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여단)] [include(틀:보병여단)] [include(틀:제50보병사단 예하부대)] ||<-7> '''{{{#fff {{{+1 제501보병여단}}}}}}'''[br]'''{{{#fff 第501步兵旅團}}}'''[br]'''{{{#fff The 501st Infantry Brigade}}}''' || ||<-7> [[파일:제50보병사단 부대마크.svg|width=300]] || ||<-7> '''{{{#fff }}}''' || || '''{{{#fff 창설일}}}''' ||<-6>[[1981년]] [[10월 16일]]('''제501보병여단''') || || '''[[상징명칭|{{{#fff 상징명칭}}}]]''' ||<-6>'''501여단''' || || '''{{{#fff 소속}}}''' ||<-6>[[대한민국 육군]] || || '''{{{#fff 상급부대}}}''' ||<-6>[[제50보병사단]] || || '''{{{#fff 규모}}}''' ||<-6>[[여단]] || || '''{{{#fff 역할}}}''' ||<-6>[[대구광역시]] 방위 || || '''[[여단장|{{{#fff 여단장}}}]]''' ||<-6>[[대령]] 곽용선 || || '''{{{#fff 위치}}}''' ||<-6>[[대구광역시]] [[북구(대구)|북구]] || ||<-7>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대구 제50보병사단, 너비=100%, 높이=100%)]}}}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 육군]] [[제2작전사령부]] [[제50보병사단]] 예하 '''제501보병여단'''. == 특징 == [[대구광역시]]를 관할하며 1대대 제외 2개 구(군)이 하나의 대대 작전지역으로 설정되어 있다. [[여단장]]은 [[대령]]이며 예하 대대장은 [[중령]]급 지휘관이다. 예하의 대대으로 총 4개 대대가 존재한다. 501여단의 대부분의 일과는 예비군 훈련으로 진행되며, 예비군 훈련이 없는 동안엔 부대정비가 전부였지만 부대개편으로 예비군훈련대가 창설되며 옛 이야기가 되었다. == 예하부대 == === 여단직할대 === * '''[[본부중대]]''' * '''[[기동중대]]''' * '''[[통신중대]]''' === 군수지원대대 (舊 수송대) === 2020년 12월 [[국방개혁 2.0]]으로 인해 [[연대(군대)|연대]]에서 [[여단]]급으로 격상되면서 수송대가 해체되며 [[군수지원대대]]가 창설되었다. === 예비군 훈련대 === 북구에 위치한 대구 제1예비군훈련장(舊 북구훈련장)과, 대구 제2예비군훈련장(舊 달서구훈련장)을 관할한다. 북구, 중구, 서구, 달서구, 군위군 지역 예비군 훈련을 담당한다. === 2024년 이후 === 2024년 부대개편으로 인하여, 기존의 4,6,7대대는 해체되어 해당 작전 지역이 존속 대대에게 이관되었으며, 기존의 5대대가 새로이 통합 4대대로 출범하였다. 또한 예비군훈련대가 창설되었다. ==== 제1대대 북구/중구/서구 ==== 1대대는 [[대구광역시]] 북구, 중구, 서구를 관할한다. ==== 제2대대 동구/군위군 ==== 2대대는 [[대구광역시]] 동구, 군위군을 관할한다. 대구 제3예비군훈련장을 3대대와 공동으로 사용하며 동구 지역 예비군 훈련을 담당한다. ==== 제3대대 남구/수성구 ==== 3대대는 [[대구광역시]] 남구, 수성구를 관할한다. 동구에 위치한 대구 제3예비군훈련장(舊 수성구훈련장)을 관할하며 남구, 수성구 지역 예비군 훈련을 담당한다. ==== 제4대대 달서구/달성군 ==== 4대대는 [[대구광역시]] 달서구, 달성군을 관할한다. === 2023년 이전 === ====# 제1대대 북구 #==== 1대대는 [[대구광역시]] 북구를 관할한다. 사단사령부 영내([[북구(대구광역시)|북구]] 학정동)에 훈련장이 있다. ====# 제2대대 동구 #==== 2대대는 [[대구광역시]] 동구를 관할한다. [[동구(대구광역시)|동구]] 능성동에 훈련장이 있다. 중요시설과 다중이용시설이 동구에 몰려있어 훈련시에 꽤 머리가 아프다 ====# 제3대대 수성구 #==== 3대대는 [[대구광역시]] 수성구를 관할한다. [[동구(대구광역시)|동구]] 능성동에 훈련장이 있다. ====# 제4대대 중구/남구 #==== 4대대는 [[대구광역시]] 중구와 남구를 관할한다. [[동구(대구광역시)|동구]] 능성동에 훈련장이 있다. 통칭 중남구대대라 명명한다. 2023년 10월 23일 부로 해체되어 역사속으로 사라지게 되었다. ====# 제5대대 달서구 #==== 5대대는 [[대구광역시]] 달서구를 관할한다. 사단사령부 영내([[북구(대구광역시)|북구]] 학정동)에 훈련장이 있다. ====# 제6대대 서구 #==== 6대대는 [[대구광역시]] 서구를 관할한다. [[동구(대구광역시)|동구]] 능성동에 훈련장이 있다. 2023년 10월 23일부로 해체되어 역사속으로 사라지게 되었다. ====# 제7대대 달성군 #==== 7대대는 [[대구광역시]] 달성군을 관할한다. [[달성군]] 논공읍 금포리에 훈련장이 있다. 2023년 10월 23일부로 해체되어 역사속으로 사라지게 되었다. == 출신인물 == === [[여단장]] === ||'''볼드체'''는 [[대장(계급)|대장]] 진급이 된 여단장.|| ||<-6> '''{{{#ffffff 역대 제501보병여단장}}}''' || || '''{{{#ffffff 역대}}}''' || '''{{{#ffffff 이름}}}''' || '''{{{#ffffff 계급}}}''' || '''{{{#ffffff 임관}}}''' || '''{{{#ffffff 비고}}}''' || '''{{{#ffffff 기타}}}''' || || 초대 || 000 || 예) [[대령]] || [[육군사관학교|육사]] 00기 ||前 [[여단장]] || || || 00대 || 이윤규 || 예) [[대령]] || [[육군사관학교|육사]] 34기 ||前 [[여단장]] || || || 18대 || 선종률 || 예) [[대령]] || [[육군사관학교|육사]] 37기 ||前 [[여단장]] || || || 19대 || 이재준 || 예) [[대령]] || [[육군사관학교|육사]] 00기 ||前 [[여단장]] || || || 20대 || 이기덕 || 예) [[준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39기 ||前 [[전투지휘훈련단]]장 || || || 00대 || 김정수 || 예) [[대령]] || ||前 [[여단장]] || || || 00대 || 박성팔 || 예) [[대령]] || ||前 [[육군훈련소]] [[23신병교육연대]]장[br]前 [[여단장]] || || || 26대 || 한용희 || 예) [[대령]] || ||前 [[여단장]] || || || 27대 || 김성안 || [[대령]] || ||前 [[여단장]] || || || 00대 || 고영준 || [[대령]] || [[육군사관학교|육사]] 51기 ||前 [[여단장]] || || || 00대 || 정재학 || [[대령]] || [[육군사관학교|육사]] 49기 ||前 [[여단장]] || || || 00대 || 서대석 || [[대령]] || [[육군3사관학교|3사]] ||現 [[제50보병사단|50사단]] 작전부사단장 || || || 00대 || 최창학 || [[대령]] || [[학군사관|학군]] || || || || 00대 || 곽용선 || [[대령]] || [[육군사관학교|육사]] 00기 ||現 [[여단장]] || || === 장교/부사관 === === 병 === == 기타 == === 근무환경 === 훈련이라 해봤자 거의 모든 부대가 하는 훈련들로서 그마저도 [[예비군 훈련]]과 시기가 겹치면 사라지는 경우가 대다수. 다만, 이는 2024년 부대개편으로 인하여 예비군 훈련을 담당하지 않는 1대대와 4대대는 이전에 비해 훈련이 늘게 되었다. 2, 3대대는 2023년 이전과 유사하게 일과가 진행된다. 2022년 기준으로 사단장, 여단장이 바뀜과 동시에 거의 매달 훈련이 잡혀있으며, 훈련마다 무조건 철야를 하고, 특급전사, 사격특급 외에는 거의 모든 휴가제도가 폐지된 부대가 되었다. (취사병은 전투휴무 쓰지도 못하는데 휴가 대신 전투휴무로 대체됨) 육본의 제 3차 병 휴대전화 사용시간 확장 시범운영 부대로 50사단이 선정되어 '23.7.10일부로 아침점호~21:00까지 휴대폰 사용시간이 연장되었다. === 여단가 === == 사건 사고 == == 여담 == * 2작전사 최초로 마일즈 훈련(ktct)을 이곳 1대대에서 시범식 교육으로 진행했었고 홍보영상도 촬영했다. * 또한 2작전사 최초로 한미연합 마일즈훈련을 이곳 3대대에서 진행하였다. [[분류:대한민국 육군]][[분류:제50보병사단]][[분류: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