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목차] == 개요 == [[오키나와현 제2구|오키나와 2구]]를 수성하면서 현상 유지에 성공했다. 당선자 평균 연령은 '''65세'''이다. 이는 아라카키 구니오 의원(65세) 한 명만 있기 때문에 반영된 숫자. == 분석 == 사회민주당이 분열되고 껍데기만 남은 채 선거를 치렀기 때문이다. 그래도 비례대표 득표율도 1.77%로 일부 권역에서는 NHK당보다 지지율이 낮게 나오면서 체면을 구겼다. 그리고 사회민주당의 유일한 중의원이었던 [[데루야 간토쿠]] 전 의원(본인 지역구인 오키나와 2구를 [[아라카키 구니오]]한테 물려줬다)은 또다시 [[후쿠시마 미즈호]] 대표의 책임론을 제기했다. 이게 1석 현상유지가 선방이라 하긴 뭐한게, 기존 의석은 [[데루야 간토쿠]][* [[오키나와]]에서 후텐마 주일미군기지로 인한 각종 피해를 이슈화해 오키나와의 야당 지지세를 이끌어낸 원로 정치인이다. 사실상 오키나와의 야당 지지는 데루야로부터 시작할 정도. 자민당에서조차 데루야만큼은 한 수 접어줄 정도로 정치 원로이고, [[무라야마 내각]] 때 한번 입각해서 장관직도 역임했다.]였고 새로 당선된 아라카키 구니오는 데루야의 직계 후계자인데 둘 다 '''사민당 대표인 [[후쿠시마 미즈호]]랑 상극'''이다. 실제로 이미 데루야와 아라카키는 언제든지 사민당을 탈당하고 입헌민주당으로 갈 사람으로 평가받고 있는데, 데루야는 야당 재편 정국에서 이미 입헌민주당 입당을 선언했다가 선거를 앞둔 후계자 아라가키 의원의 잔류[* 아라가키 역시 입헌민주당으로 갈 예정이었지만 오키나와 2구의 지역 조직원들이 "([[후쿠시마 미즈호]] 대표가 입헌민주당 통합 관련해 깽판을 친건 맞지만) 지역 조직 유지를 위해 차기 49회 중원선때까지는 탈당을 유예해 달라"고 호소해서 사민당에 남았다.]로 울며 겨자먹기로 당에 남았다. 이번에는 선거도 끝났고, 데루야의 후계자인 아라카키도 당선됐으니 진짜로 결단을 내리고 입헌민주당으로 이당할 가능성이 컸지만 결국 탈당하지 않았다. 그외에도 사민당을 탈당하고 입헌민주당에 입당한 [[오이타현 제2구|오이타 2구]]의 요시카와 하지메 의원은 저번 중원선에서는 사회민주당 소속으로 출마해 큰 표 차이로 낙선했지만, 이번 선거에서는 12선 중진인 [[에토 세이시로]] 의원을 거의 낙선 위기까지 몰아놓고, 비록 아쉽게 낙선했어도 '''99%'''의 석패율을 확보하여 가슴 졸이여 비례부활을 지켜보던 4년 전과 달리 일찍이 비례부활를 확정지었다. 이를 지켜봤을 잔류 사민당 정치인들은 생각이 많아질 수밖에 없다. [[분류: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