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대한민국 국회)] ||<-3> '''{{{#CFA547 [[대한민국 국회|{{{#CFA547 대한민국}}}]][br]{{{+1 제3대 민의원}}}[br]第3代國會}}}''' || ||<-3> '''{{{#580009 1954년 5월 31일 ~ 1958년 5월 30일}}}''' || ||<-2> '''이전''' || '''이후''' || ||<-2> [[제2대 국회|{{{#580009 '''제2대 민의원'''}}}]] || [[제4대 국회|{{{#580009 '''제4대 민의원'''}}}]] || || {{{#CFA547 '''의원정수'''}}} ||<-2>203석 || || {{{#CFA547 '''의장'''}}} ||<-2>'''전반기''': [[이기붕]],,(1954.6.9.~1956.6.8.),,[br]'''후반기''': [[이기붕]],,(1956.6.9.~1958.5.30.),, || || {{{#CFA547 '''부의장'''}}} ||<-2>'''전반기''': [[최순주]] → [[조경규(1904)|조경규]], [[곽상훈]][br]'''후반기''': [[조경규(1904)|조경규]], [[황성수]] → [[이재학(1904)|이재학]] || || {{{#CFA547 '''제1당'''}}} ||<-2>[[자유당|{{{#254170 '''자유당'''}}}]],,(1954.5.31.~1958.5.30.),,[br]|| || {{{#CFA547 '''원내정당[* 임기 종료시 기준]'''}}}[br][[제3대 국회#s-3|{{{#CFA547 {{{-3 '''[ 의석수 보기 ]'''}}}}}}]] ||<-2>[[자유당|{{{#254170 자유당}}}]], [[민주당(1955년)|{{{#000080 민주당}}}]], [[통일당|{{{#008080 통일당}}}]]|| [목차] [clearfix] == 개요 == [[제3대 국회의원 선거|1954년 5월 20일 실시된 총선거]]를 통해 구성된 대한민국의 세 번째 국회. [[민의원]]과 [[대한민국 참의원|참의원]]으로 구성해야 했으나 민의원만 존재했다. 1954년 11월 27일 그 유명한 제2차 개헌인 [[사사오입 개헌]]이 일어나기도 하였다. 하지만 1954년 10월 26일 정부로부터 제출된 민법안에 대하여 1957년 12월 17일 [[민의원]]에서 의결되고 1958년 2월 22일 공포, 1960년 1월 1일부터 시행됨으로서 대한민국도 근대적 [[민법]]을 가지게 되었다. == [[제3대 국회의원|국회의원]] == ||<-5><:> '''1954년 5월 20일[br][[제3대 국회의원 선거|제3대 민의원의원 선거]] 결과[br]{{{-2 (재적 203석)}}}''' || ||<:> [[자유당|{{{#fff 자유당}}}]]||<:>[[민주국민당|{{{#000 민주국민당}}}]]||<:>[[대한독립촉성국민회|{{{#fff 국민회}}}]] ||<:>[[대한국민당|{{{#fff 대한국민당}}}]]||<:> [[무소속|{{{#FFF 무소속}}}]]|| ||<:>114석||<:>15석||<:>3석||<:>3석||<:>68석|| ||<:> 56.2%||<:>7.4%||<:> 1.5% ||<:> 1.5% ||<:> 33.5% || ||<-5><:>
'''1958년 5월 30일[br]임기 종료 당시 의석 상황[br]{{{-2 (재적 202석)}}}''' || ||<:> [[자유당|{{{#fff 자유당}}}]]||<:>[[민주당(1955년)|{{{#fff 민주당}}}]]||<:>[[통일당|{{{#fff 통일당}}}]]||<:> [[무소속|{{{#FFF 무소속}}}]]|| ||<:>131석||<:>46석||<:>1석||<:>24석|| || 64.9% || 22.8% || 0.5% || 11.9%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제3대 국회의원)] == 원구성 == [include(틀:제3대 국회의 원내 구성)] === 의장단 === [include(틀:역대 대한민국 국회의장)] [include(틀:역대 대한민국 국회부의장)] * 제3대 전반기 민의원 의장단 (1954년 6월 9일 ~ 1956년 6월 8일) * [[대한민국 국회의장|민의원의장]]: [[이기붕]] ([[자유당|{{{#254170 자유당}}}]], 서울 10[* 서대문 을], 초선) * 민의원부의장 * [[최순주]] ([[자유당|{{{#254170 자유당}}}]], 충북 6[* 영동], 초선) → [[조경규(1904)|조경규]] ([[자유당|{{{#254170 자유당}}}]], 경남 10[* 함안], 재선) * [[곽상훈]] ([[무소속|{{{#808080 무소속}}}]], 경기 2[* 인천 을], 3선) * 제3대 후반기 민의원 의장단 (1956년 6월 9일 ~ 1958년 5월 30일) * [[대한민국 국회의장|민의원의장]]: [[이기붕]] ([[자유당|{{{#254170 자유당}}}]], 서울 10[* 서대문 을], 초선) * 민의원부의장 * [[조경규(1904)|조경규]] ([[자유당|{{{#254170 자유당}}}]], 경남 10[* 함안], 재선) * [[황성수]] ([[자유당|{{{#254170 자유당}}}]], 서울 6[* 용산 을], 재선) → [[이재학(1904)|이재학]] ([[자유당|{{{#254170 자유당}}}]], 강원 6[* 홍천], 3선) === 전원위원회 === [[제2대 국회|제2대 민의원]]와 마찬가지로 전원위원장을 미리 선출하였으나 회기 별로 선출하는 단기 위원장이 아닌 다른 상임위원장처럼 임기가 1년인 전원위원장을 선출하였다. 위원장: [[정문흠]]→[[윤성순]]→[[정문흠]]→[[홍순철]] === [[상임위원회|상임위원회 / 상설특별위원회]] === [[제2대 국회|제2대 민의원]]의 13개 상임위원회에서 부흥위원회가 추가되어 총 14개 상임위원회로 증설되었다. 한편 상임위원장 직위는 전부 [[자유당]] 의원들이 독점하였다. * 1954년 상임위원장 명단 * 국회운영위원회: [[박영출]] (자유당) * 법제사법위원회: [[윤만석]] (자유당) * 재정경제위원회: [[박만원]] (자유당) * 외무위원회: [[황성수]] (자유당) * 국방위원회: [[류지원]] (자유당) * 내무위원회: [[조경규(1904)|조경규]] (자유당) * 문교위원회: [[김법린]] (자유당) * 교통체신위원회: [[남송학]] (자유당) * 농림위원회: [[홍창섭]] (자유당) * 상공위원회: [[윤성순]] (자유당) * 사회보건위원회: [[정준모]] (자유당) * 예산결산위원회: [[이충환]] (자유당) * 징계자격위원회: [[김익노]] (자유당) * 1955년 위원장 명단 * 국회운영위원회: [[조순(1913)|조순]] (자유당) * 법제사법위원회: [[윤만석]] (자유당) * 재정경제위원회: [[인태식]] (자유당) * 외무위원회: [[정기원]] (자유당) * 국방위원회: [[류지원]] (자유당) * 내무위원회: [[한희석]] (자유당) * 문교위원회: [[김법린]] (자유당) * 교통체신위원회: [[남송학]] (자유당) * 농림위원회: [[홍창섭]] (자유당) * 상공위원회: [[이갑식]] (자유당) * 사회보건위원회: [[김익기]] (자유당) * 예산결산위원회: [[이충환]] (자유당) * 징계자격위원회: [[김익노]] (자유당) * 부흥위원회[* 1955년 정부에 신설된 부흥부에 대응하는 상임위원회이다.]: [[곽의영]] (자유당) * 1956년 위원장 명단 * 국회운영위원회: [[조순(1913)|조순]] (자유당) * 법제사법위원회: [[박세경]] (자유당) * 재정경제위원회: [[박만원]] (자유당) * 외무위원회: [[황성수]] → [[박영출]] → [[윤성순]](자유당) * 국방위원회: [[안동준]] (자유당) * 내무위원회: [[한희석]] (자유당) * 문교위원회: [[김종규(1904)|김종규]] (자유당) * 교통체신위원회: [[신의식]] (자유당) * 농림위원회: [[조병문]] (자유당) * 상공위원회: [[김진만(정치인)|김진만]] (자유당) * 사회보건위원회: [[김철안]] (자유당) * 예산결산위원회: [[박용익]] (자유당) * 징계자격위원회: [[김상도(1914)|김상도]] (자유당) * 부흥위원회: [[구흥남]] (자유당) * 1957년 위원장 명단 * 국회운영위원회: [[김춘호]] (자유당) * 법제사법위원회: [[박세경]] (자유당) * 재정경제위원회: [[최용근]] (자유당) * 외무위원회: [[강세형]] (자유당) * 국방위원회: [[송우범]] (자유당) * 내무위원회: [[하을춘]] (자유당) * 문교위원회: [[이존화]] (자유당) * 교통체신위원회: [[정명섭]] (자유당) * 농림위원회: [[나희집]] (자유당) * 상공위원회: [[이영언]] (자유당) * 사회보건위원회: [[김익기]] (자유당) * 예산결산위원회: [[김종신]] (자유당) * 징계자격위원회: [[김상도(1914)|김상도]] (자유당) * 부흥위원회: [[구흥남]] (자유당) === [[특별위원회|비상설특별위원회]] === 32개 정도의 특별위원회가 활동하였다. * 제19회 국회(임시회) * 산업부흥국채 발행에 대한 국정감사처리특별위원회(위원장: [[박순석]]) * 1954년산 추곡매상 특별대책위위원회(위원장: [[홍창섭]]) * 미군철수 반대 국민운동전개대책특별위원회(위원장: [[류지원]]) * 정부기구 간소화 특별대책위원회(위원장: [[소선규]]) * 금융계 부정사건 및 농림부 의혹사건에 대한 국정감사 특별위원회(위원장: [[김성호(1899)|김성호]]) * 대한석탄공사 및 개의 전기사업체에 대한 국정감사특별위원회(위원장: [[김홍식(1912)|김홍식]]) * 불온문서 배부사건 특별조사위원회(위원장: [[류지원]]) * 미곡수출 특별대책위원회(위원장: [[이갑식]]) * 국립박물관 국보관리상황 조사특별위원회(위원장: [[장택상]]) * 대한 해운공사 조선운수주식회사 대한조선공사 각사에 대한 국정감사처리위원회(위원장: [[남송학]]) * 조선방직주식회사 국정감사 특별위원회(위원장: [[정준모]]) * 월동연료대책 특별위원회(위원장: [[박정근]]) 등 총 12건의 특별위원회 * 제20회 국회(정기회) * 지리산지구 실정조사위원회(위원장: [[양영주]]) * 김성주사건 특별조사위원회(위원장: [[윤만석]]) * 농업자금 대책위원회(위원장: [[황경수]]) * 군징발보상 대책위원회(위원장: [[이영언]]) * 순천지방 및 울릉군 홍수피해 조사위원회(위원장: [[백남식]]) * 제21회 국회(임시회) * 대한매일신문사 피습사건 조사위원회(위원장: [[홍창섭]]) * 국방부 원면사건 처리위원회 * 국회구내테러행위 특별처리위원회 * 제22회 국회(정기회) * 절량농가 구호대책위원회(위원장: [[윤병호(정치인)|윤병호]]) * 대구시 부시장선거 개표지연에 대한 조사위원회 * [[도진희]] 의원관계 특별조사위원회(위원장: [[김정호(1909)|김정호]]) * 유엔가입추진 국회특별위원회(위원장: [[윤치영]]) * 수해구호 대책위원회(위원장: [[박영출]]) * [[장면 부통령 저격사건|장부통령 피습사건]] 진상조사위원회(위원장: [[정명섭]]) * 시계밀수사건 조사위원회(위원장: [[양일동]]) 등 * 제23회 및 제24회 국회: 회기가 짧아 특별위원회가 구성되지 않았다. * 제25회 국회(임시회) * 수해대책위원회(위원장: [[황경수]]) * 제26회 국회(정기회) * 진주시장 선거사건 조사위원회(위원장: [[이성주(정치인)|이성주]], [[윤만석]]) * 제 27회 및 제28회 국회: 제3대 국회의 임기종료가 임박하여 특별위원회가 구성되지 않았다. === [[교섭단체]] === * 1954년 6월 15일 기준: 자유당 136명, 무소속동지회 31명, 순수 무소속 36명[* 당시 민주국민당은 15명의 의원밖에 없어 교섭단체를 구성하지 못하고 순수 무소속에 포함되었다.]. * 1954년 12월 3일 기준: 무소속동지회(31명)와 순수 무소속 의원 29명이 호헌동지회(60명) 결성. * 1955년 10월 4일: 호헌동지회가 민주당(50명) 등록으로 해산. * 1955년 12월 6일: 민주당으로 들어가지 않았던 무소속 의원 31명이 헌정동지회(31명) 결성. * 1957년 1월 24일: 헌정동지회 의원 일부가 자유당과 민주당에 포섭되면서 남은 28명의 의원이 정우회 결성. == 주요 활동 == 아래에 열거한 법률은 †로 표시한 것 외에는 이 문서 최종수정일 현재에도 시행 중인 법률(후에 개정된 것 포함, 폐지제정된 것 제외)이다. * [[1954년]] * 9월 23일: '''[[형사소송법]]''' 제정. * 11월 29일: [[대한민국 헌법/역사#s-4.3|2차 개헌]].[* 이 개헌이 바로 그 유명한 [[사사오입 개헌]]이다.] * [[1955년]] * 7월 27일: 농림부장관([[임철호]]) 불신임결의안 가결 * 10월 1일: [[사관학교]] 설치법 제정. * [[1956년]] * 1월 12일: 사법경찰관리의 직무를 수행할 자와 그 직무범위에 관한 법률(사법경찰직무법) 제정. * 1월 20일: [[법관징계법]] 제정. * 12월 13일: 보건소법[* 현 지역보건법.] 제정. * [[1957년]] * 1월 28일: [[저작권법]] 제정. * 2월 15일: [[검사징계법]] 제정. * [[1958년]] * [[2월 22일]]: '''[[민법]]''' 제정. * 3월 11일: 원자력법[* 현 원자력진흥법.] 제정. == 관련 문서 == * [[법률]] * [[법률/목록]] * [[법률/목록(분류)]] * [[폐지된 법률]] [[분류:제3대 국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