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C0000><-5><:> {{{#E5D85C ''' 역대 [[베를린 국제 영화제|{{{#E5D85C 베를린 영화제}}}]] ''' }}} || ||<#FFFFFF><-5><:> [[파일:베를린 국제 영화제 로고.svg|width=200]] || ||<#0C0000><-5><:> || || ''' [[제48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제48회]] [br] ([[1998년]]) ''' || {{{+1 → }}} || ''' 제49회 [br] ([[1999년]]) ''' || {{{+1 → }}} || ''' [[제50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제50회]] [br] ([[2000년]]) ''' || ||<#0C0000><-5> || [include(틀:베를린 국제 영화제)] ||<-2>
[[파일:베를린 국제 영화제 로고.svg|width=100]] [br]'''{{{+2 {{{#000000 1999년 제49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49th Berli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Poster.jpg|width=100%]]}}} || ||<-2> '''{{{#dfca4e ▲ 공식 포스터}}}''' || || '''{{{#dfca4e 개최기간}}}''' ||<#ffffff,#212121>[[1999년]] [[2월 10일]] ~ [[2월 21일]]|| || '''{{{#dfca4e 개최장소}}}''' ||<#ffffff,#212121>[[파일:독일 국기.svg|width=20]] [[독일]] [[베를린]]테아터 암 포츠다머 플랏츠[br]Theater am Potsdamer Platz(Berlinale Palast)|| || '''{{{#dfca4e 심사위원장}}}''' ||<#ffffff,#212121>안젤라 몰리나|| || '''{{{#dfca4e 개막작}}}''' ||<#ffffff,#212121>《에이미와 야구아》|| || '''{{{#dfca4e 폐막작}}}''' ||<#ffffff,#212121>《포기와 베스》 복원판|| || '''{{{#dfca4e 황금곰상}}}''' ||<#ffffff,#212121>《[[씬 레드 라인]]》|| || '''{{{#dfca4e 홈페이지}}}''' ||<#ffffff,#212121>[[https://www.berlinale.de/en/home.html|공식홈페이지]]|| [목차] [clearfix] == 개요 == [[1999년]] '''제49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는 1999년 2월 10일부터 21일까지 개최되었다. [[스페인]]의 배우 안젤라 몰리나가 경쟁 부문의 심사위원장을 맡았다. 개막작은 맥스 파베록 감독의 《에이미와 야구아》, 폐막작은 [[오토 프레밍거]] 감독의 《포기와 베스》 복원판이 선정 되었다. == 심사위원 == === 경쟁 부문 === * '''안젤라 몰리나''' - '''심사위원장''', [[스페인]]의 배우 * 켄 아담 - [[영국]]의 프로덕션 디자이너 * 파울로 브랑코 - [[포르투갈]]의 영화 제작자, 배우 * 아씨 다얀 - [[이스라엘]]의 배우, 영화 감독, 각본가, 제작자 * 피에르 앙리 들로 - [[프랑스]]의 배우, 영화 제작자 * 카챠 폰 가르니에 - [[독일]]의 영화 감독 * 헬무트 카라섹 - [[독일]]의 저널리스트, 작가, 영화 평론가 * [[양자경]] - [[말레이시아]]의 배우 == 공식부문 상영작 == === 경쟁 부문 === ||
{{{#e5d85c '''제목'''}}} || {{{#e5d85c '''원제'''}}} || {{{#e5d85c '''감독'''}}} || {{{#e5d85c '''국가'''}}} || || 8미리 || ''8mm'' || [[조엘 슈마허]]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미국]], [[파일:독일 국기.svg|width=25]] [[독일]] || || 에이미와 야구아[*개막작 ] || ''Aimée & Jaguar'' || 맥스 파베록 || [[파일:독일 국기.svg|width=25]] [[독일]] || || 거짓말의 빛깔 || ''Au coeur du mensonge'' || [[클로드 샤브롤]]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 || 챔피온들의 아침식사 || ''Breakfast of Champions'' || 앨런 루돌프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미국]] || || 오늘부터 시작이야 || ''Ça commence aujourd'hui'' || 베르트랑 타베르니에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 || 쿠키의 행운 || ''Cookie's Fortune'' || [[로버트 올트먼]]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미국]] || || 자유를 향해 || ''Emporte-moi'' || 레아 폴 || [[파일:스위스 국기.svg|width=25]] [[스위스]],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5]] [[캐나다]],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 || 당신의 다리사이 || ''Entre las piernas'' || 마누엘 고메즈 페레이라 || [[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25]] [[스페인]],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 || [[엑시스텐즈]] || ''eXistenZ'' || [[데이비드 크로넨버그]] ||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5]] [[캐나다]], [[파일:영국 국기.svg|width=25]] [[영국]],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 || 글로리아 || ''Glória'' || 마누엘라 비에가스 || [[파일:포르투갈 국기.svg|width=25]] [[포르투갈]], [[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25]] [[스페인]],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 || 태양으로의 여행 || ''Güneşe Yolculuk'' || 예심 우스타오글루 || [[파일:튀르키예 국기.svg|width=25]] [[튀르키예]], [[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25]] [[네덜란드]], [[파일:독일 국기.svg|width=25]] [[독일]] || || 하이 로 컨츄리 || ''The Hi-Lo Country'' || [[스티븐 프리어스]]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미국]], [[파일:영국 국기.svg|width=25]] [[영국]], [[파일:독일 국기.svg|width=25]] [[독일]] || || 카니발 || ''Karnaval'' || 토마 뱅상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파일:독일 국기.svg|width=25]] [[독일]], [[파일:벨기에 국기.svg|width=25]] [[벨기에]], [[파일:스위스 국기.svg|width=25]] [[스위스]] || || 39 형법 제39조 || ''刑法第三十九条'' || 모리타 요시미츠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5]] [[일본]] || || 미후네 || ''Mifune'' || 소렌 크라게 야콥슨 || [[파일:덴마크 국기.svg|width=25]] [[덴마크]], [[파일:스웨덴 국기.svg|width=25]] [[스웨덴]] || || 밤에 생긴 일 || ''Nachtgestalten'' || 안드레아스 드레센 || [[파일:독일 국기.svg|width=25]] [[독일]] || || 꿈 속의 여인 || ''La niña de tus ojos'' || 페르난도 트루에바 || [[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25]] [[스페인]] || || 라스트 타임 || ''Playing by Heart'' || 윌러드 캐롤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미국]], [[파일:영국 국기.svg|width=25]] [[영국]] || || 천언만어 || ''千言萬語'' || [[허안화]] ||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width=25]] [[홍콩]], [[파일:중국 국기.svg|width=25]] [[중국]] || || [[셰익스피어 인 러브]] || ''Shakespeare in Lov'' || 존 매든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미국]], [[파일:영국 국기.svg|width=25]] [[영국]] || || 사이먼 매거스 || ''Simon Magus'' || 벤 홉킨스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미국]], [[파일:영국 국기.svg|width=25]] [[영국]],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스]], [[파일:독일 국기.svg|width=25]] [[독일]],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5]] [[이탈리아]] || || [[씬 레드 라인]] || ''The Thin Red Line'' || [[테런스 맬릭]]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미국]] || || 쓰리 시즌 || ''Three Seasons'' || 토니 뷔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미국]], [[파일:베트남 국기.svg|width=25]] [[베트남]] || || 어반 필 || ''Urban Feel'' || 조나단 사갈 || [[파일:이스라엘 국기.svg|width=25]] [[이스라엘]] || == 수상 == === 공식부문 === '''<경쟁부문>''' * '''[[베를린 국제 영화제/황금곰상|황금곰상]] : [[씬 레드 라인]] ([[테런스 맬릭]])''' * '''[[베를린 국제 영화제/은곰상 : 심사위원대상|은곰상 : 심사위원대상]] : 미후네 (소렌 크라게 야콥슨)''' * '''[[베를린 국제 영화제/은곰상 : 감독상|은곰상 : 감독상]] : [[스티븐 프리어스]] (하이 로 컨츄리)''' * '''[[베를린 국제 영화제/은곰상 : 여우주연상|은곰상 : 여우주연상]] : 마리아 슈라더, 율리아네 쾰러 (에이미와 야구아)''' * '''[[베를린 국제 영화제/은곰상 : 남우주연상|은곰상 : 남우주연상]] : 미하엘 그비스데크 (밤에 생긴 일)''' * '''은곰상 : 단일 예술 성취상 : 마크 노먼, 톰 스토파드 ([[셰익스피어 인 러브]])''' * '''은곰상 : 예술공헌상 : [[데이비드 크로넨버그]] ([[엑시스텐즈]])''' * '''[[베를린 국제 영화제/은곰상 : 알프레드 바우어상|은곰상 : 알프레드 바우어상]] : 카니발 (토마스 뱅상)''' === 독립부문 === '''<국제영화비평가연맹(FIPRESCI)상>''' * 오늘부터 시작이야 (베르트랑 타베르니에) - 경쟁 부문 == 이모저모 == [[분류:베를린 국제 영화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