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ffffff {{{+1 제24대 이스라엘 크네세트 선거}}}}}}''' || ||<-5> {{{#!wiki style="margin: -0px -11.7px -5px" {{{#!wiki style="margin-top: -6px; margin-bottom: -8px" || {{{#!wiki style="letter-spacing: -.5px; margin: 0 -10px" {{{-2 [[2020년]] [[3월 2일]]}}}[br][[제23대 이스라엘 크네세트 선거|23대 선거]]}}} || → || {{{#!wiki style="letter-spacing: -.5px; margin: 0 -10px" {{{-2 [[2021년]] [[3월 23일]]}}}[br]'''24대 선거'''}}} || → || {{{#!wiki style="letter-spacing: -.5px; margin: 0 -10px" {{{-2 [[2022년]] [[11월 1일]]}}}[br][[제25대 이스라엘 크네세트 선거|25대 선거]]}}} || }}}}}} || || {{{#000080,#ffd700 '''일정'''}}} ||<-4>3월 23일 || || {{{#000080,#ffd700 '''투표율'''}}} ||<-4>67.44%{{{-3 ([[제23대 이스라엘 크네세트 선거|{{{#blue,#6378ff ▼ 4.08%p}}}]])}}} || ||<-5> {{{#ffffff '''선거 결과'''}}} || ||<-5>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width=100%]] || ||<-5> || [목차] [clearfix] == 개요 == [[2021년]] [[3월 23일]] [[화요일]] 실시된 [[이스라엘]]의 [[총선]]. 이스라엘 [[이스라엘/정치#s-3.1|크네세트]]는 지역구가 없으며 전국 단위 정당득표율에 따라 구속 명부식 [[비례대표]]로 120석 전 의석이 배분된다. [[봉쇄조항]]은 3.25%이다. == 배경 == [[이스라엘]]은 [[2019년]] 4월 총선 이후 [[연립정부]] 구성에 어려움을 겪었고, 2019년 9월 2차 총선이 진행되었지만 이후에도 상황은 진전되지 않았다. 이스라엘에서는 [[소수정부]]를 인정하지 않기 때문에[* [[이스라엘]]에는 [[헌법]]이 없고 [[정부조직법]]을 통해 정부를 구성하는데, 이스라엘 정부조직법에는 소수정부에 대한 내용이 없다.] 네타냐후 총리는 일종의 [[비상대책위원회]]와 같은 상태로 이스라엘 통치를 이어갔다. [[2020년]] 3월에 3차 총선까지 진행되고 나서야 새로운 연립정부가 수립될 수 있었다. 5월 17일, [[코로나19]] 대응을 명목 삼아 [[리쿠드]]와 [[청백동맹]]을 중심으로 8개 정당[* [[리쿠드]], [[청백동맹]], [[샤스]], [[유대교 토라 연합]], [[이스라엘 노동당|노동당]], 데레흐 에레츠, 게셰르, [[유대인의 집]]]은 거국 연정에 합의하였다. 장기화되던 이스라엘 정치 위기는 드디어 끝을 맺는 듯 보였다. 그러나 연정 출범 이후 리쿠드 [[베냐민 네타냐후]] 총리와 청백동맹 [[베니 간츠]] 부총리가 자주 의견대립을 하며 표류하더니 결국 예산안 문제로 네타냐후가 간츠의 뜻을 배신하고 7개월 만에 다시 조기 총선을 선언하면서 거국 연정이 붕괴되었다. 그 결과 2년 내 4번째 총선이 열리게 되었다. == 쟁점 == === [[코로나19]] 대처에 대한 평가 === 이스라엘은 [[2020년]] 내내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해 크게 고통을 받았던 나라 중 하나지만, [[2021년]] 들어서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진행하고 있다. 선거를 이틀 앞둔 21일에는 신규 확진자수가 200명대로 감소하고 감염 재생산지수도 0.65로 떨어지는 등 완연한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https://www.yna.co.kr/view/AKR20210321055500079|#]] 이런 코로나19 대응이 [[베냐민 네타냐후]] 총리와 [[리쿠드]]의 선거운동에 어떤 영향을 끼칠 지 봐야 한다.[[https://daily.hankooki.com/lpage/world/202103/dh20210323091628138420.htm|#]] === [[네타냐후]]의 부패 논란 === [[베냐민 네타냐후]]를 비롯한 일가가 뇌물을 비롯한 온갖 부패에 연루되어 여전히 반 네타냐후 여론이 들끓고 있는 것도 변수가 된다. 코로나19 관련으로 관련 수사 및 재판이 연기되면서 한숨 돌렸지만 백신 접종이 마무리 단계에 들어서면서 다시 한번 문제가 커지고 있다. 네타냐후 본인은 2월 8일, 선거를 앞두고 법정에서 다시 한번 무죄를 주장하였다.[[https://www.reuters.com/article/us-israel-netanyahu-trial/netanyahu-pleads-not-guilty-to-corruption-as-trial-resumes-idUSKBN2A80JP?il=0|#]] == 결과 == ||<-8> [[파일:크네세트 로고.png|width=50]][br]{{{#000,#fff '''2021년 이스라엘 크네세트 선거 결과[br]{{{-2 재적 120석, 과반 61석}}}'''}}} || || '''친네타냐후 블록''' || 52석 ||<|7> || '''반네타냐후 블록''' || 51석 ||<|7> || '''기타''' || 17석 || || [[리쿠드|{{{#fff 리쿠드}}}]] || 30석 || [[예쉬 아티드|{{{#fff 예쉬 아티드}}}]] || 17석 || [[야미나|{{{#fff 야미나}}}]] || 7석 || || [[샤스|{{{#fff 샤스}}}]] || 9석 || [[청백동맹|{{{#fff 청백동맹}}}]] || 8석 || [[공동 명단|{{{#fff 공동 명단*}}}]] || 6석 || || [[유대교 토라 연합|{{{#fff 유대교 토라 연합}}}]] || 7석 || [[이스라엘 노동당|{{{#fff 노동당}}}]] || 7석 || [[연합 아랍 명단|{{{#fff 연합 아랍 명단}}}]] || 4석 || || [[종교 시온주의당|{{{#fff 종교 시온주의당}}}]] || 6석 || [[이스라엘 베이테이누|{{{#000 이스라엘 베이테이누}}}]] || 7석 ||<|3><-2> || ||<|2><-2> || [[새로운 희망(정당)|{{{#fff 새로운 희망}}}]] || 6석 || || [[메레츠|{{{#fff 메레츠}}}]] || 6석 || ||<-8> {{{-2 * [[공동 명단]]은 반네타냐후 성향이지만 반네타냐후 블록으로 분류되지 않는다.}}}[* 일부 보수우파 정당까지 포함하는 반네타냐후 블록 연립정부 구상에는 부정적이기 때문. 다만, 네타냐후에 대한 적대감은 공유하고 있기 때문에 '''반네타냐후 블록의 잠재적 우호세력''' 정도로 보는 것이 제일 적합하다.] || ||<-5> '''선거 세부 결과 - 블록별''' || ||<-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2> '''정당''' ||<|2> '''득표율''' ||<-2><|2> '''의석''' || || '''이름''' || '''스펙트럼'''[*기준 히브리어 위키백과의 이스라엘 선거 관련 문서에서는, 각 정당이 큰 틀에서 하레디, 보수우파, 중도, 진보좌파, 아랍계 5개 그룹으로 분류된다.] || ||<-2> '''친네타냐후 블록''' || '''42.1%''' || '''52''' || {{{#FF0000 '''▼'''}}} '''4''' || || [[리쿠드|{{{#fff 리쿠드}}}]] || {{{-1 보수우파}}} || 24.2% || 30 || {{{#FF0000 ▼}}} 6 || || [[샤스|{{{#fff 샤스}}}]] || {{{-1 하레디}}} || 7.2% || 9 || - || || [[유대교 토라 연합|{{{#fff 유대교 토라 연합}}}]] || {{{-1 하레디}}} || 5.6% || 7 || - || || [[종교 시온주의당|{{{#fff 종교 시온주의당}}}]] || {{{-1 보수우파}}} || 5.1% || 6 || {{{#008000 ▲}}} 4 || || 유대인의 집 || {{{-1 보수우파}}} || [*선거불참 2021년 총선에서 독자적으로 후보를 내지 않았다.] || 0 || {{{#FF0000 ▼}}} 1 || || 게셰르 || {{{-1 중도}}} || [*선거불참] || 0 || {{{#FF0000 ▼}}} 1 || ||<-2> '''반네타냐후 블록''' || '''41.6%''' || '''51''' || {{{#008000 ▲}}} '''5''' || || [[예쉬 아티드|{{{#fff 예쉬 아티드}}}]] || {{{-1 중도}}} || 13.9% || 17 || {{{#008000 ▲}}} 4 || || [[청백동맹|{{{#fff 청백동맹}}}]] || {{{-1 중도}}} || 6.6% || 8 || {{{#FF0000 ▼}}} 7 || || [[이스라엘 노동당|{{{#fff 노동당}}}]] || {{{-1 진보좌파}}} || 6.1% || 7 || {{{#008000 ▲}}} 4 || || [[이스라엘 베이테이누|{{{#000 이스라엘 베이테이누}}}]] || {{{-1 보수우파}}} || 5.6% || 7 || - || || [[새로운 희망(정당)|{{{#fff 새로운 희망}}}]] || {{{-1 보수우파}}} || 4.7% || 6 || {{{#008000 ▲}}} 6 || || [[메레츠|{{{#fff 메레츠}}}]] || {{{-1 진보좌파}}} || 4.6% || 6 || {{{#008000 ▲}}} 3 || || 텔렘 || {{{-1 중도}}} || [*선거불참] || 0 || {{{#FF0000 ▼}}} 5 || ||<-2> '''기타''' || '''16.3%''' || '''17''' || {{{#FF0000 ▼}}} '''1''' || || [[야미나|{{{#fff 야미나}}}]] || {{{-1 보수우파}}} || 6.2% || 7 || {{{#008000 ▲}}} 4 || || [[공동 명단|{{{#fff 공동 명단}}}]] || {{{-1 아랍계}}} || 4.8% || 6 || {{{#FF0000 ▼}}} 5 || || [[연합 아랍 명단|{{{#fff 연합 아랍 명단}}}]] || {{{-1 아랍계}}} || 3.8% || 4 || - || || 기타 || {{{-1 -}}} || 1.5% || 0 || - || ||<-2> 합계 || 100.0% || 120 || - ||}}} || ||<-6> '''선거 세부 결과 - 득표율순''' || ||<-6> {{{#!folding [ 펼치기 · 접기 ] ||<-3> '''정당''' ||<|2> '''득표율''' ||<-2><|2> '''의석''' || || '''이름''' || '''스펙트럼'''[*기준] || '''블록''' || || [[리쿠드|{{{#fff 리쿠드}}}]] || {{{-1 보수우파}}} || {{{-1 친(親)}}} || 24.2% || 30 || {{{#FF0000 ▼}}} 6 || || [[예쉬 아티드|{{{#fff 예쉬 아티드}}}]] || {{{-1 중도}}} || {{{-1 반(反)}}} || 13.9% || 17 || {{{#008000 ▲}}} 4 || || [[샤스|{{{#fff 샤스}}}]] || {{{-1 하레디}}} || {{{-1 친(親)}}} || 7.2% || 9 || - || || [[청백동맹|{{{#fff 청백동맹}}}]] || {{{-1 중도}}} || {{{-1 반(反)}}} || 6.6% || 8 || {{{#FF0000 ▼}}} 7 || || [[야미나|{{{#fff 야미나}}}]] || {{{-1 보수우파}}} || {{{-1 -}}} || 6.2% || 7 || {{{#008000 ▲}}} 4 || || [[이스라엘 노동당|{{{#fff 노동당}}}]] || {{{-1 진보좌파}}} || {{{-1 반(反)}}} || 6.1% || 7 || {{{#008000 ▲}}} 4 || || [[유대교 토라 연합|{{{#fff 유대교 토라 연합}}}]] || {{{-1 하레디}}} || {{{-1 친(親)}}} || 5.6% || 7 || - || || [[이스라엘 베이테이누|{{{#000 이스라엘 베이테이누}}}]] || {{{-1 보수우파}}} || {{{-1 반(反)}}} || 5.6% || 7 || - || || [[종교 시온주의당|{{{#fff 종교 시온주의당}}}]] || {{{-1 보수우파}}} || {{{-1 친(親)}}} || 5.1% || 6 || {{{#008000 ▲}}} 4 || || [[공동 명단|{{{#fff 공동 명단}}}]] || {{{-1 아랍계}}} || {{{-1 -}}} || 4.8% || 6 || {{{#FF0000 ▼}}} 5 || || [[새로운 희망(정당)|{{{#fff 새로운 희망}}}]] || {{{-1 보수우파}}} || {{{-1 반(反)}}} || 4.7% || 6 || {{{#008000 ▲}}} 6 || || [[메레츠|{{{#fff 메레츠}}}]] || {{{-1 진보좌파}}} || {{{-1 반(反)}}} || 4.6% || 6 || {{{#008000 ▲}}} 3 || || [[연합 아랍 명단|{{{#fff 연합 아랍 명단}}}]] || {{{-1 아랍계}}} || {{{-1 -}}} || 3.8% || 4 || - || || 기타 || {{{-1 -}}} || {{{-1 -}}} || 1.5% || 0 || {{{#FF0000 ▼}}} 7 || ||<-3> 합계 || 100.0% || 120 || - ||}}} || == 내각 구성 == 친네타냐후 블록이 과반 확보에 실패하면서 [[베냐민 네타냐후]] 총리의 집권 연장이 불투명해졌다. 다만 반네타냐후 블록 역시 과반에 미달하기 때문에, 중간지대에 있는 [[야미나]]와 [[연합 아랍 명단]]이 연립정부 킹메이커가 되었다고 평가받고 있다.[[https://www.chosun.com/international/mideast-africa-latin/2021/03/25/FMLTCPDTFFC4RF6DLT3H4EYCNI|#]] === 1차 연정 협상 === ||<-4> {{{#fff '''4월 1차 총리 추천 결과'''}}} || ||<-4>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추천 후보''' || '''득표''' ||<-2> '''추천 정당''' || ||<|4> [[베냐민 네타냐후|{{{#fff '''베냐민 네타냐후'''}}}]] ||<|4> {{{#fff '''52'''}}} || [[리쿠드|{{{#fff '''리쿠드'''}}}]] || {{{#fff '''30'''}}} || || [[샤스|{{{#fff '''샤스'''}}}]] || {{{#fff '''9'''}}} || || [[유대교 토라 연합|{{{#fff '''유대교 토라 연합'''}}}]] || {{{#fff '''7'''}}} || || [[종교 시온주의당|{{{#fff '''종교 시온주의당'''}}}]] || {{{#fff '''6'''}}} || ||<|5> 야이르 라피드 ||<|5> 45 || 예쉬 아티드 || 17 || || 청백동맹 || 8 || || 노동당 || 7 || || 이스라엘 베이테이누 || 7 || || 메레츠 || 6 || || 나프탈리 베네트 || 7 || 야미나 || 7 || ||<|3> 없음 ||<|3> 16 || 공동 명단 || 6 || || 새로운 희망 || 6 || || 연합 아랍 명단 || 4 ||}}} || 4월 6일, 레우벤 리블린 대통령은 1차 총리 추천 결과에 따라 [[베냐민 네타냐후]]를 총리 후보로 지명하고 내각 구성을 위한 우선 협상권을 부여하였다.[[https://www.yna.co.kr/view/AKR20210406161400079|#]] 네타냐후의 최초 구상은 [[야미나]]와 [[연합 아랍 명단]]을 포섭하여 63석 과반을 확보하는 것이었다. 야미나와 연합 아랍 명단 모두 범우파 연정 수립에 협조적이었으나, 정작 친네타냐후 블록 내부에서 [[종교 시온주의당]]이 '연합 아랍 명단을 포함한 연립정부에는 참여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내놓았다. 결국 연합 아랍 명단의 합류는 무산되고, 네타냐후는 59석[* 친네타냐후 블록 52석 + [[야미나]] 7석]만을 확보한 상태에서 협상을 이어가게 되었다. 연합 아랍 명단 없이 과반을 확보하기 위해 네타냐후는 [[새로운 희망(정당)|새로운 희망]]과 [[청백동맹]]에 교대정부(Rotation Government)를 제안하였다.[* 나름 네타냐후는 가능성이 있는 곳을 골라 연정을 제안한 것이었다. [[새로운 희망(정당)|새로운 희망]]은 리쿠드 탈당파로 구성되어 그래도 보수우파 정체성을 상당수 공유하고 있고, [[청백동맹]]은 중도 성향이지만 리쿠드와 함께 거국 연정을 구성한 전례가 있기 때문.] 하지만 이미 불과 1년전 청백동맹에게 동일한 제안을 내밀어 연립정부에 참여시킨 후 총리직을 인계하기 이전에 조기 총선을 실시해 배신한 [[https://www.chosun.com/international/mideast-africa-latin/2021/01/12/W3A4MMVFXVFIFIR3L2V3O3Y5BY/|전례]]가 있었다. 결국 새로운 희망과 청백동맹 모두 해당 제안을 거절하였다. === 2차 연정 협상 === ==== [[2021년 이스라엘-팔레스타인 위기|팔레스타인 분쟁]] 이전 ==== ||<-4> {{{#fff '''5월 2차 총리 추천 결과'''}}} || ||<-4>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추천 후보''' || '''득표''' ||<-2> '''추천 정당''' || ||<|7> [[야이르 라피드|{{{#fff '''야이르 라피드'''}}}]] ||<|7> {{{#fff '''56'''}}} || [[예쉬 아티드|{{{#fff '''예쉬 아티드'''}}}]] || {{{#fff '''17'''}}} || || [[청백동맹|{{{#fff '''청백동맹'''}}}]] || {{{#fff '''8'''}}} || || [[이스라엘 노동당|{{{#fff '''노동당'''}}}]] || {{{#fff '''7'''}}} || || [[이스라엘 베이테이누|{{{#000 '''이스라엘 베이테이누'''}}}]] || {{{#000 '''7'''}}} || || [[새로운 희망(정당)|{{{#fff '''새로운 희망'''}}}]] || {{{#fff '''6'''}}} || || [[메레츠|{{{#fff '''메레츠'''}}}]] || {{{#fff '''6'''}}} || || [[공동 명단|{{{#fff '''공동 명단'''}}}]] || {{{#fff '''5 / 6'''}}} || || 나프탈리 베네트 || 7 || 야미나 || 7 || ||<|6> 없음 ||<|6> 57 || 리쿠드 || 30 || || 샤스 || 9 || || 유대교 토라 연합 || 7 || || 종교 시온주의당 || 6 || || 연합 아랍 명단 || 4 || || 공동 명단[* [[발라도]] 소속 의원 1명] || 1 / 6 ||}}} || 5월 5일, 가시적인 결과 없이 네타냐후 총리에게 주어진 28일의 기간이 만료되면서[* 네타냐후 총리는 리블린 대통령에게 마감 기한 14일 연장을 신청할 수 있었지만 신청하지 않았다.], 리블린 대통령은 2차 총리 추천 결과에 따라 내각 구성권을 [[예쉬 아티드]]의 [[야이르 라피드]] 대표에게 넘겼다. 네타냐후와 범우파 연정 구성을 협의해왔던 [[야미나]]의 [[나프탈리 베네트]] 대표는 범우파 연정이 무산되자 "5번째 총선을 피해야 하는 만큼 [반네타냐후] 거국 정부에 동참하겠다"는 의사를 타진하였다. 이에 대해 네타냐후는 "이스라엘을 위험한 좌파 정부로 이끌고 있다"고 비난했다.[[https://www.yna.co.kr/view/AKR20210506001900079|#]] 결국 [[야이르 라피드]] 대표의 주도로 '''반네타냐후 블록 6개 정당과 [[야미나]], [[연합 아랍 명단]]이 연정 협상에 착수하였다.''' 하지만 [[좌익]]정당 [[메레츠]]부터 [[우익]]정당 [[야미나]]까지 이념적 스펙트럼이 매우 넓고[* 반면 친네타냐후 블록의 이념적 스펙트럼은 중도우파~극우 정도이다.], [[시오니즘]]을 표방하는 정당들과 아랍계 정당 사이에서 합의를 이끌어내야 하기 때문에 연정 협상에 난항이 예상되었다. 끝내 결렬될 것이라는 세간의 예상에도 불구하고 협상은 순탄히 진행되었다. 반네타냐후 블록과 [[야미나]]는 종교적 갈등을 촉발할 수 있는 정책에는 손대지 않는 대신 총리직 3선 제한[* 이는 현재 도합 5선, 4연임 총리인 [[네타냐후]]를 겪으며 드러난 제도적 결함을 보완하고자 나온 정책이다. 일각에서는 네타냐후가 차기에 총리로 복귀하는 것을 원천봉쇄하려는 의도가 담긴 것으로 보고 있다.], [[웨스트뱅크]] 유대인 정착촌 확대 불허[* 단, 이미 건설된 유대인 정착촌의 경우 그 지역 내에 한해 개발을 허용하는 내용 역시 합의되었다] 등의 정책 노선에 합의하였다. 총리직의 경우, 내각 임기 전반부는 야미나의 [[나프탈리 베네트]] 대표, 후반부는 [[예쉬 아티드]]의 [[야이르 라피드]] 대표가 교대하여 맡는 내용이 유력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연합 아랍 명단]]은 내각에는 참여하지 않되 연립정부를 전면 지원하고, 그 반대급부로 차기 연립정부는 연합 아랍 명단이 요구하던 [[이스라엘 아랍인]] 생활환경 지원 조치를 정책과 예산에 반영하기로 상호 합의하였다. 예상 외로 충돌없이 협상이 순탄하게 진행되면서, 각 정당 내부 소식통을 인용해 '연정 협상의 최종 타결이 임박했다', '5월 둘째주가 지나기 이전에 협상이 최종 타결될 것이다'는 현지 언론의 전망이 나오기 시작했다. 이렇게 순탄히 [[네타냐후]]의 12년 장기집권이 마무리되는 듯 하였으나...... ==== [[2021년 이스라엘-팔레스타인 위기|팔레스타인 분쟁]] 도중 ==== '''[[2021년 이스라엘-팔레스타인 위기]]의 발발로 모든 상황이 반전되었다.''' 5월 7일 이스라엘 군경의 강경진압으로 인한 알 아크사 모스크 충돌 사태가 확대, 5월 10일에는 [[2021년 이스라엘-하마스 무력충돌 사건|이스라엘과 하마스 사이의 무력충돌]]로 번지면서 각 정당의 입장이 변화한 것. 5월 10일 오후, [[연합 아랍 명단]]은 분쟁이 완화되기 이전까지 연립정부 협상을 무기한 연기하겠다는 입장을 발표하였다. 다만, 연립정부 참여를 전면철회한 것은 아니고 분쟁이 완화되면 언제든지 일시중지되었던 협상을 재개하겠다는 전제를 달았다. 5월 14일, [[야미나]]는 반네타냐후 연정 참여 결정을 철회하고, 대신 [[네타냐후]]와 다시 협상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야미나의 [[나프탈리 베네트]] 대표는 '연합 아랍 명단에게 지원받는 연립정부는 팔레스타인과의 분쟁과 안보 문제에 올바르게 대처할 수 없다'는 판단을 결정 배경으로 언급하였다. 이후 [[리쿠드]]와 비공식 협상에 돌입한 야미나는 내각 요직인 국방장관직과 외무장관직은 물론 향후 총리 직선제 도입에 대한 동의 역시 리쿠드로부터 이끌어낸 것으로 알려졌다. [[연합 아랍 명단]]과 [[야미나]]의 연이은 이탈로 정국이 급변하면서 반네타냐후 연정의 수립 가능성은 희박해졌다.[* 이러한 정국 변화로 가장 득을 본 사람은 다름 아닌 '''[[네타냐후]] 총리'''다. [[2021년 이스라엘-팔레스타인 위기|팔레스타인과의 분쟁]]에서 존재감을 과시함으로써 국민과 정치권 내에 팽배한 반네타냐후 여론을 불식시키고, 스스로가 다시 연정 협상의 주도권을 쥘 수 있게 되었기 때문. 이 때문에 일각에서는 네타냐후가 자신의 정치적 입지 확대를 위해 이번 분쟁을 해결하는 대신 약화시키고, 정치적으로 이용만 하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심지어는, 마치 우리나라의 [[총풍 사건]]처럼 네타냐후가 자신의 정치적 위기를 타개하기 위해 하마스와의 뒷거래를 통해 이번 사태, 군사적 충돌을 기획하였다는 음모론까지 등장할 정도.[[https://www.al-monitor.com/originals/2021/05/will-escalation-hamas-benefit-netanyahu|#]]] 그러나 내각 구성권을 지닌 [[야이르 라피드]] 대표는 주어진 6월 2일까지 연정 수립을 위한 노력을 지속해나가면서, 불발될 경우 조기 총선도 감수하겠다는 입장을 내놓았다. ==== [[2021년 이스라엘-팔레스타인 위기|팔레스타인 분쟁]] 이후 ==== 미국과 이집트의 중재를 통해 5월 21일, 이스라엘과 [[하마스]] 간의 휴전이 성립되고 [[2021년 이스라엘-팔레스타인 위기|팔레스타인과의 분쟁]]이 일단락되면서, [[야이르 라피드]] 대표는 연정 협상을 재개하였다. 5월 23일, [[야미나]]의 [[나프탈리 베네트]] 대표는 앞선 5월 14일 결정[* 5월 14일 야미나는 반네타냐후 블록과의 공식 협상을 중단하고 대신 친네타냐후 블록과의 비공식 연정 협상으로 방향을 전환하였다.]을 스스로 번복하며 야이르 라피드 대표와의 연정 합의 가능성을 다시 열어두었다. 이후 야이르 라피드 대표는 반네타냐후 블록 정당들과 함께 연립정부의 구체적인 내용 협상 및 확정에 나섰다. 5월 25일 [[메레츠]]와 [[이스라엘 베이테이누]], 5월 28일 [[이스라엘 노동당|노동당]]과의 연정 협상이 최종 타결되었다. 5월 28일, [[예쉬 아티드]]와 [[야미나]]가 공동 연립정부 수립에 대해 합의하였다는 현지 언론 보도가 나왔다. 총리직의 경우, 2023년 9월까지의 임기 전반부는 야미나의 [[나프탈리 베네트]] 대표, 2025년 11월까지의 후반부는 예쉬 아티드의 [[야이르 라피드]] 대표가 교대하며 맡게 되는 것으로 알려졌다.[[https://www.jpost.com/israel-news/politics-and-diplomacy/lapid-i-dont-know-if-well-form-a-government-or-not-before-mandate-expires-669478|#]] 5월 30일, [[네타냐후]]는 기드온 사르 대표가 첫 15개월, 자신이 2년, [[나프탈리 베네트]] 대표가 후반 15개월 총리직을 맡는 교대정부를 [[새로운 희망(정당)|새로운 희망]]과 [[야미나]]에 제안하였다. 그러나 새로운 희망의 사르 대표는 이를 즉각 거절하였다. 현지시간으로 같은 날 저녁, 야미나의 베네트 대표는 별도의 기자회견을 통해 반네타냐후 블록 중심 연립정부 참여를 공식 발표하였다. 2차 연정 협상 마감일인 6월 2일[* 한국 시간으로는 6월 3일 새벽에 마지막 협상이 최종 타결], [[청백동맹]]을 시작으로 [[연합 아랍 명단]], [[새로운 희망(정당)|새로운 희망]], [[야미나]]와의 연정 협상이 연이어 최종 타결되었다.[[https://www.aljazeera.com/news/2021/6/2/israeli-parties-due-to-unveil-anti-netanyahu-coalition-live|#]] 그 결과, 연립정부 구성을 위한 과반 61석 확보에 성공한 [[예쉬 아티드]]의 야이르 라피드 대표는 레우렌 리블린 대통령에게 연립정부 구성 성공을 알렸다. 이로써 '''좌우 정당을 포괄하고, 이스라엘 역사상 최초로 아랍계 정당이 참여하며, 네타냐후의 장기집권에 종지부를 찍는 [[나프탈리 베네트|베네트]]-라피드 내각이 출범을 앞두게 되었다.''' 베네트-라피드 내각에는 [[예쉬 아티드]], [[청백동맹]], [[야미나]], [[이스라엘 노동당|노동당]], [[이스라엘 베이테이누]], [[새로운 희망(정당)|새로운 희망]], [[메레츠]], [[연합 아랍 명단]] 8당이 참여하게 된다.[* 우리나라 대다수 언론에서는 [[공동 명단]]을 포함한 9당 연정으로 보도하였으나, 공동 명단은 '''반네타냐후 성향으로 분류되어왔을 뿐 연정 협상에 참여한 적이 전혀 없다.''' 더군다나, 공동 명단 소속 의원 6명 중 4명은 베네트-라피드 내각에 대한 반대 의사를 공공연히 표명해왔다.[[https://www.timesofisrael.com/most-joint-list-mks-to-vote-against-unity-government-that-would-oust-netanyahu/|#]] 애초에 사진으로 보도된 연립정부 수립 합의문의 서명 서류에서도 서명은 8개(...)다. --네이버에 '이스라엘 68석'이라고 검색하면 우수수 나온다-- --언론사들은 최소한의 팩트체크도 안 하는 건가--][* 앞선 각주와 마찬가지로 우리나라 다수 언론에서는 연립정부에 확보된 의석을 68석으로 보도하였으나 실제로는 61석으로 봐야한다. 실제로는 연정 협상에 참여한 적도 없는 [[공동 명단]] 6석이 빠져야 하기 때문. 게다가 [[야미나]] 의원 1명은 이미 연립정부 구성안에 반대 의사를 표명했기 때문에 61석이 정확한 수치이다. '''당연히 현지 언론사들은 68석이 아닌 61석으로 보고 있다.'''[[https://www.timesofisrael.com/lapid-and-bennett-have-a-coalition-on-paper-but-netanyahu-will-fight-to-the-end/|#]] 즉, 안정적인 과반이 아닌, 1석만 빠져도 붕괴되는 매우 위태로운 과반이다. --언론사들은 최소한의 팩트체크도 안 하는 건가 222--] ==== 최종 협상 결과 ==== 6월 11일, 내각 신임 투표를 이틀 앞두고 내각 구성, 정책 방향 등이 포함된 연립정부 협정안 내용이 공개되었다.[[https://www.timesofisrael.com/whats-inside-coalition-agreements-yesh-atid-signed-with-change-bloc-partners/|#]] 현지 언론을 통해 보도된 베네트-라피드 내각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https://www.timesofisrael.com/whos-who-in-the-bennett-lapid-government|#1]][[https://www.haaretz.com/israel-news/elections/bennett-s-new-government-27-ministers-nine-of-them-women-1.9900618|#2]] ||<-5> '''베네트-라피드 내각 장관직 배분''' || ||<|2> '''주요 직책''' ||<-2> '''전반부[br]{{{-2 ~ 2023/08/27}}}''' ||<-2> '''후반부[br]{{{-2 2023/08/27 ~}}}''' || || '''정당''' || '''이름''' || '''정당''' || '''이름''' || || '''총리''' || [[야미나|{{{#fff 야미나}}}]] || '''[[나프탈리 베네트]]''' || [[예쉬 아티드|{{{#fff 예쉬 아티드}}}]] || '''[[야이르 라피드]]''' || || 외무부 장관 || [[예쉬 아티드|{{{#fff 예쉬 아티드}}}]] || 야이르 라피드 || [[새로운 희망(정당)|{{{#fff 새로운 희망}}}]] || 기드온 사르 || || 법무부 장관 || [[새로운 희망(정당)|{{{#fff 새로운 희망}}}]] || 기드온 사르 || [[야미나|{{{#fff 야미나}}}]] || 아예렛 샤케드 || || 내무부 장관 || [[야미나|{{{#fff 야미나}}}]] || 아예렛 샤케드 || [[야미나|{{{#fff 야미나}}}]] || 나프탈리 베네트 || || 국방부 장관 || [[청백동맹|{{{#fff 청백동맹}}}]] || [[베니 간츠]][* 현직 장관 유임] ||<-2><|5> 유임 || || 재무부 장관 || [[이스라엘 베이테이누|{{{#000 이스라엘 베이테이누}}}]] || 아비그도르 리베르만 || || 교통부 장관 || [[이스라엘 노동당|{{{#fff 노동당}}}]] || 메라브 미칼리 || || 보건부 장관 || [[메레츠|{{{#fff 메레츠}}}]] || 니잔 호로비츠 || || 크네세트 의장[* 엄밀히 말하면 내각에 포함되지는 않지만 협상 내용에 포함되었다.] || [[예쉬 아티드|{{{#fff 예쉬 아티드}}}]] || 미키 레비 || ||<-5> {{{#!folding [ 그 외 부처 정당별 장관직 배분 펼치기·접기 ] || '''정당''' || '''정부 부처''' || || [[예쉬 아티드|{{{#fff 예쉬 아티드}}}]] || 경제부, 정보부, 복지부[* Minstry of Labor, Social Affairs, and Social Services (Welfare Minister)], 관광부, 에너지부[* Ministry of National Infrastructure, Energy, and Water Resources (Energy Minister)], 사회평등부 || || [[청백동맹|{{{#fff 청백동맹}}}]] || 국방부, 과학기술부, 문화체육부, 이민자지원부[* Ministry of Aliyah and Integration (Ministry of Immigrant Absorption)] || || [[야미나|{{{#fff 야미나}}}]] || 종무부, 정착촌부, 지역사회부, 내무부 || || [[이스라엘 노동당|{{{#fff 노동당}}}]] || 디아스포라부, 공안부, 교통부 || || [[이스라엘 베이테이누|{{{#000 이스라엘 베이테이누}}}]] || 재무부, 농림부[* Ministry of Agriculture and Rural Development], 변방개발부[* Ministry for the Development of the Periphery, the Negev and the Galilee], 금융재무부 || || [[새로운 희망(정당)|{{{#fff 새로운 희망}}}]] || 법무부, 교육부, 체신부, 건설주택부, 예루살렘부[* Ministry of Jerusalem Affairs and Heritage] || || [[메레츠|{{{#fff 메레츠}}}]] || 보건부, 환경부, 지역협력부 || || [[연합 아랍 명단|{{{#fff 연합 아랍 명단}}}]] || (없음) ||}}} || === 내각 신임투표 === 이스라엘에서 내각이 출범하기 위해서는 크네세트에서 신임투표를 거쳐야 하고, 과반의 찬성이 필요하다. ==== 투표 이전 상황 ==== 6월 2일, 연정 협상은 힘겹게 타결되었지만, 차기 내각이 크네세트에서 과반의 찬성을 얻어 출범할 수 있을 지는 여전히 불확실하다. 연립여당 8당의 의석을 산술적으로 합치면 62석이기 때문에 과반을 확보한 것처럼 보이지만, 6월 3일 기준 [[야미나]] 의원 1명[*A Amichai Chikli 의원. [[메레츠]]가 참여하는 정부에는 찬성표를 던질 수 없다며, 베네트-라피드 내각에 대한 반대 의사를 명확히 밝혔다.[[https://www.timesofisrael.com/lapid-and-bennett-have-a-coalition-on-paper-but-netanyahu-will-fight-to-the-end/|#]]]은 이미 이탈을 결심했고 다른 의원 2명[*B Idit Silman, Nir Orbach 의원]은 이탈을 고민하고 있다. 즉, 신임 투표에서 찬성표를 던질 것으로 확정지을 수 있는 인원은 59명으로 과반에 못미친다. 이탈을 고민 중인 것으로 알려진 해당 [[야미나]] 의원 2명[*B], 그리고 아직 입장을 밝히지 않은 [[공동 명단]] 의원 2명[*C 아랍재건운동(Ta'al) 소속 의원 2명]의 결정이 캐스팅보트로서 연립정부의 출범을 좌우하게 될 것으로 예측된다. 6월 4일, 신임 투표에서의 찬반을 두고 고민하던 [[야미나]]의 두 의원[*B]이 나란히 찬성으로 입장을 확정하였다.[[https://www.timesofisrael.com/yamina-mk-confident-no-more-defections-ahead-change-bloc-heads-to-meet-sunday/|#]] 이로써 베네트-라피드 내각은 신임 투표 통과를 위한 과반 61표를 확보했다. 다만 이스라엘 현지에서는, 친네타냐후 블록이 이탈표 유도를 위해 사력을 다하고 있고, 수면 위로 드러나지 않은 이탈표가 존재할 수 있는 만큼 안심하기는 이르다는 평이 지배적이다. 같은 날, 야리브 레빈 크네세트 의장은 3일 뒤인 6월 7일 월요일에 열릴 본회의에서 라피드 대표가 연립정부 수립에 성공하였음을 공표하겠다고 밝혔다.[* 한때 [[리쿠드]] 소속 야리브 레빈 크네세트 의장이 [[네타냐후]]에게 추가 이탈표를 유도할 시간 여유를 주기 위해 절차를 지연시킬 것이라는 이야기가 흘러나왔다. 이에 [[예쉬 아티드]]에서는 레빈 의장에 대한 불신임 투표를 통해 크네세트 의장을 사전에 교체하는 방안을 제시하였으나 [[야미나]] 측에서 반대 입장을 내자 철회되었다.] 관련 규정에 따라 크네세트 의장의 공표 이후 일주일 내에 신임투표가 진행되어야 하기 때문에 신임투표는 늦어도 6월 14일 월요일에는 진행될 전망이다. 베네트-라피드 내각에 대한 신임투표, 그리고 신임 크네세트 의장 투표는 현지시간 [[6월 13일]] 16시[* 한국시간 6월 13일 22시]부터 진행된다.[[https://www.yna.co.kr/view/AKR20210608159900079|#]] 투표일 당일인 6월 13일, 그동안 입장을 밝히지 않아온 [[공동 명단]] 의원 2명[*C]은 원칙적으로 반대표를 행사하되, 연립여당에서 이탈표가 발생하여 베네트-라피드 내각의 출범이 위태로운 경우에 한해 기권표를 행사해 간접적으로 돕겠다고 밝혔다.[[https://www.timesofisrael.com/2-joint-list-mks-may-abstain-to-ensure-majority-for-new-government-report/|#]] 같은 날, [[연합 아랍 명단]] 소속 의원 1명[*D Saeed al-Harumi(사이드 알하루미) 의원]이 찬성과 기권 선택지 사이에서 고민하고 있다고 밝혔다.[[https://www.timesofisrael.com/liveblog_entry/raam-mk-said-still-on-fence-on-whether-to-support-government-or-abstain/|#]] 이로써 베네트-라피드 내각에게 확보된 찬성표는 60표로 감소하였다. 하지만 이미 [[공동 명단]] 소속 의원 2명[*C]이 우회적인 협조를 약속한 상황에서 추가적인 이탈표가 발생하지 않는 이상 대세에 큰 영향은 없을 전망이다. ||<-4> '''6월 베네트-라피드 내각 신임투표 전 최종 예측''' || ||<-4>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찬성/반대''' || '''득표''' ||<-2> '''정당''' || ||<|8> {{{#fff '''찬성'''}}} ||<|8> {{{#fff '''60'''}}} || 예쉬 아티드 || 17 || || 청백동맹 || 8 || || 노동당 || 7 || || 이스라엘 베이테이누 || 7 || || 새로운 희망 || 6 || || 메레츠 || 6 || || 야미나 || 6 / 7 || || 연합 아랍 명단 || 3 / 4 || ||<|6> {{{#fff '''반대'''}}} ||<|6> {{{#fff '''57'''}}} || 리쿠드 || 30 || || 샤스 || 9 || || 유대교 토라 연합 || 7 || || 종교 시온주의당 || 6 || || 공동 명단[* [[하다쉬]] 소속 의원 3명과 [[발라도]] 소속 의원 1명] || 4 / 6 || || 야미나[*A] || 1 / 7 || || '''찬성 또는 기권''' || '''1''' || 연합 아랍 명단[*D] || 1 / 4 || || '''반대 (상황에 따라 기권)''' || '''2''' || 공동 명단[*C] || 2 / 6 ||}}} || ==== 투표 본회의 영상 ==== [youtube(_i7TXqxGDbM)] 이스라엘 [[이스라엘/정치#s-3.1|크네세트]] 공식 유튜브채널 영상. 영어 자막도 없는 [[히브리어]] 영상이다. 이하 표를 통해 기재된 본회의 진행 순서, 주요 히브리어 단어, 주요 인사의 이름을 참고하며 영상을 시청하면 표결 전후 상황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표결은 의원 각각의 이름이 호명되면 1명씩 자신의 의사를 밝히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이스라엘 크네세트는 의원 20명 이상의 요구가 있을시, 의원을 한명씩 호명하여 의사를 묻는 방식으로 표결을 진행한다.] ||<-4> '''참고1: 본회의 진행 순서''' || ||<-4> {{{#!folding [ 펼치기 · 접기 ] ||<-3> '''절차''' || '''영상 내 시간''' || ||<-3> 토론 || || ||<|6> 의장 투표 ||<-2> 후보 추천 || 4:14:20 || ||<|2> 야코브 마르기 후보[br]{{{-2 [[샤스]]}}} || 투표 || 4:17:03 || || 미투표자 의사확인 || 4:25:26 || ||<|2> 미키 레비 후보[br]{{{-2 [[예쉬 아티드]]}}} || 투표 || 4:27:50 || || 미투표자 의사확인 || 4:35:55 || ||<-2> 결과 발표 및 신임 의장 취임[br]{{{-2 미키 레비}}} || 4:37:44 || ||<|4> 내각 인준 투표 ||<-2> 투표 || 4:42:58 || ||<-2> 미투표자 1차 의사확인 || 4:50:20 || ||<-2> 미투표자 2차 의사확인 || 4:51:13 || ||<-2> 결과 발표 || 4:53:33 || ||<|8> 내각 취임 선서[* 이 표에서는 주요 인사만 포함하였다] ||<-2> [[나프탈리 베네트]] 총리[br]{{{-2 [[야미나]] 당대표}}} || 5:00:08 || ||<-2> [[야이르 라피드]] 외교부 장관[br]{{{-2 [[예쉬 아티드]] 당대표}}} || 5:01:27 || ||<-2> [[베니 간츠]] 국방부 장관[br]{{{-2 [[청백동맹]] 당대표}}} || 5:07:03 || ||<-2> 니잔 호로비츠 보건부 장관[br]{{{-2 [[메레츠]] 당대표}}} || 5:07:56 || ||<-2> 아비그도르 리베르만 재정부 장관[br]{{{-2 [[이스라엘 베이테이누]] 당대표}}} || 5:13:16 || ||<-2> 메라브 미칼리 교통부 장관[br]{{{-2 [[이스라엘 노동당|노동당]] 당대표}}} || 5:14:11 || ||<-2> 기드온 사르 법무부 장관[br]{{{-2 [[새로운 희망(정당)|새로운 희망]] 당대표}}} || 5:15:03 || ||<-2> 아예렛 샤케드 내무부 장관[br]{{{-2 [[야미나]]}}} || 5:23:45 ||}}} || ||<-2> '''참고2: 표결에 활용되는 히브리어 단어''' ||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히브리어 단어''' || '''영어 해석''' || || '''בעד''' (b'ad) || for || || '''נגד''' (néged) || against || || '''נמנע''' (nimná) || abstain || || '''אינו השתתף''' (einó-hishtatéf) || not participate[* 찬반투표(ex. 내각신임투표)가 아닌, 여러 후보 중에서 선택하는 형태의 투표(ex. 의장투표)일 때 '''"나는 다른 후보를 선택하겠다"''' 또는 '''"다른 후보를 이미 선택했다"'''는 의사표시이다. 투표용지를 활용하지 않고 의원명을 일일이 호명하는 방식으로 투표가 진행될때 불가피하게 활용된다.][* 실제 크네세트 회의록에 적힌 정확한 단어는 '''אינו השתתף בהצבעה (not participate to vote)'''이다. 이 단어가 길다보니 회의 영상에서는 אינו השתתף (not participate)로 단축해서 사용하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 || '''אינו נוכח''' (einó-nókhakh) || not present ||}}} || ==== 투표 결과 ==== ||<-4> {{{#fff '''6월 크네세트 의장 투표 결과'''}}} || ||<-4>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후보''' || '''득표''' ||<-2> '''정당''' || ||<|9> {{{#fff '''미키 레비'''}}} ||<|9> {{{#fff '''67'''}}} || [[예쉬 아티드|{{{#fff '''예쉬 아티드'''}}}]] || {{{#fff '''17'''}}} || || [[청백동맹|{{{#fff '''청백동맹'''}}}]] || {{{#fff '''8'''}}} || || [[이스라엘 노동당|{{{#fff '''노동당'''}}}]] || {{{#fff '''7'''}}} || || [[이스라엘 베이테이누|{{{#000 '''이스라엘 베이테이누'''}}}]] || {{{#000 '''7'''}}} || || [[공동 명단|{{{#fff '''공동 명단'''}}}]] || {{{#fff '''6'''}}} || || [[새로운 희망(정당)|{{{#fff '''새로운 희망'''}}}]] || {{{#fff '''6'''}}} || || [[메레츠|{{{#fff '''메레츠'''}}}]] || {{{#fff '''6'''}}} || || [[연합 아랍 명단|{{{#fff '''연합 아랍 명단'''}}}]] || {{{#fff '''4'''}}} || || [[야미나|{{{#fff '''야미나'''}}}]] || {{{#fff '''6 / 7'''}}} || ||<|4> 야코브 마르기 ||<|4> 52 || 리쿠드 || 30 || || 샤스 || 9 || || 유대교 토라 연합 || 7 || || 종교 시온주의당 || 6 || || 불참 || 1 || 야미나[*A] || 1 / 7 ||}}} || 현지 시간 6월 13일 오후 8시 40분 무렵[* 한국시간 6월 14일 새벽 2시 40분 무렵] 크네세트 투표를 통해 [[예쉬 아티드]]의 미키 레비 의원이 67표를 얻어, 52표를 얻은 [[샤스]]의 야코브 마르기 의원을 누르고 신임 크네세트 의장으로 선출되었다.[[https://m.knesset.gov.il/EN/News/PressReleases/Pages/press13621v.aspx|#]] ||<-4> {{{#fff '''6월 베네트-라피드 내각 신임투표 결과'''}}} || ||<-4>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찬성/반대''' || '''득표''' ||<-2> '''정당''' || ||<|8> {{{#fff '''찬성'''}}} ||<|8> {{{#fff '''60'''}}} || 예쉬 아티드 || 17 || || 청백동맹 || 8 || || 노동당 || 7 || || 이스라엘 베이테이누 || 7 || || 새로운 희망 || 6 || || 메레츠 || 6 || || 야미나 || 6 / 7 || || 연합 아랍 명단 || 3 / 4 || ||<|6> 반대 ||<|6> 59 || 리쿠드 || 30 || || 샤스 || 9 || || 유대교 토라 연합 || 7 || || 종교 시온주의당 || 6 || || 공동 명단 || 6 || || 야미나[*A] || 1 / 7 || || 기권 || 1 || 연합 아랍 명단[*D] || 1 / 4 ||}}} || 현지 시간 6월 13일 오후 8시 55분 무렵[* 한국시간 6월 14일 새벽 2시 55분 무렵] 미키 레비 신임 의장의 주재 하에서 '''베네트-라피드 내각에 대한 신임투표가 찬성 60표, 반대 59표로 가결되었다.'''[[https://m.knesset.gov.il/EN/News/PressReleases/Pages/press14621d.aspx|#]] 신임투표가 가결된 직후, 신임 [[나프탈리 베네트]] 총리와 이하 장관들의 취임 선서가 크네세트에서 진행되었다. 현지 시간 오후 9시 30분 무렵[* 한국시간 6월 14일 새벽 3시 30분 무렵] 취임 선서가 모두 마무리되면서 8개 정당으로 구성된 베네트-라피드 내각이 이스라엘의 제36대 정부로서 공식적으로 출범하였다. == 기타 == * 총선 과정에서 [[리쿠드]]의 앱 내 유권자 650만 명의 개인정보가 해커에 의해 유출되는 사태가 일어났다.[[https://www.yna.co.kr/view/AKR20210323137100079|#]] [[분류:2021년 선거]][[분류:이스라엘의 선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