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cc101f> '''{{{#ffcc00 {{{+1 제4우크라이나 전선군}}}[br]Четвёртый Украинский фронт[br]4th Ukrainian Front}}}''' || ||<-2><#cc101f> '''{{{#d31c16 }}}''' || ||<#cc101f> '''{{{#ffcc00 창설일}}}''' ||<(> [[1943년]] 10월 20일 || ||<#cc101f> '''{{{#ffcc00 해체일}}}''' ||<(> [[1945년]] 8월 25일 || ||<#cc101f> '''{{{#ffcc00 소속}}}''' ||<(> [[파일:800px_Soviet Army-Communist_star_with_golden_border_and_red_rims.png|width=30]] [[소련군]] || ||<#cc101f> '''{{{#ffcc00 규모}}}''' ||<(> [[집단군]] || ||<#cc101f> '''{{{#ffcc00 역할}}}''' ||<(> [[우크라이나]], [[발칸 반도]], [[중부유럽]] 지역 작전 수행 || ||<#cc101f> '''[[사령관|{{{#ffcc00 초대 사령관}}}]]''' ||<(> [[대장(계급)|대장]] [[표도르 톨부힌]](Фёдор Ива́нович Толбу́хин) || ||<#cc101f> '''[[사령관|{{{#ffcc00 해체 전 사령관}}}]]''' ||<(> [[대장(계급)|대장]] [[안드레이 예료멘코]](Андре́й Ива́нович Ерёменко) || [목차] [clearfix] == 개요 == [[소련군]]의 [[전선군]]으로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동부전선(제2차 세계 대전)|동부전선]]에서 활동하였다. 주로 [[우크라이나]], [[발칸 반도]], [[중부유럽]] 지역에서 활동하였다. 특히 [[체코슬로바키아]] 해방에 큰 역할을 하였으며, [[제1체코슬로바키아군단]]이 이 전선군의 예하 부대로 있었다. == 역사 == === 첫번째 편성 === 1943년 10월 20일 남부전선군의 이름을 바꾸면서 창설되었다. 이후 드네프르강 전투, [[키예프 전투(1943년)]], 크림 전투 등에서 활약하였으며, 크림 반도 해방 이후 1944년 5월 해체되었다. === 두번째 편성 === 1944년 8월 4일 [[제1우크라이나 전선군]]의 좌측 부대들을 분리하면서 창설되었다. 카르파티아 지역에서 활동하며 두클라 패스 전투에 참전하였다. 이후 [[슬로바키아]] 동부, 남부, 중부에서 활동하였고, [[제2차 세계 대전]]의 마지막 유럽에서의 전투인 프라하 공세에도 참전하였다. 1945년 8월 25일 해체되어 예하 부대들은 [[소련군]]의 카르파티아 군관구로 재편성되었다. == 편제 == 1944년 8월 편성 * 제1근위군 (1944-1945) * 제18군 (1944-1945) * 제8항공군 (1944-1945) * [[제1체코슬로바키아군단]] (1944년 11월-1945) * 제38군 (1944년 11월-1945) * 제60군 (1945년 3월-1945) [[분류:소련 육군]][[분류:해체된 군부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