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2023년]] 개최하는 [[오청원배 세계 여자 바둑 선수권 대회]]. == 본선 == ||<:> '''{{{#000 국가 구분}}}''' ||<:><-2> {{{#000 '''출전 선수''' ('''굵은 글씨'''는 16강전 부터 시작)}}} ||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대한민국]] ||'''[[오유진(바둑기사)|오유진]]'''([[제5회 오청원배 세계 여자 바둑 선수권 대회|전기]] 우승), '''[[최정(바둑기사)|최정]]''', '''[[김채영]]'''(이상 랭킹시드)[br][[정유진(2006)|정유진]](선발전 통과자), [[김경은]](국가대표 상비군 시드) || || [[중국|[[파일:중국 국기.svg|width=20]] 중국]] ||'''[[왕천싱]]'''([[제5회 오청원배 세계 여자 바둑 선수권 대회|전기]] 준우승), '''[[위즈잉]]''', [[저우홍위]], 팡뤄시, 리샤오시,[br]가오싱, 우이밍, 탕자원(이상 국가 시드), 리허(와일드카드) || || [[일본|[[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일본]] ||'''[[우에노 아사미]]''', [[후지사와 리나]][br][[뉴 에이코]], [[나카무라 스미레]] || || [[대만|[[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width=20]] 대만]] ||'''루위화''', '''위리쥔'''(와일드카드) || ||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미국]] ||펑윈, 인밍잉 || || [[헝가리|[[파일:헝가리 국기.svg|width=20]] 헝가리]] ||리타 포차이(Rita Pocsai) || || [[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0]] 프랑스]] ||아리안 우지에(Ariane Ougier) || === 24강 === * 날짜 : 6월 9일 * 장소 : 중국 푸저우, 온라인 * 중계 : [[바둑TV]](이유민, [[송태곤]] 九단), [[K바둑]](장혜연, 이상헌 五단) ##<#97ecab,#006118>## ||<:><-5> {{{#000 '''24강''' (2023년 6월 9일 13시([[대한민국 표준시|{{{#000 KST}}}]], [[일본 표준시|{{{#000 JST}}}]]) / 12시([[중국 표준시|{{{#000 CST}}}]], NST) 개시) }}} || || [[파일:중국 국기.svg|width=25]] || 리샤오시 || 296수 백 2집반 승 ||<#97ecab,#006118> '''후지사와 리나''' ||<#97ecab,#006118> [[파일:일본 국기.svg|width=25]] || ||<#97ecab,#006118> [[파일:중국 국기.svg|width=25]] ||<#97ecab,#006118> '''가오싱''' || 212수 백 불계승 || 김경은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5]] || ||<#97ecab,#006118>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97ecab,#006118> '''인민밍''' || 146수 백 불계승 || 리타 포차이 || [[파일:헝가리 국기.svg|width=25]] || ||<#97ecab,#006118> [[파일:중국 국기.svg|width=25]] ||<#97ecab,#006118> '''팡뤄시''' || 93수 훅 불계승 || 아리안 우지에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 || [[파일:중국 국기.svg|width=25]] || 탕자원 || 240수 백 불계승 ||<#97ecab,#006118> '''뉴 에이코''' ||<#97ecab,#006118> [[파일:일본 국기.svg|width=25]] || ||<#97ecab,#006118> [[파일:중국 국기.svg|width=25]] ||<#97ecab,#006118> '''저우홍위''' || 286수 백 불계승 || 펑윈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 ||<#97ecab,#006118> [[파일:중국 국기.svg|width=25]] ||<#97ecab,#006118> '''우이밍''' || 166수 백 불계승 || 나카무라 스미레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5]] || || [[파일:중국 국기.svg|width=25]] || 리허 || 193수 흑 불계승 ||<#97ecab,#006118> '''정유진''' ||<#97ecab,#006118>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5]] || === 16강 === * 날짜 : 6월 10일 * 장소 : 중국 푸저우, 온라인 * 중계 : [[바둑TV]](이유민, [[송태곤]] 九단), [[K바둑]](장혜연, 이상헌 五단) ||<:><-5> {{{#000 '''16강''' (2023년 6월 10일 13시([[대한민국 표준시|{{{#000 KST}}}]], [[일본 표준시|{{{#000 JST}}}]]) / 12시([[중국 표준시|{{{#000 CST}}}]], NST) 개시) }}} || ||<#97ecab,#006118> [[파일:중국 국기.svg|width=25]] ||<#97ecab,#006118> '''저우홍위''' || 181수 흑 불계승 || 오유진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5]] || || [[파일:중국 국기.svg|width=25]] || 우이밍 || 156수 백 불계승 ||<#97ecab,#006118> '''최 정''' ||<#97ecab,#006118>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5]] ||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 인밍잉 || 193수 흑 불계승 ||<#97ecab,#006118> '''김채영''' ||<#97ecab,#006118>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5]] || ||<#97ecab,#006118> [[파일:일본 국기.svg|width=25]] ||<#97ecab,#006118> '''후지사와 리나''' || 232수 백 불계승 || 왕천싱 || [[파일:중국 국기.svg|width=25]] ||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5]] || 정유진 || 212수 백 불계승 ||<#97ecab,#006118> '''위즈잉''' ||<#97ecab,#006118> [[파일:중국 국기.svg|width=25]] || ||<#97ecab,#006118> [[파일:중국 국기.svg|width=25]] ||<#97ecab,#006118> '''팡뤄시''' || 242수 백 불계승 || 루위화 ||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width=25]] || ||<#97ecab,#006118> [[파일:일본 국기.svg|width=25]] ||<#97ecab,#006118> '''뉴 에이코''' || 164수 백 불계승 || 위리쥔 ||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width=25]] || || [[파일:중국 국기.svg|width=25]] || 가오싱 || 281수 흑 불계승 ||<#97ecab,#006118> '''우에노 아사미''' ||<#97ecab,#006118> [[파일:일본 국기.svg|width=25]] || === 8강 === * 날짜 : 6월 11일 * 장소 : 중국 푸저우, 온라인 * 중계 : [[바둑TV]](이유민, [[송태곤]] 九단), [[K바둑]](장혜연, 이상헌 五단) ##<#97ecab,#006118>## ||<:><-5> {{{#000 '''8강''' (2023년 6월 11일 13시([[대한민국 표준시|{{{#000 KST}}}]], [[일본 표준시|{{{#000 JST}}}]]) / 12시([[중국 표준시|{{{#000 CST}}}]], NST) 개시) }}} || ||<#97ecab,#006118>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5]] ||<#97ecab,#006118> '''최 정''' || 189수 흑 불계승 || 우에노 아사미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5]] ||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5]] || 김채영 || 156수 백 불계승 ||<#97ecab,#006118> '''저우홍위''' ||<#97ecab,#006118> [[파일:중국 국기.svg|width=25]] || || [[파일:중국 국기.svg|width=25]] || 위즈잉 || 160수 백 불계승 ||<#97ecab,#006118> '''후지사와 리나''' ||<#97ecab,#006118> [[파일:일본 국기.svg|width=25]] || ||<#97ecab,#006118> [[파일:중국 국기.svg|width=25]] ||<#97ecab,#006118> '''팡뤄시''' || 325수 흑 5집반승 || 뉴 에이코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5]] || === 준결승 === * 날짜 : 11월 30일 * 장소 : 중국 푸저우 오청원회관(준결승전부터 '''대면 대국'''으로 진행한다.) * 중계 : [[바둑TV]] (류승희, [[송태곤]])[*동시 농심배와 같이 중계한다.] / [[K바둑]] (장혜연, 이상헌) ##<#97ecab,#006118>## ||<:><-5> {{{#000 '''4강''' (2023년 11월 30일 13시([[대한민국 표준시|{{{#000 KST}}}]], [[일본 표준시|{{{#000 JST}}}]]) / 12시([[중국 표준시|{{{#000 CST}}}]], NST) 개시) }}} || ||<#97ecab,#006118>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5]] ||<#97ecab,#006118> '''최 정''' || 293수 흑 불계승 || 팡뤄시 || [[파일:중국 국기.svg|width=25]] || || [[파일:중국 국기.svg|width=25]] || 저우홍위 || 185수 흑 불계승 ||<#97ecab,#006118> '''후지사와 리나''' ||<#97ecab,#006118> [[파일:일본 국기.svg|width=25]] || * 최정은 팡뤄시를 상대로 우변의 대마를 압박했고 팡뤄시는 패를 통해서 상황 반전을 노리면서 치열한 패 공방이 펼쳐졌다. 이 과정에서 정확한 수순으로 팡뤄시의 흔들기를 방어해내고 승리를 거두며 결승에 진출했다. * 후지사와 리나는 저우홍위의 대마를 잡는 화끈한 승리를 거뒀다. 후지사와 리나는 이번이 첫 여자 세계대회 결승 진출이다. === 결승 === * 날짜 : 12월 2일 ~ 4일 * 장소 : 중국 푸저우 오청원회관(13시([[대한민국 표준시|KST]]) / 12시([[중국 표준시|CST]]) 개시) * 중계 : [[바둑TV]](1~2국 - [[김여원]], [[송태곤]])[*동시] / [[K바둑]](장혜연, 이상헌) ##<#97ecab,#006118>## ||<-6><#000> '''{{{#fff 제6회 오청원배 세계 여자 바둑 선수권 대회}}} {{{#gold 결승 3번기}}}''' || || [[파일: 대한민국 국기.svg|width=25]] || '''[[최정(바둑기사)|최 정]]''' || {{{+1 '''2'''}}} || {{{+1 '''0'''}}} || [[후지사와 리나]]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5]] || ||<-6>{{{#!wiki style="margin: -16px -11px ;" ||<:> '''{{{#000 대국}}}''' ||<:> '''{{{#000 일정}}}'''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 font-size: .9em" {{{#fff 흑번}}}}}}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9em" {{{#000 백번}}}}}} ||<:> '''{{{#000 결과}}}''' || || 1국 || 2023년 12월 2일 || '''최 정''' || 후지사와 리나 || 163수 흑 불계승 || || 2국 || 2023년 12월 3일 || 후지사와 리나 || '''최 정''' || 158수 백 불계승 || || 3국 || 2023년 12월 4일 ||<-3> 2:0 종료로 해당 사항 없음 || || '''{{{#000 우승}}}''' ||<-4>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최정(바둑기사)|최정]] 九단''' (오청원배 세 번째 우승) ||}}}|| 제6회 오청원배 결승은 [[한일전]] 대결로 펼쳐지게 됐다. 한국 여자랭킹 120개월 연속 1위를 달리고 있고 동시에 세계 여자바둑 랭킹 1위를 차지하고 있는 '바둑 여제' [[최정(바둑기사)|최정]] 九단과 일본 여자바둑 강자 중 한 명으로 일본 여자기전 통산 23회 우승을 기록한 [[후지사와 리나]] 六단의 대결로 펼쳐진다. 최정은 봄에 열렸던 센코배에 이어 2023년 두 번째 여자 세계대회 우승이자, 오청원배 세 반째, 통산 8번째 여자 셰계대회 우승에 도전하며 여자 세계대회 첫 결승에 진출한 후지사와 리나는 첫 세계대회 우승에 도전한다. 결과는 최정이 2연승으로 깔끔하게 마무리하며 '''오청원배 통산 세 번째 우승'''을 달성했다. 최정은 1국에서 초반부터 후지사와 리나의 발이 느린 틈을타 발빠르게 실리를 차지하며 초반부터 압도적인 우세국면을 가져간 끝에 완승을 거뒀고, 2국에서는 팽팽한 상황으로 시작했으나 좌하에서 후지사와 리나의 무리수가 나오자 그것을 응징하고, 마지막엔 후지사와 리나의 대마를 잡는 결과로 만들어내어 두 판 모두 완벽한 내용으로 자신의 통산 8번째 여자 세계대회 우승을 달성했다. [[분류:오청원배 세계 여자 바둑 선수권 대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