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제20대 국회의원 선거]]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제20대 국회의원 선거/지역별 결과)] [include(틀:제20대 국회의원 선거)] [목차] == 개요 == [[울산광역시]]의 [[제20대 국회의원 선거]]를 정리한 문서 == 결과 표 == === 지역구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제20대 총선 울산광역시 지역구 결과.svg|width=100%]]}}} ||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무소속|{{{#ffffff 무소속}}}]] || || 3석 || 3석 || ||<-3> {{{#ffffff '''정당별 울산광역시 지역구 득표율'''}}} || ||<|2> '''정당''' || '''득표수''' ||<|2> '''의석''' || || '''득표율''' || ||<|2>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210,867''' ||<|2> '''{{{#C9252B 3석}}}''' || || '''38.53%''' || ||<|2> [[무소속|[include(틀:무소속)]]] || '''194,613''' ||<|2> '''{{{#808080 3석}}}''' || || '''35.56%''' || ||<|2>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90,045''' ||<|2> - || || '''16.45%''' || ||<|2> [include(틀:국민의당(2016년))] || '''26,534''' ||<|2> - || || '''4.85%''' || ||<|2> [[노동당(대한민국)|[include(틀:노동당)]]] || '''22,642''' ||<|2> - || || '''4.14%''' || ||<|2> [[민주당(2014년)|[include(틀:민주당(2014년))]]] || '''2,589''' ||<|2> - || || '''0.47%''' || || '''선거인 수''' || 936,791 ||<|3> '''투표율'''[br]59.19% || || '''투표 수''' || 554,508 || || '''무효표 수''' || 7,218 || ||<-6> {{{#0d3692,#6d95f1 '''울산광역시 개표 결과 (지역구)'''}}} || ||<-6> {{{#ffffff '''국회의원'''}}} || || '''정당''' || [[더불어민주당|{{{#ffffff 더불어민주당}}}]] || [[새누리당|{{{#ffffff 새누리당}}}]] || [[무소속|{{{#ffffff 무소속}}}]] || '''표차'''(1위 / 2위) || '''당선자''' || || '''의석수''' || {{{#ffffff 0석}}} || {{{#ffffff '''3석'''}}} || {{{#ffffff 3석}}} || || || || '''득표수[br](득표율)''' || 90,045[br](16.45%) || {{{#ffffff '''210,867[br](38.53%)'''}}} || 194,614[br](35.56%) || -120,822[br](-22.08%) || || || '''중구''' || 19.66% || {{{#c9252b '''46.98%'''}}} || - || '''29,194 (26.46%)'''[* 참고로 이 당시 2등은 노동당 [[이향희]] 후보] || {{{#ffffff '''정갑윤 (5선)'''}}} || || '''남구 갑''' || '''39.81%''' || {{{#c9252b 42.19%}}} || 17.99% || {{{#696969,#969696 2,052 (2.37%)}}} || {{{#ffffff 이채익 (2선)}}} || || '''남구 을''' || {{{#696969,#969696 16.37%}}} || {{{#c9252b 42.97%}}} || 40.64% || {{{#696969,#969696 1,622 (2.34%)}}} || {{{#ffffff 박맹우 (2선)}}} || || '''동구''' || - || 32.75% || {{{#808080,#7f7f7f 58.88%}}} || 23,251 (26.13%) || {{{#ffffff 김종훈 (1선)}}} || || '''북구''' || - || 38.50% || {{{#808080,#7f7f7f '''61.49%'''}}} || 20,790 (22.98%) || {{{#ffffff 윤종오 (1선)}}} || || '''울주군''' || 22.19% || {{{#696969,#969696 28.27%}}} || {{{#808080,#7f7f7f 40.27%}}} || 12,196 (12.00%) || {{{#ffffff 강길부 (4선)}}} || >더불어민주당 최다 득표율 지역구: 남구 갑 (39.81%)[br]더불어민주당 최소 득표율 지역구: 남구 을 (16.37%) > >더불어민주당 최다 득표 지역구: 남구 갑 (34,416표)[br]더불어민주당 최소 득표 지역구: 남구 을 (11,369표) > >새누리당 최다 득표율 지역구: 중구 (46.98%)[br]새누리당 최소 득표율 지역: 울주군 (28.27%) > >새누리당 최다 득표 지역구: 중구 (51,836표)[br]새누리당 최소 득표 지역구: 울주군 (28,749표) === 비례대표 === ||<-5> {{{#0d3692,#6d95f1 '''울산광역시 개표 결과 (비례대표)'''}}} || ||<-5> {{{#ffffff '''비례대표'''}}} || || '''정당''' || [[더불어민주당|{{{#ffffff 더불어민주당}}}]] || [[새누리당|{{{#ffffff 새누리당}}}]] || [[국민의당(2016년)|{{{#ffffff 국민의당}}}]] || [[정의당|{{{#000000 정의당}}}]] || || '''득표수[br](득표율)''' || '''122,468[br](22.76%)''' || {{{#ffffff '''197,388[br](36.69%)'''}}} || '''113,350[br](21.07%)''' || '''46,907[br](8.72%)''' || || '''중구''' || 21.15% || {{{#c9252b 38.37%}}} || 21.20% || 7.71% || || '''남구''' || {{{#004EA2,#008ccd '''24.65%'''}}} || {{{#c9252b 38.06%}}} || 21.60% || 7.87% || || '''동구''' || 22.02% || {{{#c9252b 32.07%}}} || {{{#046240,#9dfbd9 '''21.90%'''}}} || 8.75% || || '''북구''' || 22.66% || {{{#c9252b 31.98%}}} || 19.55% || {{{#ffcc00,#ffcc00 '''13.57%'''}}} || || '''울주군''' || 22.35% || {{{#c9252b '''41.01%'''}}} || 20.72% || 6.75%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제20대 총선 울산광역시 비례대표 결과.svg|width=100%]]}}} ||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 5곳 || ||<-9> {{{#0d3692,#6d95f1 '''2012년 19대 총선 / 2016년 20대 총선(비례) 권역별 득표율 비교'''}}} || ||<-4> {{{#ffffff '''진보''' (민주통합당, 통합진보당, 더불어민주당, 정의당)}}} || {{{#ffffff '''중도''' (국민의당)}}} ||<-4> {{{#ffffff '''보수''' (새누리당, 자유선진당)}}} || || '''선거''' || '''19대 총선'''[br](민주당+통진당) || '''20대 총선'''[br](더민주+정의당) || '''증감률''' || '''20대 총선'''[br](국민의당) || '''19대 총선'''[br](새누리+선진당) || '''20대 총선'''[br](새누리당) || '''증감률''' || '''격차''' || || '''득표율''' || '''207,914[br](43.55%)''' || '''169,375[br](31.48%)''' || '''- 38,539[br]{▼12.07}''' || '''113,350[br](21.07%)''' || {{{#ffffff '''243,743[br](51.05%)'''}}} || {{{#ffffff '''197,388[br](36.69%)'''}}} || '''- 46,355[br]{▼14.36}''' || '''-5.21%''' || ||<-4> '''19대 총선''' ||<-5> '''20대 총선''' || || 정당 || {{{#ffffff '''보수'''[br](새누리+선진당)}}} || '''진보'''[br](민주당+진보당) || '''격차''' || 정당 || {{{#ffffff '''진보'''[br](더민주+정의당)}}} || {{{#ffffff '''중도'''[br](국민의당)}}} || {{{#ffffff '''보수'''[br](새누리당)}}} || '''격차''' || || '''원도심권'''[* 중구, 남구, 울주군. 보수정당의 세가 강한 일반지역.] || {{{#ca252b,#da343a 53.26%}}} || 41.18% || '''+12.08''' || 원도심권 || 30.16% || 21.24% || {{{#c9252b 38.97%}}} || {{{#696969,#969696 -8.81}}} || || '''공단권'''[* 북구, 동구. 진보정당의 세가 강한 공업지역.] || 46.49% || {{{#004EA2,#008ccd 48.46%}}} || {{{#696969,#969696 -1.97}}} || 공단권 || {{{#004EA2,#008ccd 33.50%}}} || 20.72% || 32.03% || '''+0.47''' || == 총평 == [[울산광역시]]에는 다시 한 번 진보 바람이 불었다.[* 처음으로 노동계 정당에서 지역구 의석을 낸 두군데 중 하나이다. [[2004년 총선]]에서 [[조승수]]후보가 울산 북구에서 당선되었다. 다른 한 곳은 창원 을([[권영길]])이다.] 울산은 원래 [[경상남도]]에 속해 있던 곳이라 보수 정당 지지세가 강함에도 불구하고 노동자들이 많이 살아서 진보 정당의 지지도 또한 상당히 높았었다. 하지만 2010년대에 들어서는 [[새누리당]]의 텃밭으로 많이 옮겨간 분위기였고, 그것이 꾸준히 이어져 왔었다. 하지만 이번에 진보 성향의 무소속 후보 두 명이 [[북구(울산)|북구]], [[동구(울산)|동구]]에서 당선되어 국회에 입성함에 따라 상황이 바뀌게 되었다. 정당 득표율에 있어서도 [[새누리당]]이 36%대로 주저 앉고, [[더불어민주당]] 22%, [[국민의당(2016년)|국민의당]] 21%, [[정의당]] 8%, 노동당 2.90%[* 이는 노동당 전국 득표 가운데서 가장 높은 것으로, 울산은 유일하게 비례 득표에서 1%를 넘긴 지역이기도 하다. 중구에서 5.38%, 동구에서 4.39%, 북구에서 3.40%였다. 여담으로 경남 [[거제시]]에선 2.17%를 득표했다.]를 기록함에 따라 그야말로 정치 지형이 다시금 바뀌게 되었다. 울산이 [[경상도|영남]] 지역에서 [[새누리당]]의 비례정당 지지율이 가장 낮은 지역이 됨에 따라 이제는 [[새누리당]]의 텃밭이라 부르기에도 어려운 지역이 되었다. 무소속 후보 중 [[통합진보당]] 출신이 있었는데 [[새누리당]]에서도 이를 적극 어필하면서 선거 연대를 한 [[더불어민주당]]을 같이 엮어 [[종북]] 논란을 만들고자 했으나 큰 소득은 없었다. 자세히 뜯어보면 진보 정당 출신 무소속 당선자인 [[동구(울산)|동구]]의 김종훈 후보는 58.9%, [[북구(울산)|북구]]의 윤종오 후보는 61.5%라는 높은 득표율로 당선되었으며, [[남구(울산)|남구]]갑에서는 [[더불어민주당]] 심규명 후보가 2000여 표차의 접전 끝에 석패했다. 가장 아쉬웠던 후보가 [[남구(울산)|남구]]을의 무소속 송철호 후보로 대표적인 야당 성향 인사였는데 이 지역에서 [[더불어민주당]] 후보와의 단일화가 이루어지지 않게 됨에 따라 3선 울산시장 출신인 [[새누리당]] 박맹우 후보에게 1600여 표차의 석패를 당하고 말았다. 여담으로 박맹우와 송철호의 맞대결은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울산광역시장), [[2014년 상반기 재보궐선거]](울산 남구을)에 이어 3번째였다. [[새누리당]] 후보 중 표차가 가장 많이 당선되었던 [[중구(울산)|중구]]의 정갑윤 의원도 50%의 득표율을 넘어가지 못했으며, 이 지역의 노동당 후보 이향희가 20%의 득표를 기록하는 파워를 보여줬다. 반면 [[울주군]]의 강길부 후보는 원래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한나라당]]''' 울산시장 경선에서 박맹우 후보에게 패배한 후 탈당,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탄핵 역풍을 타고 '''열린우리당'''에 입당하여 당선, [[제17대 대통령 선거]] 직전 '''대통합민주신당'''을 탈당하고 이명박 후보를 지지 선언한 후 '''한나라당''' 입당,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이채익 전 남구청장[* 19대, 20대 울산 남구갑 국회의원 당선자이다.]을 공천하자 불복하여 탈당하고 '''무소속''' 당선 후 '''[[한나라당]]''' 복당,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새누리당]]'''으로 출마하여 무난히 당선된 ~~정치 철새~~ 사람이다. 이번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고령자 컷오프[* 선거일 현재 만 73세.]로 인해 [[김두겸]] 전 남구청장을 공천하자 [[울주군]] 시ㆍ군의원들을 이끌고 동반 탈당 후 '''무소속'''으로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선거 유세 중에 자신은 계파 싸움의 희생양이다, [[울주군]]의 아들ㆍ일꾼을 지지해달라, [[울주군]]이 [[남구(울산)|남구]] 뒤치다꺼리하는 곳이 아니다, 당선된 후 복당하겠다는 등 고령자가 많은 [[울주군]] 지역에 알맞은 지역주의, 인정에 호소하는 선거 전략으로 압도적인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이 선거에서 시작된 울산의 진보 바람은 역시 1년 후 치러진 [[19대 대선]]에서도 영향을 주었는데 울산에서 [[더불어민주당]]의 문재인 후보가 38.1%의 득표율을 기록했고 [[새누리당]]의 후신인 [[자유한국당]]의 홍준표 후보는 27.5%의 득표에 그쳐 '''문재인 후보가 무려 10.6%나 앞서며 1위를 차지했다!''' 두 후보 간 표차는 '''무려 8만여 표에 달했다!''' == 지역구 국회의원의 당적 변경 == * [[제20대 국회의원#s-2.15|제20대 국회의원의 울산광역시 문단]]을 참조할 것. * 재보궐선거와 각자의 사정으로 인한 탈당 등을 거친 2020년 4월 1일에는, 4개의 서로 다른 정당이 6석인 울산광역시에 의석을 보유하게 되었다. ||<-6><:> '''2020년 4월 1일 기준 울산광역시의 국회의원''' || ||<-6>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제20대 국회의원 울산광역시(20200401).svg|width=100%]]}}} || ||<-2><:>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2><:> [include(틀:미래통합당)] ||<-2><:> [[미래한국당|{{{#!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4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B4065F; font-size: 1.0em" [[미래한국당|[[파일:미래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height=14]]]]}}}]][* [[미래한국당]]과 [[미래통합당]]의 구분을 위해 미래한국당의 제2상징색인 트루 퍼플을 사용하였다.] || ||<-2> 1석 ||<-2> 2석 ||<-2> 1석 || ||<-3><:> [include(틀:민중당)] ||<-3><:> [include(틀:무소속)] || ||<-3> 1석 ||<-3> 1석 || == 관련 틀 == [include(틀:제20대 국회의원/울산광역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