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하위 문서, top1=제5보병사단/신병교육대)] [include(틀:대한민국 육군의 사단)] [include(틀:상비사단)] ||<-7><#fe0000> '''{{{#fff {{{+1 제5보병사단}}}}}}'''[br]'''{{{#fff 第五步兵師團}}}'''[br]'''{{{#fff The 5th Infantry Division}}}''' || ||<#ffffff><-7> [[파일:제5보병사단 부대마크.svg|width=300]] || ||<-7><#fe0000> '''{{{#fff 통일의 문을 여는 천하무적 상승 열쇠부대}}}''' || ||<#fe0000> '''{{{#fff 창설일}}}''' ||<-6><(> [[1948년]] [[4월 29일]] {{{-2 ([age(1948-04-29)]주년)}}} || ||<#fe0000> '''[[상징명칭|{{{#fff 상징명칭}}}]]''' ||<-6><(> '''열쇠부대''' || ||<#fe0000> '''{{{#fff 소속}}}''' ||<-6><(> [[대한민국 육군]] || ||<#fe0000> '''{{{#fff 상급부대}}}''' ||<-6><(> [[제5군단]] || ||<#fe0000> '''{{{#fff 규모}}}''' ||<-6><(> [[사단(군대)|사단]] || ||<#fe0000> '''{{{#fff 역할}}}''' ||<-6><(> 경기도 연천군 일대 수색 및 경계 || ||<#fe0000><:> '''[[사단장|{{{#fff 사단장}}}]]''' ||<-6><(> [[소장(계급)|소장]] [[윤기중(군인)|윤기중]] (육사 51기) || ||<#fe0000> '''{{{#fff 위치}}}''' ||<-6><(> [[경기도]] [[청산면(연천)|연천군 청산면]] 백의리 || ||<-7>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장소=경기도 연천군 청산면 백의리 63-10, 너비=100%, 높이=100%)]}}} || [목차] [clearfix] == 개요 == ||'''[[사단령]]''' '''제1조(설치)''' ① 육군에 사단을 둔다. ② 사단은 관할구역의 작전·훈련 및 군 행정에 관한 사항을 관장한다. || [[파일:열쇠부대위장색휘장.png|width=100]] [[대한민국 국군]] [[제5군단]][* 제6군단이 2022년 11월 30일에 해체 확정으로 10월 1일부로 예하사단이 5군단으로 옮겼다.] 예하 제5[[보병]][[사단(군사)|사단]]. 일명 열쇠부대. 공식 상징명칭은 '''상승 열쇠부대'''. 부대의 상징도 열쇠. 적색 바탕은 정열과 명예, 백색 원은 단결과 완전무결, 열쇠 문양은 통일의 문을 여는 열쇠를 의미한다. 열쇠모양은 5사단의 숫자 5에서 따왔다. ㅇ부분을 동그랗게 그려넣은 형태이다. 불행히도 GOP철책이 뚫린 사건이 3번이나 있었기에 인근 GOP사단인 옆동네 [[제6보병사단|청성사단 대원들]]과 [[제28보병사단|무적태풍사단 대원들]]에겐 북한군에게 문을 열어주는 열쇠라는 비아냥을 듣기도 했다. --[[제28보병사단/사건 사고|근데 니들이 할 말은 아닌 것 같은데.]]-- 게다가 병사들 사이에선 [[휠체어]] 사단이라는 자조섞인 의미로 불리고 있다. 일단 마크부터가 휠체어를 단순화시킨 것 같고, 상당히 강도 높은 훈련들로 인해 휠체어 신세가 되는 (다치는) 병사가 많다는 이유에서다. 경례 구호는 '''"단결"'''이다.[* 1994년 단결하면 된다. 에서 단결로 단순화하였고 [[1996년]]에 구호를 "단결! 하면 된다!"로 바꾸었다가 도로 단결로 바꾼 바 있다.] [[메이커 사단]]임에도, 사자연대를 제외한 나머지 연대 예하부대의 시설은 열악하기로 소문난 바로 옆 [[제28보병사단|28사단]]보다도 열악하다. 현재 국군 전 부대에 퍼져있는 [[5분대기조]] 시스템이 사단 포병연대 예하 205 포병대대에서[* 70년대에도 5분대기조가 시행되고 있었다고 한다.] 전군 최초로 도입, 시행되었다. 또한 전군 최초로 GOP [[과학화 경계시스템]]이 도입된 부대이기도 하다. 주 임무로 중부전선 중심 연천지역 및 철원 일부의 [[GOP]] 경계를 담당한다. 사단 좌익에는 [[제28보병사단|28사단]], 우익에는 [[제6보병사단|6사단]]이 위치한다. [[제6군단]]은 해체가 예정되어 있다. 예하 28사단도 해체가 예정되어 있고 일부는 5사단에 예속될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5사단은 제1군단 또는 제5군단으로 예속전환될 것으로 보인다. 제1군단에는 이미 3개 사단(제1, 9, 25사단)과 해체 후 기갑여단으로 개편되는 제30사단, 그리고 제2기갑여단이 있기 때문에 제5군단(제3, 6사단, 제1기갑여단)으로 예속될 가능성이 크다.[* 다만 5사단은 원래 5군단 편제였다. 90년대 중반까지 6군단 예하였다가 6군단이 현재의 7군단처럼 기계화군단으로 개편하려 했을 때 잠시 5군단 예하에 있었으나 6군단의 개편이 백지화되면서 90년대 후반에 5사단이 6군단으로 다시 돌아왔다.] == 역사 == [[1948년]] 4월 29일 경기도 수색에서 제3, 4, 9연대를 기반으로 제5여단으로 창설되었다. 최초 지휘관은 김상겸 대령.[* [[러시아 제국군]] 출신으로 [[제1차 세계대전]], [[적백내전]]에 참전하였고 [[폴란드군]]에서 복무하다 전역했으며 이후 독일 [[동프로이센]]에서 농장을 운영하다 [[폴란드 침공]]을 계기로 유럽을 탈출, 조선으로 귀국했다...고 알려져 건군기에 특별임관했으나, 실은 군사 경력이 전혀 없는 것으로 밝혀져 파면되었다.[[https://www.joongang.co.kr/article/1279857|#]] ] 창설 후 여단 주둔지가 전라남도 광주로 변경 되었고, 1949년 5월 12일, 제5보병사단으로 승격되었다. 이때 제15, 20연대가 사단으로 배속되었다. 초대 사단장은 송호성 준장. 이후 1949년 7월에는 백선엽 대령이 사단장으로 부임하였다. 사단은 제15연대를 전주에, 제20연대를 광주에 주둔시켜 [[빨치산]] 토벌을 주 임무로 하며 부대 정비 및 교육훈련을 실시하였다. 그 후 한국전쟁 발발 전 [[제주 4.3 사건]], [[여수·순천 10.19 사건|여순사건]] 진압에 동원되었다. 이후 1950년 6월 25일에 [[6.25 전쟁]]이 발발하면서, 육군본부의 소환으로 서울 용산에 올라와 북한군 남하 지연작전에 참여 하였다. 이 시점에는 백선엽이 1사단으로 옮겨가고 [[이응준]] 준장이 사단장으로 재직하고 있었다. 근데 이때는 말이 지연전이지, [[축차투입|닥치는 대로 투입하라는]] [[채병덕]]의 삽질로 말미암아 예하 부대들이 사단장조차 모르는 사이 사상당했고,[* 당시 참모총장이었던 채병덕은 전쟁 발발 소식을 듣자 5사단 예하 연대들까지 전부 쪼개서 온 전선에 축차투입 하는 바람에 사단장조차 자기 부대가 어디에 얼마나 있는지 파악 못했다.] 이 와중에 2개 대대로 부대 건제를 유지했던 [[제15보병연대|15연대]]는 1개 대대만 남은 1사단 13연대 재건을 위해 해채되고,[* 다만 이후 낙동강 전선에서 "우리가 다수인데 왜 13연대입니까"는 장병들과 이를 수렴한 연대장의 건의로 단대호가 환원되었다.] 20연대 역시 창동 - 미아리 축선 방어전을 위해 한강 이북에 투입되었다가 전멸하여 '''지휘 가능한 [[연대(군대)|연대]]들이 사실상 없어졌다.''' 그래도 남은 병력들을 긁어모아 7월 1일부터 시흥전투지구사령부 예하부대로서 지연전을 전개하며 철수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그나마 있던 병력들까지 분산되어 17일에는 기어이 사단이 해체되기에 이른다. 이후 1950년 10월 8일 [[대구광역시|대구]]에 주둔 중이던 제27연대, 마산에 주둔 중인 제35연대, 부산에 주둔 중인 제36연대를 근간으로 대구에서 제5보병사단을 재창설하였고, 이 연대들이 지금까지 이르게 된다.[* 그래서 혹 특정한 이유로 인해 사단 및 예하부대를 방문하게 될 경우 부대 내부에 사단 역사를 써놓은 벽이 있을텐데, 보면 이 10월 8일을 사단 창설일로 적은 곳도 있다.] 다시 재창설된 5사단은 이후 수많은 전투를 치르게 되는데, 그 중 36연대가 미 2사단 예속으로 치른 [[피의 능선 전투]][* 피의 능선 전투란 종군기자들이 신문에 Bloody Ridge라는 이름으로 보도하면서부터 생겨난 이름으로, 강원도 양구에 위치한 983고지·940고지·773고지에서 벌어진 전투를 일컫는 것이다. 이 고지를 탈환하기 위하여 미군 제2보병사단과 배속된 국군 5사단 36연대가 북한군 12, 24사단과 쟁탈전을 벌였고, 여기에 국군 7사단 대전차대대가 가세하는 난전 끝에 한미 양군 1개 연대 규모와, 북한군 1개 사단 규모의 사상자를 내고 한미 연합군이 전투에서 승리하였다. 이 전투는 6.25 전쟁 사상 단일전투에서 최대의 성과를 올린 전투로서, 당시 이 승전보를 접한 이승만 대통령은 5사단에 천하무적 사단이라는 칭호를 부여하였다.]와 [[가칠봉 전투]][* 1951년 6월 23일 휴전회담이 제기된 이후 처음으로 방어에 유리한 지형을 확보할 목적으로, 미 제19군단장이 양구 북방의 가칠봉 일대에 5사단을 투입하여 고지를 점령하게 한 작전이었다. 당시 북한군은 27사단과 12사단의 2개 사단 규모의 병력을 투입하여 반격에 나섰으나, 40여 일의 치열한 격전 끝에 결국 5사단의 승리로 전투가 끝났다.]가 유명하다. 이후 5사단은 1952년 10월에 강원도 351고지 전투를 승리로 이끌며 강원도 전선을 북방으로 밀어 올렸고, 이 전선은 지금 강원도에 그어진 휴전선의 일부가 되었다. 이후 강원도 화천에 주둔했던 5사단은 [[1953년]] 3월 신편된 [[제15보병사단]]과 임무교대 후 후방인 남원에서 지리산 공비 토벌 작전에 투입되다 다시 전방으로 올라가 7월 [[금성 전투]]의 핵심 전투인 [[백암산 전투]]를 치른다. 이후 1954년에 강원도 철원, 1960년 경기도 포천, 1971년 경기도 양평으로 주둔지가 변경 되다가, 1977년 당시 전방을 담당하던 [[제20기계화보병사단|제20보병사단]]에서 대대장 월북사건이 터지며 서울 근처로 재배치되는 바람에 20사단과 임무를 교대하여 1978년 4월 1일 현재의 주둔지인 경기도 연천에 이르게 되었다. 1960년대 후반에 육군 사단 특성화 계획에 따라 3개의 특화사단을 지정했는데, 이 중 제5사단이[* 나머지 두 사단은 [[제2보병사단|2사단]]과 [[제11기계화보병사단|11사단]]으로서, 2사단은 산악사단으로, 11사단은 상륙사단으로 전환됐었다.] 1968년 1월 23일부로 [[공수부대|공수사단]]으로 전환됐던 과거가 있다. [[육군특수전사령부|특전사]]에서 공수 위탁교육을 받고 자체 공수교육대도 보유했지만 1년여 만에 다시 일반보병사단으로 회귀하였다. 2020년 [[국방개혁]]으로 인해 12월 1일부로 예하 연대들이 [[여단]]으로 변경되었다. 장기적으로는 사단 재배치에 따라 5사단이 최전방을 담당하게 될 예정이다.[* 2010년대 초 국방개혁에 따라 8사단은 기계화보병사단으로 전환되었는데, 이후 국방개혁 2.0에 따라서 수도, 20, 26사단에서 부대를 예속 받고 본래 가지고 있던 여단을 해체, 양주에 주둔하는 기동사단으로 바뀌었다. 6사단이 기존 8사단을 대신할 예비사단으로 선정되어 기존 8사단이 주둔하던 포천으로 내려가며 빈 자리는 3사단과 5사단을 재배정해서 대체한다. 5사단 서측의 28사단도 2025년 해체되는 만큼 3사단과 5사단의 작전구역이 상당히 넓어질 것이다. 기존에 2개 대대만 존재하던 GOP대대의 숫자가 늘어날 것이 명백한 상황. 사실상 35여단 산하 신병교육대는 사단직할로 재편되면서, 35여단 산하 대대도 GOP대대로 전환해야 한다는 것이다.] == [[신병교육대]] == [include(틀:신병교육대)] ||<-7><#fe0000> '''{{{#fff {{{+1 제5보병사단 신병교육대 (열쇠신병교육대)}}}}}}'''[br]'''{{{#fff 第五步兵師團 新兵敎育隊}}}'''[br]'''{{{#fff The 5th Infantry Division recruit training center}}}''' || ||<-7>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장소=열쇠신병교육대, 너비=100%, 높이=100%)]}}} || ||<#fe0000> '''{{{#fff 위치}}}''' ||<-6><(> [[경기도]] [[청산면(연천)|연천군 청산면]] 궁평리 299-1 (청창로 474) [[https://www.mma.go.kr/contents.do?mc=mma0002050|[[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제35보병여단]]에서 3대대를 전환해 운용하는 곳이다.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제5보병사단/신병교육대)] == 예하부대 == [include(틀:제5보병사단 예하부대)] [[국방개혁 2.0]] 기본계획에 의거, 상비사단과 지역방위사단이 개편돼 예하 연대들 역시 2020년부로 여단급으로 격상되었다. === 사단 직할대 === * [[본부근무대]] * [[대한민국 육군/수색대|수색대대]] (비마) * 전차대대 (번개) - [[https://youtu.be/2NXi_j1njLA|ID 패널 활용 쌍방 훈련 영상]], [[https://youtu.be/L31OlA00418|전차포 사격훈련]] * 공병대대 (황소) * 정비대대 (참수리) * 보급수송대대 * 정보통신대대 * 화생방지원대 * 의무근무대 * [[대한민국 국군 군사경찰|군사경찰대]] * 방공중대 * 보충중대 *정보대대 === [[제27보병여단]] 표범(GOP) === * 여단본부 * 군수지원대대 * 1대대 진격 * 2대대 철권 * 3대대 통일(GOP)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제27보병여단)] === [[제35보병여단]] 사자 === * 여단본부 * 군수지원대대 * 1대대 비사([[K808]]) * 2대대 철권 * 3대대 추사([[제5보병사단/신병교육대|신병교육대]])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제35보병여단)] === [[제36보병여단]] 독수리 (GOP) === [[파일:36독수리.jpg|width=30%]] * 여단본부 * 군수지원대대 * 1대대 진격 * 2대대 철권(GOP) * 3대대 용틀임(통일)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제36보병여단)] === [[제5보병사단 포병여단|포병여단]] 백곰 === * 여단본부 * 본부포대 * 표적획득포대 * 다련장사격대 * 제359포병대대(K-55A1) * 제822포병대대(K-55A1) * 제988포병대대(K-9) * 제77포병대대(K-55A1)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제5보병사단 포병여단)] == 출신인물 == === [[사단장]] === ||'''[[볼드체]]'''는 대장 진급이 된 [[사단장]].|| ||<-6><#fe0000> '''{{{#fff 역대 제5보병사단장}}}''' || ||<#fe0000> '''{{{#fff 역대}}}''' ||<#fe0000> '''{{{#fff 이름}}}''' ||<#fe0000> '''{{{#fff 계급}}}''' ||<#fe0000> '''{{{#fff 임관}}}''' ||<#fe0000> '''{{{#fff 비고}}}''' ||<#fe0000> '''{{{#fff 기타}}}''' || || '''역대''' || '''이름''' || '''계급''' || '''임관''' || '''비고''' || 기타 || || 1대 || 김상겸 || 예) 대령 || ||前 [[사단장]] || || || 2대 || [[원용덕]] || 예) 준장 || ||前 [[사단장]] || || || 3대 || [[송호성(군인)|송호성]] || 예) 준장 || ||前 [[사단장]] || || || '''4대''' || '''[[백선엽]]''' || '''예) [[대장(계급)|대장]]''' ||[[군사영어학교|군영]] 01기 ||前 [[대한민국 합동참모의장|합동참모의장]], [[대한민국 육군참모총장|육군참모총장]], [[제1야전군사령관]] ||前 [[국토교통부장관|교통부장관]] || || 5대 || [[이응준]] || 예) [[중장]] ||[[군사영어학교|군영]] 01기 ||前 제1훈련소장 || || || 6대 || 이형석 || 예) 준장 || ||前 [[사단장]] || || || '''7대''' ||'''[[민기식]]''' || '''예) [[대장(계급)|대장]]''' ||[[군사영어학교|군영]] 01기 ||前 [[사단장]] ||前 육군참모총장 || || 8대 || [[장창국]] || 예) 준장 || ||前 [[사단장]] || || || 9대 || [[김종갑(1922)|김종갑]] || 예) 중장 ||군영 01기 ||前 [[사단장]] ||前 국방부차관 || || 10대 || [[최홍희]] || 예) 소장 ||군영 01기 ||前 [[사단장]] || || || 11대 || 김종갑 || 예) 중장 ||군영 01기 ||前 [[사단장]] ||前 국방부차관 || || 12대 || [[박병권]] || 예) 중장 ||군영 01기 ||前 [[사단장]] ||前 국방부장관 || || 13대 || [[장도영]] || 예) 중장 ||군영 01기 ||前 [[사단장]] ||前 육군참모총장 || || 14대 || 박병권 || 예) 중장 ||군영 01기 ||前 [[사단장]] ||前 국방부장관 || || 15대 || 김종갑 || 예) 중장 ||군영 01기 ||前 [[사단장]] ||前 국방부차관 || || '''16대''' || '''[[박정희]]''' || '''예) [[대장(계급)|대장]]''' ||[[육군사관학교|육사]] 02기 ||前 [[국가재건최고회의]] 부위원장 ||前 [[대한민국 대통령|대통령]] || || 17대 || 황엽 || 예) 준장 || ||前 [[사단장]] || || || 18대 || [[이용(1923)|이용]] || 예) 소장 ||육사 07기 ||前 [[사단장]] ||前 육군보병학교장 || || 19대 || [[채명신]] || 예) [[중장]] ||육사 05기||前 [[사단장]] ||前 제2작전사령관 || || 20대 || 박원근 || 예) 소장 || ||前 [[사단장]] || || || 21대 || 이규학 || 예) 소장 || ||前 [[사단장]] || || || 22대 || 김익권 || 예) 소장 || ||前 [[사단장]] || || || 23대 || 조문환 || 예) 중장 || ||前 [[사단장]] ||초대 수도군단장 || || 24대 || [[강창성]] || 예) 소장 ||육사 08기 ||前 [[사단장]] ||前 보안사령관 || || '''25대''' || '''[[윤성민]]''' || '''예) [[대장(계급)|대장]]''' ||[[육군사관학교|육사]] 09기 ||前 [[합동참모의장]] ||前 국방부장관 || || 26대 || [[정병주]] || 예) 소장 ||육사 09기 ||前 [[사단장]] ||前 육군특수전사령관 || || 27대 || 구득현 || 예) 소장 ||육사 기 ||前 [[사단장]] || || || 28대 || [[김복동]] || 예) 중장 ||육사 11기 ||前 [[사단장]] ||前 육군사관학교장 || || 29대 || 리범천 || 예) 소장 ||육사 12기 ||前 [[사단장]] || || || '''30대''' || '''[[정호근(군인)|정호근]]'''|| '''예) [[대장(계급)|대장]]''' ||[[갑종간부후보생|갑종]] 05기 ||前 [[사단장]] ||前 합동참모의장 || || 31대 || 유재구 || 예) 소장 ||육사 13기 ||前 [[사단장]] || || || 32대 || [[신우식]] || 예) [[소장(계급)|소장]] ||육사 14기||前 [[사단장]] || || || '''33대''' || '''[[신말업]]''' || '''예) [[대장(계급)|대장]]''' ||육사 16기 ||前 사단장 ||前 [[제3야전군사령관]] || || 34대 || 윤학열 || 예) 중장 ||육사 17기 ||前 [[사단장]] || || || 35대 || 김봉찬 || 예) [[소장(계급)|소장]] ||[[학생군사교육단|학군]] 1기||前 [[사단장]] || || || 36대 || 이석복 || 예) [[소장(계급)|소장]] ||[[육군사관학교|육사]] 21기||前 [[사단장]] || || ||'''37대''' || '''[[김석재]]''' || '''예) [[대장(계급)|대장]]''' ||[[육군사관학교|육사]] 23기 ||前[[사단장]] ||前 [[제1야전군사령관]] || || 38대 || [[강신육]] || 예) [[중장]] ||육사 24기||前 [[사단장]] ||前 육군참모차장 || || 39대 || 이장흠 || 예) [[소장(계급)|소장]] ||[[갑종간부후보생|갑종]] 202기||前 [[사단장]] || || || 40대 || 안병한 || 예) [[소장(계급)|소장]] ||[[육군사관학교|육사]] 26기||前 [[사단장]] || || || 41대 || 변상복 || 예) [[소장(계급)|소장]] ||육사 28기||前 [[사단장]] || || || 42대 || 김갑현 || 예) [[소장(계급)|소장]] ||육사 29기||前 [[사단장]] || || || 43대 || 박노식 || 예) [[소장(계급)|소장]] ||육사 30기||前 [[사단장]] || || || 44대 || 전종기 || 예) [[소장(계급)|소장]] ||육사 32기||前 [[사단장]] || || || '''45대''' || '''[[권혁순]]''' || '''예) [[대장(계급)|대장]]''' ||육사 34기 ||前 [[사단장]] ||前 [[제3야전군사령관]] || || 46대 || [[박삼득]] || 예) [[중장]] ||육사 36기 ||前 [[국방대학교 총장]] ||前 [[국가보훈처장]] || || 47대 || [[최병로]] || 예) [[중장]] ||육사 38기 ||前 [[사단장]] ||前 [[육군사관학교장]] || || 48대 || [[주창환]] || 예) [[소장(계급)|소장]] ||육사 40기 ||前 사단장 ||前 육군보병학교장 || || 49대 || [[정진경]] || 예) [[중장]] ||육사 42기 ||前 [[사단장]] ||前 [[육군사관학교장]] || || 50대 || [[전유광]] || 예) [[소장(계급)|소장]] ||육사 44기 ||前 [[사단장]] ||前 [[777사령부|777사령관]] || || 51대 || [[이상철(학군28기)|이상철]] || 예) [[중장]] ||[[학생군사교육단|학군]] 28기 ||前 [[사단장]] || 前 [[지상작전사령부 참모장]] || || 52대 || [[김흥준(군인)|김흥준]] || [[소장(계급)|소장]] ||[[육군사관학교|육사]] 49기||前 [[사단장]] || || || 53대 || [[윤기중(군인)|윤기중]] || [[소장(계급)|소장]] ||[[육군사관학교|육사]] 51기||現 [[사단장]] || || === 장교/부사관 === * [[김재규]] 중장 * [[황대일]] 중장 * [[박용준(군인)|박용준]] 소장 * [[김권(군인)|김권]] 소장 * [[서정열]] 소장 * [[강현우(군인)|강현우]] 소장: 사단장 직무대리(職務代理) === 병사 === * [[강진우(돌잼)|강진우]] - [[돌잼]] 멤버 운전병으로 포병대에서 복무 * [[고호정]] - [[핫샷(아이돌)|핫샷]], [[UNB]] 멤버 * [[김우석(배우)|김우석]] - 배우 * [[김재욱(배우)|김재욱]] - 배우 제5보병사단으로 입대 후 국방홍보원 홍보지원대로 전입되어 군복무 후 전역했다. * [[동하(배우)|동하]] - 배우 * [[량현량하]] - 가수 * --[[먼닉]]-- - 인터넷 방송인 5사단 복무 중 심장병으로 인해 공익으로 전환되었다. * [[민혁(몬스타엑스)|민혁]] - [[몬스타엑스]] 멤버 -군악대 복무중 * [[배지터(인터넷 방송인)|배지터]] - 인터넷 방송인 * [[변요한]] - 배우 * [[보물섬(유튜버)|보물섬]] - 유튜버 * [[강민석(보물섬)|강민석]] * [[김동현(보물섬)|김동현]] * [[비(연예인)|비]] - 가수, 배우 신병교육대 조교 였으나 일병때 국방홍보원 홍보지원대로 차출 되었다. * [[소수빈(가수)|소수빈]] - 가수 * [[신상문]] - 프로게이머 * [[신재하]] - 배우 군악대에서 복무 * [[싸감아저씨]] - 만화가 2016년 7월 19일부터 2018년 4월 18일까지 제5보병사단 제35보병연대에서 복무 *[[유영혁]] - 카트라이더 프로게이머 * [[원슈타인]] - 가수 * [[이원석(1999)|이원석]] - 야구선수, 한화이글스 외야수 신병교육대 조교로 복무 * [[이장우(배우)|이장우]] - 배우 신병교육대 조교로 복무 * [[정헌]] - 배우 헌병대에서 복무 * [[전경민]] - [[뷰티풀너드]] 멤버 * [[조병세(프로게이머)|조병세]] - 프로게이머 *[[정국]] - [[방탄소년단]] 멤버 *[[지민(방탄소년단)|지민]] - [[방탄소년단]] 멤버 * [[진(방탄소년단)|진]] - [[방탄소년단]] 멤버 신병교육대 조교로 복무중 * [[찬성(2PM)|찬성]] - [[2PM]] 멤버 신병교육대 조교로 복무 * [[TIN]] - [[APL(아이돌)|APL]] 멤버 == 특징 == === 사단가 === [youtube(ZZs-0QhsCLk)] ||'''1절''' 아름다운 내 조국의 완전 통일 위하여[* [[멸공의 횃불]]과 도입부 가사가 유사해서 음을 틀리는 경우가 종종 있다.] 물불을 가림없이 한데 뭉쳐 싸운다 가평 춘천 탈환전 [[피의 능선 전투|피의 능선]] [[가칠봉 전투|가칠봉]] 청사에 아로새긴 전공 세운 5사단 '''2절''' 슬기로운 내 겨레의 자유 평화 위하여 화랑의 높은 기개 온몸 바쳐 싸운다 삼각봉과 [[백암산 전투|백암산]] 치열한 전투에 달려든 붉은 적을 무찔러 친 5사단 '''후렴''' 조국의 깃발 아래 민족의 이름으로 새세기 선봉에서 용감히 싸워 나가는 백전백승 열쇠부대 우리 5사단 || === 안보관광 === 열쇠전망대라고 하여 군, 관이 뜻을 모아 1998년 4월 건립한 안보관광지가 민통선 안에 위치해 있다. 연천군과 육군 제5사단이 공동관리하고 있고 실질적인 운영은 사단 전방대대가 맡아서 하고 있다. 민간인도 민통선 출입시간때에 맞추어 간단한 신원확인을 한 후에 방문할 수 있다. 다른 민통선 지역과 마찬가지로 자전거나 이륜차, 혹은 도보로는 입장이 불가하며, 또한 기상악화 혹은 관리부대 여건상 예고없이 출입 통제 또는 강제퇴거 될 수 있다. 실제 들어갈 때 2번에 걸쳐서 신분조회를 하고 들어간다. 뭔가 북한의 도발이 일어나면 유명인사들이 많이 찾는다. 군사시설내에 위치한 관계로 사진 촬영은 전망대 앞 전방 기념사진만 허용되며 브리핑하는 관리병에게 물어보고 사진을 찍어야 한다. 잘못하면 관리병은 정훈장교한테 털린다. 진짜 비무장지대를 보고 싶다면 한번쯤 와볼 만한 곳. 통일전망대같이 관광객이 우글거리는 곳도 아니고, 말 그대로의 온대 원시림이 펼쳐져 있는 곳이다. 여기에는 T-본 능선 전적비가 있는데, 이는 1952년 미군 1개 소대가 중공군 1개 중대를 맞아 격퇴하여 당시 미군 소대장이었던 넬리 중위가 전사한 부하 8명을 추모하기 위해 세운 비다.[* 소대급이 중대급을 맞서 승리한 대단한 전투다.] 휴전 이후 잊어졌다가 1977년 비무장지대 수색 중 발견하여 2003년부로 열쇠전망대로 이전하여 전시 중이다. 5사단, 열쇠전망대가 위치하고있는 GOP대대에는 '열쇠전망대 브리핑병' 이라는 특이한 보직이 존재한다. 이들의 주업무는 브리핑룸에 있는 사판을 이용하여 민간인, 외국인 관광객과 군 VIP들에게 사단, 비무장지대 관련 브리핑을 진행한다. 안보견학이라는 타이틀을 갖은 열쇠전망대에는 다른부대에서 견학, 정신전력 교육차원에서 자주 방문하기도 하며 특히 VIP가 많이 찾아오기 때문에 브리핑병들은 항상 긴장을 놓을수가 없다. 또한 GOP는 UNC의 관리를 받기때문에 UN군에서 정전위 확인차원에서 전망대를 방문하여 영문브리핑을 받기도 한다.[* 한미연합사도 자주 방문하여 브리핑을 듣는다.] 때문에 브리핑병들은 주로 영어가 가능한 유학출신들을 신교대에서 미리 선출하여 뽑는다. 상급부대의 어학병 같은 존재라고 생각하면 된다. GOP대대의 용사들은 열쇠전망대에서 면회를 한다. GOP인만큼 면회 외출, 외박은 불가능하지만 열쇠전망대 내에서 음식취식이 가능하다. 면회는 주말, 공휴일에 이루어지며 열쇠전망대 브리핑병들이 면회를 관리한다.[* 현재 ASF(아프리카 돼지열병), 코로나19로 인해 면회는 통제된 상태다.] == 전쟁범죄 == 5사단은 한국전쟁 개전 이전부터 존재했던 [[메이커 사단|가장 오래된 부대 중 하나]]로서 건국 초와 개전 초에 벌어진 여러 학살에 다수 연관되어 있다. 여순사건 진압작전이나 개전 이전의 빨치산 토벌전 당시 벌어진 민간인 학살은 물론이며, 국군 후퇴 과정에서 벌어진 학살과 북진 과정에서 벌어진 부역자 학살 모두에 연관되어 있다. 특히 5사단 [[대한민국 국군 군사경찰|헌병대]]는 개전 초 후퇴 도중 전라도 일대에서 벌어진 [[보도연맹 학살사건]]과 [[국군의 형무소 재소자 학살|재소자 학살]]에 적극 가담했다. 당시 사단장은 [[이응준]]. 5사단이 전쟁 초기 사단 해체 수준의 극심한 피해를 입는 와중에도 이러한 학살이 벌어졌다는 것이 특징적이다. 다만 전체적인 빈도로 보았을 때는 각 사단들보다는 국군 방첩대(CIC)와[* 방첩대, 특무부대, 또는 보안대라 불리는 CIC는 [[국군기무사령부]]의 전신이다. [[이승만]] 대통령이 확장에 직접 개입했다. 원래 국군 정보국 제2과였으나 상급기관인 정보국과는 거의 협조하지 않았고, 곧 독립했다. 이들은 한국전쟁 내내 대한민국 정부에 의해 벌어진 수많은 학살을 기획하고 또 직접 실행했으며 이승만의 정적들에 대한 정치적 테러 역시 주도했다. 특히 미군으로부터 '폭군 [[네로]]'라고도 불렸던 방첩대 사령관 [[김창룡(군인)|김창룡]]은 이승만 대통령의 전폭적인 비호를 받았기에 참모총장조차 함부로 할 수 없는 존재였다. [[대한민국 국회]]의 의원들도 방첩대가 벌이는 불법적 학살을 보고받곤 경악하여 규탄 성명을 내거나 법 개정을 통해 이들을 저지하려 시도했으나 이승만의 비호로 이들은 별다른 타격을 받지 않았다. 이들의 안하무인격인 행동은 당연히 다른 군인들의 불만을 불러왔다. 일부 군인들은 1956년에 김창룡을 암살해버렸다. 그리고 1960년 [[4.19 혁명]] 당시 군은 이승만 정권의 진압 명령을 무시하면서 시민들의 편에 선다. 출처: 김득중, "한국전쟁 전후 육군 방첩대(CIC)의 조직과 활동"] 각 지역의 [[대한민국 경찰]]이 학살에 가장 깊게 관여되어 있다. * '''[[여수·순천 10.19 사건]](함양군)''' 1948년 여순 14연대 반란 사건을 진압하는 과정에서 [[제3보병여단|3연대]] 병력이[* 당시에는 7사단 예속 전, 5여단 당시의 5사단 시절이다.] 경상남도 함양군 일대에서 경찰과 함께 민간인 학살을 벌였다. 마천향토지에 따르면 진압군의 방화로 인해 파괴된 가옥만 251호였으며 수동면과 백전면에서 도합 70명이 살해되었다. 단 이 중에서도 땅벌마을에서 벌어진 학살은 좌익 반란군이 저질렀으며 국군과 한국 경찰이 주도한 것이 아니다.[[http://hamyang.grandculture.net/hamyang/toc/GC07201312|#]] * '''함양 민간인 학살 사건''' 제1공화국 시절인 1949년부터 이듬해 3월까지 경상남도 함양군에서 벌어진 민간인 [[학살]] 사건. 위의 여순반란 당시의 학살과는 별개의 사건이지만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지역 경찰과 함께 5사단 [[제3보병여단|3연대]] 3대대가 가담하였다. 희생자 약 85명.[[http://www.grandculture.net/hamyang/toc/GC07200398|#]] * '''[[국군의 형무소 재소자 학살]]''' * '''인천소년형무소 학살 사건''' 1950년 6월 29일, 인천소년형무소에서 [[시흥지구전투사령부]]에 의해 벌어진 학살. 개전 초의 혼란을 틈타 재소자들이 탈출한다는 소식을 들은 시흥사는 5사단 [[제15보병여단|15연대]] 3대대 12중대를 보냈다. 이들은 재소자들과 일대의 주민들까지 합쳐 약 700 ~ 1,000명 가량을 학살했다.[* 출처: 신기철, "전쟁범죄", 94p] * '''전주형무소 학살 사건(1차)''' 1950년 7월 4일 같은 달 17일까지 전주형무소 재소자들을 대상으로 벌어진 학살로, 7사단 [[제3보병여단|3연대]] 헌병대와 5사단 [[제15보병여단|15연대]] 헌병대가 주도했다. 도합 약 1,600명이 살해당했다.[* 출처: 신기철, "전쟁범죄", 100p] 주의해야 할 점은 1차 학살에 한정된다는 것이다. [[전주형무소 학살 사건|2차 학살]]은 국군의 퇴각 후 전주에 들어온 [[북한군]]이 일으켰다. * '''광주형무소 학살 사건''' 1950년 7월 7일부터 같은 달 23일까지 광주형무소 재소자들을 대상으로 벌어진 학살로, 5사단 [[제20기갑여단|20연대]] 헌병대가 주도했다. 광주 일대의 [[보도연맹 학살사건]]과도 관련이 있다. 당시 학살에 참여했던 헌병대원의 증언에 따르면 5사단 사단법무부에서 명령이 하달되었다고 전해진다. 광산군 불갱이고개와 지산동 골짜기에서 재소자 1,000명이 살해당한 것으로 추정되지만, 그 외 지역 주민과 보도연맹원들까지 합하면 희생자 수는 최대 약 3,000명에 달한다고 추정된다.[* 출처: 신기철, "전쟁범죄", 101p, 136p] * '''군산형무소 학살 사건''' 1950년 7월 16일, 옥녀봉 화산 일대의 군산비행장에서 군산형무소 재소자들을 대상으로 벌어진 학살로, 5사단이 주도했다. 희생자는 약 200명이다. [* 출처: 신기철, "전쟁범죄", 112p] * '''목포형무소 학살 사건''' 1950년 7월 23일 목포형무소 재소자들을 대상으로 벌어진 학살로, [[전남도경]]이 주도했으나 5사단 역시 가담했다. 신안군 비금면 앞바다에서 벌어졌으며 희생자 약 1,400명이 전남도경의 경비선인 금강호에 실려 바다에 [[수장]]되었다. [* 출처: 신기철, "전쟁범죄", 112p, 102p] * '''[[보도연맹 학살 사건]](전라남도)''' 5사단은 한국전쟁 초기 전라남도 일대에서 벌어진 보도연맹원 학살에도 개입되어 있으며, 이는 상술한 광주형무소 사건처럼 형무소 재소자 학살과도 밀접한 연관성을 지니고 있다. 광주 이외에는 나주시 일대에서 1950년 7월 15일에 벌어진 학살에 20연대 헌병대가 확실하게 개입되어 있다. 희생자는 약 70명이다. 학살에는 [[나주경찰서]]가 조력했으나, 유일하게 [[남평역]] [[파출소|파출소장]]이었던 송 모 씨만은 30명 가량의 주민들을 '''[[오스카 쉰들러|5사단 몰래 풀어주어]]''' 더 큰 희생자가 나오는 것을 막았다.[* 출처: 신기철, "전쟁범죄" 137p] == 사건 사고 == * 심규환 상병 사망 은폐 사건 1987년 8월 20일, 육군 제5사단 35연대 4대대 소속 심규환(당시 22세) 상병이 총상으로 목숨을 잃은 일이 있었는데 육군에서 사망 사건을 은폐한 일이 있었다. 해당 기사: [[http://news.kbs.co.kr/news/view.do?ref=A&ncd=2986092|###]] * 철책 사건 2004년에서 2005년까지 두 번이나 철책이 뚫리는 바람에 수많은 간부들이 보직해임 당하는 일이 있었다. 특히 2005년 철책사건은 철책을 넘어 내려온 탈북자가 하필이면 마을 이장에게 발견되고 언론에 대서특필된 바람에 사단 간부들을 공포의 도가니로 몰아넣고, [[국군기무사령부]]에서 근무 태도 불량 여부를 집중 조사하느라 부대 전체가 [[개박살]] 나기도 했다. 인근 사단에도 [[진돗개(한국군)|국지도발 실상황]]이 걸려서 고생했다.[* 심지어 양주에 위치한 국군양주병원에도 국지도발 실상황이 걸리는 바람에 새벽부터 판초우의에 군장 내용물 죄다 짊어지고 증가초소로 튀어 올라가고 실탄이 불출되는 난리통을 겪었으니 다른 전투부대들 상황은 안 봐도 블루레이 수준.] 이 사건 이후 무인 감시 시스템이 대폭 강화되었다 한다.[* 전군 최초 무인 감시 시스템이 도입된 이유도 철책이 두 번이나 뚫렸기 때문이다.] 아무튼 이런 일로 인해 인근 다른 사단에게 '''적이 오면 문 열어주는 열쇠라서 열쇠 부대냐?'''라는 비아냥을 듣고 있다. 최근 신교대의 정신교육에서 정신을 차리지 않고 방심하면 큰일난다고 하면서 이 사건을 언급한다. 그리고 그 사건에 대한 동영상을 만들어 전 사단 예하 부대 정신교육 때 교육시키고 상기시킨다.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0311767247|05년]] * [[연천 대북전단 발원지 격파사격]]: 정확히는 [[제28보병사단]] 관할지역이지만 위치상 여기도 같이 비상이 걸렸다. * 2014년 12월 23일 27보병여단 2대대의 군의관이었던 조주용 대위가 진료 중 심정지로 순직하였다. * 2016년도 제5보병사단 관할 민통선 제3초소에 초소장 아무개 중사가 부대 내 괴롭힘으로 소총으로 자살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 위와 비슷한 시기 아무개 소령이 직접 운전으로 레토나를 몰고가 권총으로 자살하여 발견된 일이 있었다. * 2016년 말에는 수색대대 탐지소대 인원이 DMZ내 작전 중 수류탄으로 자살하는 사건이 있었다. * 2017년 9월 195포병대대에서 병사 한 명이 군대부적응 및 조울증으로 인해 자살했다. * 2023년 4월 26일 모 부대내 병사 생활관에서 대마초가 발견되었다. 이에 따라 실시된 간이마약검사에서 병사 5명에게서 양성반응이 나왔다. 병장 2명이 대마초를 구입해 택배에 숨기는 방식으로 대마초를 부대내로 반입한 것으로 드러났다. [[https://youtu.be/sn9D8cbCVfg|#]] === [[군부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집단 감염 사건|코로나-19 군부대 집단 감염 사건]] === * [[2020년]] [[11월 25일]], [[연천군]] 청산면에 위치한 제5보병사단 [[제5보병사단/신병교육대|신병교육대]]에서 발생한 사건이다.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제5보병사단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집단 감염 사건)] === 창설 74주년 기념행사 태권도 시범단 도복 논란 === 5사단이 창설74주년 기념행사를 했는데 태권도 시범단의 도복 패턴이 중국 인민해방군군복의 패턴과 유사해서 논란이 되고 있다.[[http://www.ycgm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8677|#]] === [[2023년]] [[제28보병사단|28사단]] 간호장교 영외이탈, 무단의료행위 협조 논란 === 1월 중순 경, [[제28보병사단]] 간호장교 A[[중위]]가 개인적 친분이 있던 제5보병사단 간호장교 D와 사전에 모의한 뒤 오후 1시 30분경 무단으로 근무지를 이탈하고, [[제5보병사단/신병교육대|신병교육대]]에서 군 복무 중이던 [[진(방탄소년단)|진]]에게 접근해 유행성 출혈열 2차 예방접종을 시행했다. A중위는 상부 보고 없이 무단으로 근무지를 이탈한 것이 드러났으며, 이 과정에서 D중위와의 통화를 통해 다량의 타이레놀을 주겠다고 약속한 뒤 타이레놀을 유출했다. 이에 대해 3월부터 제28보병사단, 제5보병사단, 제5군단 군사경찰대가 합동 조사를 실시했으나 아직까지 아무런 조치는 없는 상황이며, 이 사건에 대해 제28보병사단 공보정훈참모는 "감찰을 통해 일부 혐의를 확인했고 일부 사실은 당사자가 부인하는 상황이다. 법무 조사중이며 결과에 따라 법과 규정에 의거해 처리, 징계하겠다" 라는 입장을 밝혔다. === 5사단 병사 구타 논란 === [[https://www.dogdrip.net/490066393|사건요약]] 2월 말 전역한 병사에게 5군단 감찰실장인 대령[* 원글에는 해당 대령의 이름에 모자이크가 되어 있지만 '''워터마크의 이름이 모자이크가 되지 않아서''' 실명이 보이므로 주의할 것.]이 전역하는 병사를 폭행한 사건이 일어났다.[* 5사단은 원래 6군단 예하부대였으나, 6군단이 해체되면서 5군단으로 소속이 변경되었다.] 대령의 해명글에 따르면 곧 전역하는 병사의 두발이 불량하다며 이에 대한 폭언, 그리고 폭행이 이루어진 것으로 보이며 제대한 병사는 해당 대령을 고소하였는데 이에 대해서 합의금으로 '''10만원'''을 제시한 것으로 밝혀졌다. == 여담 == * [[박정희]] 前 [[대한민국 대통령]]이 [[사단장]]으로 재직한 적이 있었는데, 재임하던 기간에 [[김대중]] 前 대통령 역시 당시에 인근 [[지역구]] [[제4대 국회의원]]으로 정치 활동을 하고 있었다는 점이 흥미로운 부분이다. 1999년, 김대중 전 대통령이 열쇠전망대를 방문하여 기념비와 "전망대 언덕의 포장도로"를 남기고 갔다. 2012년 초에는 [[이명박]] 전 대통령도 다녀갔다. * 2011년 10월 14일, 난데없이 [[네이버]] 실시간 인기검색어 1위로 올라섰다. 이유는 [[비(연예인)|비]](정지훈)가 이곳으로 입대했다.[* 그 덕에 당시 육군 사단 중 가장 많은 보온팩을 보급받은 적이 있다.] 비는 제1신병교육대에서 조교임무를 수행하다가 국방홍보원 홍보지원대(연예병사)로 옮겼다. 당시 비의 조교임무는 의무실로 식사 배달 및 식사배식이었으나 몇몇 훈련병들의 호들갑(ex.월드스타가 나에게 밥을 주다니! 시전)으로 훈련병들 앞에 나서는 경우는 거의 없었다. 그리고 5사단에서 훈련병 시절 및 조교시절 다양한 에피소드가 있었던 걸로 추정된다. * [[성유리]]와 [[이훈]]이 주연한 [[MBC]]의 [[군대]] 소재 [[드라마]] [[막상막하#s-2|막상막하]]의 배경이 5사단이다. 하지만 말도 안 되는 연출로 욕을 많이 먹었다. 탄피로 내기를 한다든지, 말년병장이랍시고 위병소를 무단으로 뛰쳐나간다든지 당시 드라마를 위해 드라마에 출연한 대대가 공지 훈련을 두 번 뛰었다는 얘기가 있다. 1화, 2화의 경우 사단 차원에서 취침 시간 이후 시청을 허락해줬지만, 드라마상의 막장 행각으로 이후부터 시청이 금지된 대대도 있다. * 2014년 초부터 전 스타크래프트 1 프로게이머 [[신상문]]이 복무한 것으로 확인됐다. 복무했던 부대는 35연대 제1대대. 참고로 이 대대는 근처 장병들과 민간인들이 '슈퍼땅개'라고 부를 만큼 훈련이 많다. 철책을 만지지 않는 예비 연대이기 때문이다. 대대막사가 최신식으로 사단 내에서 가장 훌륭한 편이고 1960년대에 지어진 막사에 사는 다른 부대의 아저씨들이 행군 도중 지나가거나 중간 휴식을 취할 때면 캠퍼스라고 부를 정도지만, 정작 당사자 부대원들은 훈련 뛰느라고 막사를 쓸틈이 없다고 할 정도. * 2015년 [[내곡동 예비군 훈련장 총기 난사 사건]]의 범인인 최모씨의 출신부대이기도 하다. * 경기도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좀 덜할 것 같지만, 사실 정말 춥다. 말이 경기도지 바로 옆이 [[철원군]]이다. 대광리 일대에서 철원 정도는 가벼운 마음으로 걸어간다. 만일 밖에 나가서 정훈교육을 따로 한다 하면 정말 엎어지면 코 닿는 거리의 [[철원 노동당사]]가 그 목적지일 가능성이 높다. 게다가 중부원점이 관내에 있는데, 바꿔 말하면 [[바다]]가 멀다는 뜻이다. 즉 대륙성 기후. 겨울에 GOP로 휴가 복귀할 경우, 부대가 가까워 질수록 기온이 뚝뚝 떨어지는 경험을 할 수 있다. 마음이 추운 게 아니라 정말로 기온 차이가 심하다. GOP 초소는 산 중턱에 있기 때문이기도 하고. 잘 알겠지만 해발 고도가 높아질수록 기온은 떨어진다. 4-5월에 GOP에 있으면 하루에 사계절을 경험할 수 있다. 따뜻한 봄 볕과 함께 아침 먹고 취침했다가, 뜨거운 여름 태양 아래에서 작업하고, 선선한 가을 바람과 함께 투입했다가, 차가운 칼 바람 맞으면서 철수한다. * [[1986년]]에 공개된 [[북한 영화]]인 [[명령 027호]]에서 등장인물들이 국군으로 위장하기 위해 입은 군복에 이 부대의 부대마크가 부착되어 있다. * 사단 담당 구역의 맞은편에는 북한군 5사단이 위치하고 있다. 12년 당시 사단장의 발언에 따르면 사단장실에는 적 5사단장의 사진이 걸려있으며, 이를 보며 전시에 상대가 어떻게 행동할지 고민한다고 한다. * 2596부대가 2016년 영화 [[신과함께(영화)|신과함께]] 촬영 예정지였다. 당시 촬영지로 적합하다 판단되어 부대에 접촉이 온 듯한데, 부대 내 여건상 무산되었다. * [youtube(ht7QhyDgPvU)] * 이곳 27연대 관할인 화살머리 고지에서 유해발굴작전이 진행중이다. * 한창 북한에서 대흉년으로 사람이 죽어나가던 1996년에 북한군 부사관 2명이 귀순한 적이 있었다. 이 부사관들은 병사들이 먹던 [[짬밥]]을 허겁지겁 먹으면서 '이게 정녕 남조선 하전사들이 먹는 밥이냐?'며 경악했고 마찬가지로 북한의 상상 이상으로 열악한 현실을 두 눈으로 보고 경악한[* 당시 기준으로 부사관이었다면 최소 80년대에 출생해 성장기를 보냈을 것으로 추정되는데 그런 부사관들이 키가 160cm도 채 안되는 삐쩍 마른 몸으로 귀순하고 당시 군대에서 흔히 먹던(그조차도 짬 좀 찬 병사면 대충 먹는 시늉만 하다가 갖다 버려도 뭐라 안 할 정도의) 짬밥을 먹으며 경악할 정도면 말 다했다.] 제5보병사단 부대원들이 '북쪽 사정이 그렇게 열악하냐?'고 질문하자 '눈물나게 어렵다. 이 정도면 고급 장교들이 먹는 수준이다.'라고 증언하거나 심지어 '이렇게 잘 먹는 군대를 우리가 뭔 수로 이기냐.'고 한탄했다는 웃지 못할 일화가 있다. * [youtube(Gkw-uwhTaKc)] * 2022년 12월 13일, 신병교육대 정문이 CNN을 탔다. 그 이유는 [[방탄소년단]]의 [[진(방탄소년단)|진]]이 입소했기 때문. 다만 사전에 진 본인과 [[HYBE]]의 공지로 인해 [[A.R.M.Y]]들이 거의 방문하지 않았고 우려와는 달리 큰 혼잡은 없었다. 2022년 12월 30일 자대배치 조회 결과 진이 배치받은 자대는 5사단으로 정해졌다. * 신병교육훈련에 무인항공기를 처음으로 적용한 부대가 되었다. [[https://www.youtube.com/watch?v=EdsmI_7SokE|#]] * MBC <우정의 무대>는 1989년 7월 29일, 1993년 11월 7일, 1997년 1월 26일에 총 3번 다루어졌고, KBS1 는 [[https://youtu.be/aiu-I-cdzRU|2000년 2월 21일]], [[https://youtu.be/lMafdM_hgjA|2001년 1월 29일]] 및 11월 26일, 2002년 5월 6일 총 4번, <청춘 신고합니다>는 [[https://youtu.be/j0dLZ1pef60|2003년 12월 29일]] 및 [[https://youtu.be/m3bvjbNpV28|2006년 5월 26일]], MBC <리얼입대 프로젝트 진짜 사나이> 2014년 6월 1일 ~ 22일 방영분에서 각각 다루어졌다. * 2023년 12월 12일 [[방탄소년단]]의 [[지민]] 및 [[정국(방탄소년단)|정국]]이 5사단 신병교육대로 입소할 예정이라는 기사가 떴다.[[https://entertain.naver.com/read?oid=433&aid=0000099253|#]] [[분류:제5보병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