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C0000><-5><:> {{{#E5D85C ''' 역대 [[베를린 국제 영화제|{{{#E5D85C 베를린 영화제}}}]] ''' }}} || ||<#FFFFFF><-5><:> [[파일:베를린 국제 영화제 로고.svg|width=200]] || ||<#0C0000><-5><:> || || ''' [[제47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제47회]] [br] ([[1997년]]) ''' || {{{+1 → }}} || ''' 제48회 [br] ([[1998년]]) ''' || {{{+1 → }}} || ''' [[제49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제49회]] [br] ([[1999년]]) ''' || ||<#0C0000><-5> || [include(틀:베를린 국제 영화제)] ||<-2>
[[파일:베를린 국제 영화제 로고.svg|width=100]] [br]'''{{{+2 {{{#000000 1998년 제48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48th Berli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Poster.jpg|width=100%]]}}} || ||<-2> '''{{{#dfca4e ▲ 공식 포스터}}}''' || || '''{{{#dfca4e 개최기간}}}''' ||<#ffffff,#212121>[[1998년]] [[2월 11일]] ~ [[2월 22일]]|| || '''{{{#dfca4e 개최장소}}}''' ||<#ffffff,#212121>[[파일:독일 국기.svg|width=20]] [[독일]] [[베를린]]테아터 암 포츠다머 플랏츠[br]Theater am Potsdamer Platz(Berlinale Palast)|| || '''{{{#dfca4e 심사위원장}}}''' ||<#ffffff,#212121>[[벤 킹슬리]]|| || '''{{{#dfca4e 개막작}}}''' ||<#ffffff,#212121>《[[더 복서]]》|| || '''{{{#dfca4e 폐막작}}}''' ||<#ffffff,#212121>《[[레인메이커(1997년 영화)|레인메이커]]》|| || '''{{{#dfca4e 황금곰상}}}''' ||<#ffffff,#212121>《[[중앙역(영화)|중앙역]]》|| || '''{{{#dfca4e 홈페이지}}}''' ||<#ffffff,#212121>[[https://www.berlinale.de/en/home.html|공식홈페이지]]|| [목차] [clearfix] == 개요 == [[1998년]] '''제48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는 1998년 2월 11일부터 22일까지 개최되었다. [[영국]]의 배우 [[벤 킹슬리]]가 경쟁 부문의 심사위원장을 맡았다. 개막작은 짐 셰리던 감독의 《[[더 복서]]》, 폐막작은 [[프랜시스 포드 코폴라]] 감독의 《[[레인메이커(1997년 영화)|레인메이커]]》가 선정 되었다. == 심사위원 == === 경쟁 부문 === * '''[[벤 킹슬리]]''' - '''심사위원장''', [[영국]]의 배우 * 센타 버거 - [[오스트리아]]의 배우, 영화 제작자, 작가 * 리 척토 - [[홍콩]]의 홍콩 국제 영화제 아트 디렉터 * [[장국영]] - [[홍콩]]의 배우, 가수 * 헥토르 올리베라 - [[아르헨티나]]의 영화 감독, 각본가 * 헬무트 디틀 - [[독일]]의 영화 감독 * 브리지트 뤼앙 - [[프랑스]]의 배우, 영화 감독, 각본가 * 아네트 인스도르프 - [[미국]]의 영화 제작자 * 마야 투롭스카야 - [[우크라이나]]의 영화 평론가 * 마우리지오 니체티 - [[이탈리아]]의 배우, 영화 감독, 각본가 * 마이클 윌리엄스-존스 - [[영국]]의 [[미라맥스]] 지사 수장 == 공식부문 상영작 == === 경쟁 부문 === ||
{{{#e5d85c '''제목'''}}} || {{{#e5d85c '''원제'''}}} || {{{#e5d85c '''감독'''}}} || {{{#e5d85c '''국가'''}}} || || 바바라 || ''Barbara'' || 닐스 말로스 || [[파일:덴마크 국기.svg|width=25]] [[덴마크]], [[파일:페로 제도 기.svg|width=25]] [[페로 제도]] || || [[위대한 레보스키]] || ''The Big Lebowski'' || [[코엔 형제|조엘 코엔, 에단 코엔]]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미국]], [[파일:영국 국기.svg|width=25]] [[영국]] || || [[더 복서]][*개막작 ] || ''The Boxer'' || 짐 셰리던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미국]], [[파일:아일랜드 국기.svg|width=25]] [[아일랜드]] || || 소년들 || ''The Boys'' || 로완 우즈 || [[파일:호주 국기.svg|width=25]] [[호주]] || || 푸줏간 소년 || ''The Butcher Boy'' || [[닐 조단]]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미국]], [[파일:아일랜드 국기.svg|width=25]] [[아일랜드]] || || [[중앙역(영화)|중앙역]] || ''Central do Brasil'' || 월터 살레스 ||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25]] [[브라질]] || || 커미셔녀 || ''The Commissioner'' || 조지 슬루이저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미국]], [[파일:영국 국기.svg|width=25]] [[영국]],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파일:독일 국기.svg|width=25]] [[독일]], [[파일:벨기에 국기.svg|width=25]] [[벨기에]] || || 달콤한 타락 || ''放浪'' || 임정성 || [[파일:대만 국기.svg|width=25]] [[대만]] || || 걸스 나이트 || ''Girls' Night'' || 닉 허란 || [[파일:영국 국기.svg|width=25]] [[영국]] || || [[굿 윌 헌팅]] || ''Good Will Hunting'' || [[거스 밴 샌트]]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미국]] || || 광끼 || ''I Want You'' || [[마이클 윈터바텀]] || [[파일:영국 국기.svg|width=25]] [[영국]] || || [[재키 브라운]] || ''Jackie Brown'' || [[쿠엔틴 타란티노]]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미국]] || || 잔느와 완벽한 소년 || ''Jeanne et le Garçon formidable'' || 올리비에 두카스텔, 자크 마르티노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 || 두고 온 짐 || ''Left Luggage'' || 예룬 크라베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미국]], [[파일:영국 국기.svg|width=25]] [[영국]], [[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25]] [[네덜란드]], [[파일:벨기에 국기.svg|width=25]] [[벨기에]] || || 빅 맘보 || ''Das Mambospiel'' || 미하엘 그비스데크 || [[파일:독일 국기.svg|width=25]] [[독일]] || || 네이키드 아이 || ''La mirada del otro'' || 빈센떼 아란다 || [[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25]] [[스페인]] || || 우리들은 그 노래를 알고 있다 || ''On connaît la chanson'' || [[알랭 레네]]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파일:영국 국기.svg|width=25]] [[영국]], [[파일:스위스 국기.svg|width=25]] [[스위스]] || || 사다 - 희작 아베 사다의 생애 || ''SADA〜戯作・阿部定の生涯'' || [[오바야시 노부히코]]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5]] [[일본]] || || 한손으로 박수치는 소리 || ''The Sound of One Hand Clapping'' || 리처드 플래너건 || [[파일:호주 국기.svg|width=25]] [[호주]] || || 귀머거리의 나라 || ''Strana glukhikh'' || 발레리 토도로브스키 ||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5]] [[러시아]],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 || 베스트 맨 || ''Il testimone dello sposo'' || 푸피 아바티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5]] [[이탈리아]] || || 넘치는 사랑 || ''Trop (peu) d'amour'' || 자크 두아용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 || [[왝 더 독]] || ''Wag the Dog'' || [[배리 레빈슨]]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미국]] || || 슈슈 || ''天浴'' || 조앤 첸 ||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width=25]] [[홍콩]],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미국]], [[파일:대만 국기.svg|width=25]] [[대만]] || || 쾌락과 타락 || ''愈快樂愈墮落'' || 관금붕 ||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width=25]] [[홍콩]] || == 수상 == === 공식부문 === '''<경쟁부문>''' * '''[[베를린 국제 영화제/황금곰상|황금곰상]] : [[중앙역(영화)|중앙역]] (월터 살레스)''' * '''[[베를린 국제 영화제/은곰상 : 심사위원대상|은곰상 : 심사위원대상]] : [[왝 더 독]] ([[배리 레빈슨]])''' * '''[[베를린 국제 영화제/은곰상 : 감독상|은곰상 : 감독상]] : [[닐 조단]] (푸줏간 소년)''' * '''[[베를린 국제 영화제/은곰상 : 여우주연상|은곰상 : 여우주연상]] : 페르난다 몬테네그루 ([[중앙역(영화)|중앙역]])''' * '''[[베를린 국제 영화제/은곰상 : 남우주연상|은곰상 : 남우주연상]] : [[새뮤얼 L. 잭슨]] ([[재키 브라운]])''' * '''은곰상 : 단일 예술 성취상 : [[맷 데이먼]] ([[굿 윌 헌팅]])''' * '''은곰상 : 예술공헌상 : [[알랭 레네]] (우리들은 그 노래를 알고 있다)''' * '''[[베를린 국제 영화제/은곰상 : 알프레드 바우어상|은곰상 : 알프레드 바우어상]] : 쾌락과 타락 (관금붕)''' === 독립부문 === '''<국제영화비평가연맹(FIPRESCI)상>''' * 사다 - 희작 아베 사다의 생애 ([[오바야시 노부히코]]) - 경쟁 부문 == 이모저모 == [[분류:베를린 국제 영화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