - || || '''0.95%''' || ||<|2> [[노동당(대한민국)|[include(틀:노동당)]]] || '''5,420''' ||<|2> - || || '''0.75%''' || ||<|2> [[민중연합당|[include(틀:민중연합당)]]] || '''954''' ||<|2> - || || '''0.13%''' || || '''선거인 수''' || 1,277,335 ||<|3> '''투표율'''[br]57.68% || || '''투표 수''' || 736,758 || || '''무효표 수''' || 12,487 || ||<-6> {{{#0d3692,#6d95f1 '''강원도 개표 결과 (지역구)'''}}} || ||<-6> {{{#ffffff '''국회의원'''}}} || || '''정당''' || [[더불어민주당|{{{#ffffff 더불어민주당}}}]] || [[새누리당|{{{#ffffff 새누리당}}}]] || [[무소속|{{{#ffffff 무소속}}}]] || '''표차'''(1위 / 2위) || '''당선자''' || || '''의석수''' || {{{#ffffff 1석}}} || {{{#ffffff '''6석'''}}} || {{{#ffffff 1석}}} || || || || '''득표수[br](득표율)''' || 255,423[br](35.27%) || {{{#ffffff '''345,158[br](47.66%)'''}}} || 95,769[br](13.22%) || -89,735[br](-12.39%) || || || '''[[춘천시(선거구)|춘천시]]''' || '''45.94%''' || {{{#c9252b,#ff3232 50.54%}}} || - || {{{#696969,#969696 6,041 (4.60%)}}} || {{{#ffffff 김진태 (2선)}}} || || '''[[원주시 갑]]''' || 43.86% || {{{#c9252b,#ff3232 44.04%}}} || - || {{{#696969,#969696 '''134 (0.19%)'''}}} || {{{#ffffff 김기선 (2선)}}} || || '''[[원주시 을]]''' || {{{#004EA2,#4aa8ed 44.27%}}} || 43.82% || - || {{{#696969,#969696 '''350 (0.46%)'''}}} || {{{#ffffff 송기헌 (1선)}}} || || '''[[강릉시(선거구)|강릉시]]''' || 37.14% || {{{#c9252b,#ff3232 57.15%}}} || - || 19,034 (20.01%) || {{{#ffffff '''권성동 (3선)'''}}} || || '''[[속초시·고성군·양양군]]''' || 37.99% || {{{#c9252b,#ff3232 '''62.00%'''}}} || - || 14,593 (24.01%) || {{{#ffffff 이양수 (1선)}}} || || '''[[동해시·삼척시]]''' || {{{#696969,#969696 18.09%}}} || {{{#696969,#969696 33.35%}}} || {{{#808080,#7f7f7f '''48.54%'''}}} || 11,961 (15.19%) || {{{#ffffff 이철규 (1선)}}} || || '''[[태백시·횡성군·영월군·평창군·정선군]]''' || 19.75% || {{{#c9252b,#ff3232 40.74%}}} || 39.49% || {{{#696969,#969696 1,359 (1.25%)}}} || {{{#ffffff 염동열 (2선)}}} || || '''[[홍천군·철원군·화천군·양구군·인제군]]''' || 34.99% || {{{#c9252b,#ff3232 50.39%}}} || 14.61% || 15,508 (15.40%) || {{{#ffffff '''황영철 (3선)'''}}} || >더불어민주당 최다 득표율 지역구: 춘천시 (45.94%)[br]더불어민주당 최소 득표율 지역구: 동해시·삼척시 (18.09%) > >더불어민주당 최다 득표 지역구: 춘천시 (60,333표)[br]더불어민주당 최소 득표 지역구: 동해시·삼척시 (14,250표) > >새누리당 최다 득표율 지역구: 속초시·고성군·양양군 (62.00%)[br]새누리당 최소 득표율 지역구: 동해시·삼척시 (33.35%) > >새누리당 최다 득표 지역구: 춘천시 (66,374표)[br]새누리당 최소 득표 지역구: 동해시·삼척시 (26,264표) === 비례대표 === ||<-5> {{{#0d3692,#6d95f1 '''강원도 개표 결과 (비례대표)'''}}} || ||<-5> {{{#ffffff '''비례대표'''}}} || || '''정당''' || [[더불어민주당|{{{#ffffff 더불어민주당}}}]] || [[새누리당|{{{#ffffff 새누리당}}}]] || [include(틀:국민의당(2016년))] || [include(틀:정의당)] || || '''득표수[br](득표율)''' || '''169,288[br](23.93%)''' || {{{#ffffff '''307,007[br](43.40%)'''}}} || '''136,559[br](19.30%)''' || '''40,457[br](5.71%)''' || || '''춘천시''' || 27.64% || {{{#c9151e,#ea363e 37.79%}}} || 20.75% || {{{#ffcc00,#ffcc00 '''7.30%'''}}} || || '''원주시''' || {{{#004EA2,#469ee7 '''28.12%'''}}} || {{{#ff6347 36.73%}}} || {{{#046240,#9dfbd9 '''22.23%'''}}} || 6.70% || || '''강릉시''' || 22.80% || {{{#c9151e,#ea363e 46.76%}}} || 18.39% || 5.24% || || '''속초시''' || 22.34% || {{{#c9151e,#ea363e 44.86%}}} || 21.03% || 6.13% || || '''동해시''' || 19.54% || {{{#c9151e,#ea363e 46.03%}}} || 19.66% || 5.54% || || '''태백시''' || 21.35% || {{{#c9151e,#ea363e 46.72%}}} || 17.43% || 5.52% || || '''삼척시''' || 19.41% || {{{#c9151e,#ea363e 48.50%}}} || 17.18% || 5.08% || || '''홍천군''' || 25.54% || {{{#c9151e,#ea363e 45.21%}}} || 16.96% || 4.29% || || '''횡성군''' || {{{#696969,#969696 18.82%}}} || {{{#c9151e,#ea363e 47.62%}}} || 17.76% || 4.09% || || '''영월군''' || 19.77% || {{{#c9151e,#ea363e 47.29%}}} || 17.27% || 4.67% || || '''평창군''' || 19.28% || {{{#c9151e,#ea363e 50.28%}}} || 16.43% || 4.29% || || '''정선군''' || 21.24% || {{{#c9151e,#ea363e 48.01%}}} || {{{#696969,#969696 15.13%}}} || 4.88% || || '''철원군''' || 20.18% || {{{#c9151e,#ea363e 47.11%}}} || 17.85% || 4.44% || || '''화천군''' || 21.03% || {{{#c9151e,#ea363e 48.21%}}} || 17.26% || 4.78% || || '''양구군''' || 23.38% || {{{#c9151e,#ea363e 47.21%}}} || 17.11% || {{{#696969,#969696 3.55%}}} || || '''인제군''' || 22.74% || {{{#c9151e,#ea363e 47.04%}}} || 18.10% || 4.19% || || '''고성군''' || 20.88% || {{{#c9151e,#ea363e 52.84%}}} || 15.87% || 3.66% || || '''양양군''' || 18.98% || {{{#c9151e,#ea363e '''53.65%'''}}} || 16.20% || 4.58% || ||<-9> {{{#0d3692,#6d95f1 '''2012년 19대 총선 / 2016년 20대 총선(비례) 권역별 득표율 비교'''}}} || ||<-4> {{{#ffffff '''진보''' (민주통합당, 통합진보당, 더불어민주당, 정의당)}}} || {{{#ffffff '''중도''' (국민의당)}}} ||<-4> {{{#ffffff '''보수''' (새누리당, 자유선진당)}}} || || '''선거''' || '''19대 총선'''[br](민주당+통진당) || '''20대 총선'''[br](더민주+정의당) || '''증감률''' || '''20대 총선'''[br](국민의당) || '''19대 총선'''[br](새누리+선진당) || '''20대 총선'''[br](새누리당) || '''증감률''' || '''격차''' || || '''득표율''' || '''265,405[br](40.06%)''' || '''209,745[br](29.65%)''' || '''- 55,660[br]{▼10.41}''' || '''136,559[br](19.30%)''' || {{{#ffffff '''352,221[br](53.17%)'''}}} || {{{#ffffff '''307,007[br](43.40%)'''}}} || - 33,116[br]{▼7.94} || '''-13.75%''' || ||<-4> '''19대 총선''' ||<-5> '''20대 총선''' || || 정당 || {{{#ffffff '''보수'''[br](새누리+선진당)}}} || '''진보'''[br](민주당+통진당) || '''격차''' || 정당 || {{{#ffffff '''진보'''[br](더민주+정의당)}}} || {{{#ffffff '''중도'''[br](국민의당)}}} || {{{#ffffff '''보수'''[br](새누리당)}}} || '''격차''' || || '''영서권[* 춘천시, 원주시, 홍천군, 횡성군, 철원군, 화천군, 양구군, 인제군]''' || {{{#ca252b,#da343a 50.00%}}} || 43.16% || +6.84 || 영서권 || 32.36% || 20.31% || {{{#c9151e,#ea363e 40.11%}}} || {{{#696969,#969696 -7.75}}} || || '''영동권[* 강릉시, 속초시, 동해시, 태백시, 삼척시, 영월군, 평창군, 정선군, 고성군, 양양군]''' || {{{#ca252b,#da343a 56.79%}}} || 36.54% || '''+20.25''' || 영동권 || 26.21% || 18.03% || {{{#c9151e,#ea363e 47.59%}}} || {{{#808080,#7f7f7f '''-21.38'''}}} || == 총평 == 당초 [[강원도]] 지역 선거는 야당의 완패가 예상되었다. 지난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때부터 이미 보수화가 상당히 진행되었다는 평가가 높았으며, 지방선거에서 비록 최문순 지사가 재선에 성공했으나, 내부적 상황은 그야말로 야당에는 어려운 상황이었다.[* 19대 총선 당시 홍천.횡성 선거구와 원주시에서 근소한 표차로 져 희망을 가질 수도 있었으나 홍천.횡성 선거구가 공중분해되며 그곳에서의 희망은 깔끔히 사라지고 말았다. 그래도 원주시는 선거구가 멀쩡해 승리.]그러나 이번에 야당이 다시금 교두보를 확보할 수 있게 되었다. 영서 지역의 두 도시인 [[춘천시]]와 [[원주시]] 지역구는 그야말로 접전으로 마무리되었다. 개표하는 내내 역전과 재역전을 반복하며 마지막까지 알 수 없는 지역이 되기도. [[춘천시]] 지역은 개표 초반 사전 투표와 아파트 밀집촌인 석사동, 퇴계동의 투표함을 먼저 열자 [[더불어민주당]] 허영 후보가 1000여 표 앞서나가기 시작했다. 하지만 이어서 구도심인 효자동과 읍, 면 지역의 함을 열자 개표 50%대부터 다시 역전당하고 5% 차이로 [[새누리당]] 김진태 의원이 간신히 재선에 성공했다. 그래도 개표 96%가 넘어서야 당선이 확실시되는 아주 치열한 선거였다. 도심지가 몰린 원주 을에 야당 당선자가 나온 것처럼 나중에 춘천도 인구가 늘어 분구가 되면 추후에는 충분히 야당 당선자가 나올 가능성이 있다. '1여3야'구도가 펼쳐진 [[원주시 갑]]에서는 개표 내내 [[새누리당]]의 김기선 의원이 12000표 넘게 앞서다가 '''개표 80%가 넘은 상황에서''' 원주의 신도심인 무실동 지역의 투표함을 열자 [[더불어민주당]] 권성중 후보가 역전을 하였다. 하지만 '''개표 95%쯤에''' 김기선 후보가 다시 100여표차로 [[새누리당]]의 김기선 의원이 간신히 재선에 성공했다. [[원주시 을]]에서는 초반에는 젊은 사람의 비중이 높은 단구동과 반곡관설동의 투표함을 먼저 열었기에 [[더불어민주당]]의 송기헌 후보가 앞섰으나 중반에 다른 동, 면 지역의 투표함을 열자 [[새누리당]] 이강후 의원에게 역전, 표 차이가 점점 벌어졌다. '''하지만 개표 90%가 넘은 상황에서''' 마지막 투표함인 관외 사전투표 투표함을 열자 송기헌 후보가 350표차로 역전, 당선되면서 강원도 지역의 유일한 야당 당선자가 되었다. 강원도 양대 중심도시인 춘천과 원주에서의 [[더불어민주당]]의 선전은 나름 시사하는 바가 큰데, 같은 [[강원도]]임에도 영동과 달리 영서 일부는 교통망 확충과 개발로 인한 외부인들의 유입을 볼 때, 점차 넒은 의미의 [[수도권(대한민국)|수도권]]에 포섭되는 추세가 보인다. 이를 감안할 때 수도권에서의 야권 강세의 영향이 있었다고 볼 수 있다. 영동 최대의 도시 강릉에서도 [[더불어민주당]] 김경수 후보[* 경남 김해시 을의 같은 소속 김경수 당선자와 동명이인]도 37.14%라는 의미있는 득표율을 기록했다. 이는 탄핵 역풍이 불던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당시 [[열린우리당]] 후보가 기록한 37.18%에 버금가는 것으로, 탄핵 같은 대형 사건이 없는 이번 총선에서 이러한 득표율을 기록했다는 것은 영동 지방에도 야당의 지속적인 공략 성과가 약간씩 나타난다고 해석할 수 있다. [[동해시·삼척시]]에서는 [[새누리당]] 공천에 반발하여 탈당 후 출마한 무소속 이철규 후보가 당선되었다. [[새누리당]] 박성덕 후보보다 15% 앞서고, 삼척과 동해 두 곳에서 모두 이철규 후보가 승리하였다. [[태백시·횡성군·영월군·평창군·정선군]]에서는 무소속 김진선 후보가 선전했으나 역전당했다. 태백, 정선, 횡성에서는 김진선 후보가 앞섰으나 영월과 평창에서는 [[새누리당]] 염동열 후보가 1위를 하며 1359표차로 당선되었다. 김진선 후보가 전직 강원도지사 시절부터 10년 가까이 [[2018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 활동에 매진해온 것을 생각해볼 때 '''평창'''에서의 패배는 여러모로 시사하는 바가 클 것으로 보인다[* 단, 소지역주의 특성상 평창이 고향인 염동열 후보에게 주민들이 더 많은 표를 주었다고 생각할 수 있다]. == 지역구 국회의원의 당적 변경 == * [[제20대 국회의원#s-2.4|제20대 국회의원의 강원도 문단]]을 참조할 것. ||<-3><:> '''2017년 2월 1일 기준 강원도의 국회의원'''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제20대 국회의원 강원도(20170201).svg|width=100%]]}}}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자유한국당)] || [include(틀:바른정당)] || || 1석 || 5석 || 2석 || ||<-3><:> '''2020년 4월 1일 기준 강원도의 국회의원'''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제20대 국회의원 강원도(20200401).svg|width=100%]]}}}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미래통합당)] || [[미래한국당|{{{#!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4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B4065F; font-size: 1.0em" [[미래한국당|[[파일:미래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height=14]]]]}}}]][* [[미래한국당]]과 [[미래통합당]]의 구분을 위해 미래한국당의 제2상징색인 트루 퍼플을 사용하였다.] || || 1석 || 3석 || 2석 || ||<-2> [include(틀:무소속)] || {{{#fff 공석}}} || ||<-2> 1석 || 1석 || == 관련 틀 == [include(틀:제20대 국회의원/강원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