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2017년]]에 시행된 [[오카게배 국제신예바둑대항전]]. 이 대회에서 중국과 대만은 '''[[중화인민공화국]]과 [[중화민국]]의 이름으로 참가'''했다. --[[하나의 중국]]을 씹는 [[일본]] [[지방자치단체]]의 [[패기]]--[* [[미에현]] 오카게요코쵸--및 [[이세 신궁]] 근처--에서 열림.] 심지어 [[청천백일만지홍기]]도 걸렸다(...) == 상세 == * 일정: [[2017년]] [[10월 14일]](1, 2회전), [[10월 15일]](3회전, 결승/3, 4위전) === 팀 구성 === * [[대한민국]]: [[이영구(1987)|이영구]] 九단(주장), [[한태희]] 六단, [[김명훈]] 五단, [[최정(바둑기사)|최 정]] 七단, [[오유진(바둑기사)|오유진]] 五단 * [[일본]]: [[무라카와 다이스케]] 八단(주장), [[리이시우]] 七단, [[데라야마 레이]] 五단, [[후지사와 리나]] 三단, [[셰이민]] 六단 * [[중화인민공화국]]: [[판윈뤄]] 六단(주장), [[리쉬안하오]] 七단, [[퉁멍청]] 六단, [[리허]] 五단, [[루자]] 二단 * [[중화민국]]: 샤오정하오 九단(주장) [[왕위안쥔]] 九단, [[쉬하오훙]] 三단, [[쑤성팡]] 三단, [[위리쥔]] 二단 === 본선 === ==== 1회전 ==== * '''[[대한민국]] 5''' vs 0 [[중화인민공화국]] * 주장전: '''[[이영구(1987)|이영구]] 九단''' vs [[판윈뤄]] 六단: 130수 끝 백불계승 - 세계대회 강자 판윈뤄를 이영구가 완벽한 반면운영으로 깔끔하게 강철처럼 잡았다. 이영구 스타일대로 판윈뤄의 흑돌을 싸그리싹싹 잡아버리면서 단명국으로 끝났다. * '''[[한태희]] 六단''' vs [[리쉬안하오]] 七단: 259수 끝 흑불계승 - 한태희가 초반부터 이어져온 리드를 놓지 않고 반면 12집 정도의 격차를 유지한 끝에 승리하였다. * '''[[김명훈]] 五단''' vs [[퉁멍청]] 六단: 190수 끝 백불계승 - [[삼성화재배]] 4강에 올라간 퉁멍청을 김명훈이 탄탄한 반면 운영과 좌변 - 좌중앙에 엄청나게 큰 집 짓기의 성공으로 바둑을 이겼다. * '''[[최정(바둑기사)|최 정]] 七단''' vs [[리허]] 五단: 273수 끝 흑불계승 - 리허 五단의 시비를 최정 七단이 잘 응징하고, 우변에서의 흑대마 잡으려는 패싸움을 통해 흐깅 살고, 반대로 중앙 백 대마, 잡으면 '''백돌만 47개''', 공배까지 합치면 100집짜리 패싸움을 해서 이 패에서 이겨가지고 최정 七단이 그야말로 '''만방''' 이겼다. * '''[[오유진(바둑기사)|오유진]] 五단''' vs [[루자]] 二단: 136수 끝 백불계승 - 루자가 오유진의 백[[대마]]를 잡으러 올인했지만, 오유진이 쉽게 살면서 바둑이 끝났다. * '''[[일본]] 3''' vs 2 [[중화민국]] * 주장전: '''[[무라카와 다이스케]] 八단''' vs 샤오정하오 九단: 216수 끝 백불계승 * [[리이시우]] 七단 vs '''[[왕위안쥔]] 九단''': 198수 끝 백불계승 * [[데라야마 레이]] 五단 vs '''[[쉬하오훙]] 三단''': 222수 끝 흑 4집반 승 * '''[[후지사와 리나]] 三단''' vs [[쑤성팡]] 三단: 145수 끝 흑불계승 * '''[[셰이민]] 六단''' vs [[위리쥔]] 二단: 146수 끝 백시간승 - 위리쥔 二단이 너무 긴장했는지 [[초읽기]] 시간 오버로 시간패했다. 형세 자체는 흑을 쥔 [[위리쥔]] 二단이 매우 유리했음에도 시간패해서 아쉬운 대목이다. ==== 2회전 ==== * [[대한민국]] 2 vs '''3 [[일본]]''' * 주장전: [[이영구(1987)|이영구]] 九단 vs '''[[무라카와 다이스케]] 八단''': 187수 끝 흑불계승 * '''[[한태희]] 六단''' vs [[리이시우]] 七단: 135수 끝 흑 불계승 * [[김명훈]] 五단 vs '''[[데라야마 레이]] 五단''': 233수 끝 흑불계승 * [[최정(바둑기사)|최 정]] 七단 vs '''[[후지사와 리나]] 三단''': 232수 끝 백불계승 * '''[[오유진(바둑기사)|오유진]] 五단''' vs [[셰이민]] 六단: 226수 끝 백불계승 * '''[[중화인민공화국]] 5''' vs 0 [[중화민국]] * 주장전: '''[[판윈뤄]] 六단''' vs 샤오정하오 九단: 198수 끝 백불계승 * '''[[리쉬안하오]] 七단''' vs [[왕위안쥔]] 七단: 181수 끝 흑불계승 * '''[[퉁멍청]] 六단''' vs [[쉬하오훙]] 四단: 229수 끝 백2집반승 * '''[[리허]] 五단''' vs [[쑤성팡]] 三단: 299수 끝 흑4집반승 * '''[[루자]] 二단''' vs [[위리쥔]] 二단: 168수 끝 백 불계승 ==== 3회전 ==== * [[대한민국]] 4-1 [[중화민국]] * 주장전: '''[[이영구(1987)|이영구]] 九단''' vs 샤오정하오 九단 : 183수 흑불계승 * [[김명훈]] 六단 vs '''[[쉬하오훙]] 三단''' : 251수 백반집승 * '''[[한태희]] 六단''' vs [[왕위안쥔]] 九단 : 212수 백시간승 * '''[[최정(바둑기사)|최 정]] 七단''' vs [[쑤성팡]] 三단 : 124수 백불계승 * '''[[오유진(바둑기사)|오유진]] 五단''' vs [[위리쥔]] 二단 : 183수 흑불계승 * [[일본]] 0-5 [[중화인민공화국]] * 주장전: [[무라야마 다이스케]] 八단 vs '''[[판윈뤄]] 六단''' : 264수 흑2집반승 * [[리이시우]] 七단 vs '''[[리쉬안하오]] 七단''' : 170수 백불계승 * [[데라야마 레이]] 五단 vs '''[[퉁멍청]] 六단''' : 193수 흑불계승 * [[후지사와 리나]] 三단 vs '''[[리허]] 五단''' : 269수 백1집반승 * [[셰이민]] 六단 vs '''[[루자]] 二단''' : 235수 흑2집반승 ==== 결과 ==== ||<:> 순위 ||<:> 국가 ||<:> 전적 ||<:> 개인승수 ||<:> 진출지 || ||<:> 1위 ||<:> [[대한민국]] ||<:> 2승 1패 ||<:> 11승 ||<:> 결승 || ||<:> 2위 ||<:> [[중화인민공화국]] ||<:> 2승 1패 ||<:> 10승 ||<:> 결승 || ||<:> 3위 ||<:> [[일본]] ||<:> 2승 1패 ||<:> 6승 ||<:> 3,4위 || ||<:> 4위 ||<:> [[중화민국]] ||<:> 3패 ||<:> 3승 ||<:> 3,4위 || 대한민국-중화인민공화국 결승 / 일본-중화민국 3, 4위전. === 결승/3, 4위전 === ==== 결승 ==== ||흑||백||결과|| ||[[이영구(1987)|이영구]]||[[퉁멍청]]||154수 백불계승|| ||[[오유진(바둑기사)|오유진]]||[[루자]]||307수 흑0.5집승|| ||[[리쉬안하오]]||[[한태희]]||149수 흑불계승|| ||[[리허]]||[[최정(바둑기사)|최정]]||265수 흑불계승|| ||[[김명훈]]||[[판윈뤄]]||254수 백불계승|| 대한민국 1-4 중화인민공화국 ==== 3, 4위전 ==== ||흑||백||결과|| ||[[왕위안쥔]]||[[무라카와 다이스케]]||253수 흑불계승|| ||샤오정하오||[[데라야마 레이]]||194수 백불계승|| ||[[리이시우]]||[[쉬하오훙]]||279수 백4.5집승|| ||[[쑤성팡]]||[[셰이민]]||188수 백불계승|| ||[[후지사와 리나]]||[[위리쥔]]||133수 흑불계승|| 일본 3-2 중화민국 [[분류:오카게배 국제신예바둑대항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