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C0000><-5><:> {{{#E5D85C ''' 역대 [[베를린 국제 영화제|{{{#E5D85C 베를린 영화제}}}]] ''' }}} || ||<#FFFFFF><-5><:> [[파일:베를린 국제 영화제 로고.svg|width=200]] || ||<#0C0000><-5><:> || || ''' [[제34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제34회]] [br] ([[1984년]]) ''' || {{{+1 → }}} || ''' 제35회 [br] ([[1985년]]) ''' || {{{+1 → }}} || ''' [[제36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제36회]] [br] ([[1986년]]) ''' || ||<#0C0000><-5> || [include(틀:베를린 국제 영화제)] ||<-2>
[[파일:베를린 국제 영화제 로고.svg|width=100]] [br]'''{{{+2 {{{#000000 1985년 제35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35th Berli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Poster.jpg|width=100%]]}}} || ||<-2> '''{{{#dfca4e ▲ 공식 포스터}}}''' || || '''{{{#dfca4e 개최기간}}}''' ||<#ffffff,#212121>[[1985년]] [[2월 15일]] ~ [[2월 26일]]|| || '''{{{#dfca4e 개최장소}}}''' ||<#ffffff,#212121>[[파일:독일 국기.svg|width=20]] [[독일]] [[베를린]]테아터 암 포츠다머 플랏츠[br]Theater am Potsdamer Platz(Berlinale Palast)|| || '''{{{#dfca4e 심사위원장}}}''' ||<#ffffff,#212121>[[장 마라이]]|| || '''{{{#dfca4e 황금곰상}}}''' ||<#ffffff,#212121>《우먼 앤드 더 스트레인저》, 《웨더비》|| || '''{{{#dfca4e 홈페이지}}}''' ||<#ffffff,#212121>[[https://www.berlinale.de/en/home.html|공식홈페이지]]|| [목차] [clearfix] == 개요 == [[1985년]] '''제35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는 1985년 2월 15일부터 26일까지 개최되었다. [[프랑스]]의 배우 [[장 마라이]]가 경쟁 부문의 심사위원장을 맡았다. == 심사위원 == === 경쟁 부문 === * '''[[장 마라이]]''' - '''심사위원장''', [[프랑스]]의 배우 * [[막스 폰 시도우]] - [[스웨덴]]의 배우 * 알베르토 소르디 - [[이탈리아]]의 배우, 영화 감독, 각본가 * 레지만타스 아도마이티스 - [[소련]]의 배우 * 셰일라 벤슨 - [[미국]]의 저널리스트, 영화 평론가 * 볼프강 콜하세 - [[동독]]의 각본가 * 오나트 쿠틀라르 - [[튀르키예]]의 시인, 각본가, 이스탄불 국제 영화제 공동 창립자 * 루이스 메지노 - [[스페인]]의 영화 제작자, 각본가 * 잉그리드 셰이브 로스바트 - [[서독]]의 뉴욕 괴테 기관 수장 * 크리스 시에베르니치 - [[서독]]의 영화 제작자 * 서보 이슈트반 - [[헝가리]]의 영화 감독, 각본가, 제작자 == 공식부문 상영작 == === 경쟁 부문 === ||
{{{#e5d85c '''제목'''}}} || {{{#e5d85c '''원제'''}}} || {{{#e5d85c '''감독'''}}} || {{{#e5d85c '''국가'''}}} || || 1919 || ''1919'' || 휴 브로디 || [[파일:영국 국기.svg|width=25]] [[영국]] || || 애프터 다크니스 || ''After Darkness'' || 세르지오 게라즈, 도미니크 오데닌 지라드 || [[파일:스위스 국기.svg|width=25]] [[스위스]] || || 카운트 투 텐 || ''Contar hasta diez'' || 오스카 바니 핀 ||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width=25]] [[아르헨티나]] || || [[땡볕(영화)|땡볕]] || ''땡볕'' || [[하명중]]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5]] [[대한민국]] || || 우먼 앤드 더 스트레인저 || ''Die Frau und der Fremde'' || 라이너 사이먼 || [[파일:동독 국기.svg|width=25]] [[동독]] || || 아이들 || ''Les enfants'' || [[마르그리트 뒤라스]], 장 마스콜로, 장 마크 튜린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 || 비통한 사람들 || ''Heartbreakers'' || 바비 로스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미국]] || || 마리아에게 경배를 || ''Je vous salue, Marie'' || [[장뤽 고다르]]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 || Loafing and Camouflage || ''Λούφα και Παραλλαγή'' || 니코스 페라키스 || [[파일:그리스 국기.svg|width=25]] [[그리스]] || || 모렝가 || ''Morenga'' || 에곤 귄터 || [[파일:독일 국기.svg|width=25]] [[서독]] || || 소펠 부인 || ''Mrs. Soffel'' || 질리언 암스트롱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미국]] || || The Night of the Emerald Green Moon || ''Noc smaragdového měsíce'' || 바츨라프 마테이카 || [[파일:체코 국기.svg|width=25]] [[체코슬로바키아]] || || The Wrestler || ''Pehlivan'' || 제키 왹텐 || [[파일:튀르키예 국기.svg|width=25]] [[튀르키예]] || || 피자 커넥션 || ''Pizza Connection'' || 다미아노 다미아니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5]] [[이탈리아]] || || 마음의 고향 || ''Places in the Heart'' || 로버트 벤턴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미국]] || || The Descendant of the Snow Leopard || ''Потомок Белого Барса'' || 톨로무시 오케예프 || [[파일:소련 국기.svg|width=25]] [[소련]] || || The Practice of Love || ''Die Praxis der Liebe'' || 발리 엑스포트 || [[파일:독일 국기.svg|width=25]] [[서독]] || || 제 3의 여인 || ''Péril en la demeure'' || 미셸 데빌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 || [[산적의 딸 로냐]] || ''Ronja Rövardotter'' || 타지 다니엘슨 || [[파일:스웨덴 국기.svg|width=25]] [[스웨덴]] || || 세부리 이야기 || ''瀬降り物語'' || 나카지마 사다오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5]] [[일본]] || || 스티코 || ''Stico'' || 하이메 데 아르미냔 || [[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25]] [[스페인]] || || 레버리의 꽃 || ''Szirmok, virágok, koszorúk'' || 라슬로 루고시 || [[파일:헝가리 국기.svg|width=25]] [[헝가리]] || || The Death of the White Stallion || ''Der Tod des weißen Pferdes'' || 크리스티안 지웨르 || [[파일:독일 국기.svg|width=25]] [[서독]] || || 웨더비 || '' Wetherby'' || 데이비드 헤어 || [[파일:영국 국기.svg|width=25]] [[영국]] || || 잘못된 세상 || ''Wrong World'' || 이안 프링글 || [[파일:호주 국기.svg|width=25]] [[호주]] || === 비경쟁 부문 === ||
{{{#e5d85c '''제목'''}}} || {{{#e5d85c '''원제'''}}} || {{{#e5d85c '''감독'''}}} || {{{#e5d85c '''국가'''}}} || || [[2010(소설)|2010: 우리가 만나는 해]] || ''2010: The Year We Make Contact'' || 피터 하이엄스 || [[파일:영국 국기.svg|width=25]] [[영국]],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미국]] || || [[브라질(영화)|브라질]] || ''Brazil'' || [[테리 길리엄]]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미국]] || || 컨츄리 || ''Country'' || 리차드 피어스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미국]] || || Grünstein's Clever Move || ''Die Grünstein-Variante'' || 베른하르트 비키 || [[파일:독일 국기.svg|width=25]] [[서독]] || || Niemanns Zeit – Ein deutscher Heimatfilm || ''Niemanns Zeit – Ein deutscher Heimatfilm'' || 호르스트 쿠르니츠키, 마리온 슈미트 || [[파일:독일 국기.svg|width=25]] [[서독]] || || 도쿄 재판 || ''東京裁判'' || [[고바야시 마사키]]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5]] [[일본]] || || Yamaha Fish Stall || ''雅马哈鱼档'' || 장량 || [[파일:중국 국기.svg|width=25]] [[중국]] || == 수상 == === 공식부문 === '''<경쟁부문>''' * '''[[베를린 국제 영화제/황금곰상|황금곰상]] : 우먼 앤드 더 스트레인저 (라이너 사이먼) / 웨더비 (데이비드 헤어)''' * '''[[베를린 국제 영화제/은곰상 : 심사위원대상|은곰상 : 심사위원대상]] : 레버리의 꽃 (라슬로 루고시)''' * '''[[베를린 국제 영화제/은곰상 : 감독상|은곰상 : 감독상]] : 로버트 벤턴 (마음의 고향)''' * '''[[베를린 국제 영화제/은곰상 : 여우주연상|은곰상 : 여우주연상]] : 조 케네디 (잘못된 세상)''' * '''[[베를린 국제 영화제/은곰상 : 남우주연상|은곰상 : 남우주연상]] : 페르난도 페르난 고메스 (스티코)''' * '''은곰상 : 단일 예술 성취상 : The Descendant of the Snow Leopard (톨로무시 오케예프)''' * '''은곰상 : 예술공헌상 : [[산적의 딸 로냐]]''' === 독립부문 === '''<국제영화비평가연맹(FIPRESCI)상>''' * 도쿄 재판 ([[고바야시 마사키]]) - 비경쟁 부문 == 이모저모 == [[분류:베를린 국제 영화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