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상징명칭(독수리)이 같은 부대, rd1=독수리부대, other2=웹툰 취사병 전설이 되다의 배경 부대, rd2=취사병 전설이 되다(웹툰)/등장인물/제60보병연대)] [include(틀:여단)] [include(틀:기계화보병여단)] [include(틀:제8기동사단 예하부대)] ||<-7> '''{{{#feef00 {{{+1 제60기계화보병여단 }}}}}}'''[br]'''{{{#feef00 第六十機械化步兵旅團}}}'''[br]'''{{{#feef00 The 60th Mechanized Infantry Brigade}}}''' || ||<-7> [[파일:제8기동사단 부대마크.svg|width=200]] || ||<-7> '''{{{#feef00 }}}''' || || '''{{{#feef00 창설일}}}''' ||<-6><(> [[1983년]]('''제60기계화보병여단''') || || '''[[상징명칭|{{{#feef00 상징명칭}}}]]''' ||<-6><(> '''독수리부대''' || || '''{{{#feef00 소속}}}''' ||<-6><(> [[대한민국 육군]] || || '''{{{#feef00 상급부대}}}''' ||<-6><(> [[제8기동사단]] || || '''{{{#feef00 규모}}}''' ||<-6><(> [[여단]] || || '''{{{#feef00 역할}}}''' ||<-6><(> 공격 부대, 전시 진격 || || '''[[여단장|{{{#feef00 여단장}}}]]''' ||<-6><(> [[대령]] 류연호([[학군장교|학군]] 38기) || || '''{{{#feef00 위치}}}''' ||<-6><(> [[경기도]] [[양주시]] || ||<-7>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양주시 제8기동사단, 너비=100%, 높이=100%)]}}}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 육군]] [[제7기동군단]] [[제8기동사단]]예하 '''제60기계화보병여단'''. 별칭은 '''독수리부대'''. [[경기도]] [[양주시]]에 위치하고 있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zhgfw4uLBRQ)]}}}|| || 제60기계화보병여단 훈련 뉴스 || == 소개 == 20사단 예하의 60여단은 사단에서 유일하게 한강이북에 주둔하는 부대이다. 독립여단 수준의 파견부대(사단 정비대대와 방공대대의 각 중대가 같이 나와 있다)로서 정비, 보급은 인근 보급대에서 직접받는다. 또한, 사단 내 전차대대가 2곳인 유일한 여단이다 직제상 7군단 20사단 소속이며 지역적으로 6군단 소속이기 때문에 양쪽의 훈련을 병행해서 받는 경우가 많아 훈련이 매우 많은 편이다. 대략 3주에 한 번씩 훈련을 진행하기 때문에 군 생활이 정말 빨리 흘러가는 곳 중 하나이며, 훈련이 없는 주에도 정신교육주간이나 부대정비, 행군 같은 것을 끼워넣기 때문에 미칠 듯한 군생활 사이클을 즐길 수 있다. 2018년 12월부로 제60여단은 26사단이 8사단에 흡수 개편되면서 8사단에 배속되었다. === 부대역사 === 1983년 경기도 양평 용문에 주둔한 20사단 60연대가 양주 덕정의 제3기갑여단 예하부대를 인수하여 60기계화보병여단으로 창설됨. [* 참고: 제3기갑여단을 그 후 해체 하였다가 1988년 상무대에서 러시아 장비로 재창설됨] * 제107기계화보병대대 코뿔소 1980년 제3기갑여단에서 창설 1983년 제3기갑여단에서 20사단으로 예속변경 2018년 12월 제20사단에서 8사단으로 예속변경 * 제26전차대대 악어 1980년 제3기갑여단에서 창설 1983년 제3기갑여단에서 20사단으로 예속변경 1995년 하반기 K242 4.2인치 박격포 차량 실전배치 1995년 하반기 화기소대(대대지원 4.2인치 박격포) 창설 2018년 12월 제20사단에서 8사단으로 예속변경 * 제32전차대대 강병 1981년 205차량화보병대대 창설 1983년 용문에서 양주 덕정으로 부대이동 1986년 20사단 제205차량화보병대대가 제20사단 제32전차대대 창설되며 변경됨. 1986년 4월 27일 전군 최초 K1 전차 전력화 1995년 하반기 K242 4.2인치 박격포 차량 실전배치 1995년 하반기 화기소대(대대지원 4.2인치 박격포) 창설 2018년 제20사단에서 8사단으로 예속변경 2020년 4월 27일 전군 최초 국산화 엔진 탑재 K2 전차 전력화 * 방공대대 파견중대 * 공병,의무,통신 파견소대가 여단본부에 있음 == 편제 == === 여단직할대 === * [[본부중대]] * [[통신중대]] * [[의무중대]] === 제60기계화여단 군수지원대대 === 한편으로 주말 외출을 하는 경우 [[의정부시]]까지가 [[위수지역]]이라 같은 [[경기도]]의 [[포천시]], [[연천군]]과 [[강원도]] 일대에 있는 다른 육군 부대보다 외출 여건이 좋은 편이다. 멀티플렉스 영화관과 클럽과 술집과 먹거리 등 놀 만한 게 풍족해서 소대 단체 외출을 나가면 각자 하고 싶은 게 다 다를 정도. ~~그리고 서울로 점프하기도 좋다.~~ ~~덕정역에서 G1300 타면 바로 잠실까지 50분도 채 안걸린다 카더라~~ 26전차대대에 헬기착륙장이 있어 사단장이 헬기를 타고 방문하는 경우가 있다. ~~윤읍읍 시절 군단장이 자주 다녀갔다...~~ 26기계화사단 보급수송대대와 20기계화사단 정비대대 1개중대로 창설 === 제26전차대대 악어 === [include(틀:전차대대)] 경기도 [[양주시]] [[봉양동]]에 위치. K2 흑표 운용. 1980년 제3기갑여단에서 창설됨(3기갑여단은 추후에 해체되었다가 강원도 홍천에서 재창설됨) 1983년 제3기갑여단에서 20사단으로 예속변경 2018년 12월 제20사단에서 8사단으로 예속변경 60여단 3개 대대 중에서 평지에 위치하여 비교적 여건이 낫다. 여단 본부와 길 하나를 두고 떨어진 만큼 상대적으로 편함 K2 전군 최초 전력화 (단, 간부편제로 운용) 26전차대대에 헬기착륙장이 있어 사단장이 헬기를 타고 방문하는 경우가 있다. 26전차대대는 60여단이 하나의 담 안에 있다면 유일하게 길하나를 사이에 두고 따로 떨어져 있는 신규 부지다. 따라서 종교행사를 위해서는 천주교는 여단 본부대 옆 성당에, 기독교는 32-107 통합 막사 뒤 식당 옆 교회에, 불교는 60여단 본부대 위병소 바로 밖에 있는 절로 이동할 수밖에 없고, 60여단 내에 있는 다른 부대와 달리 밖에 있기 때문에 종교행사 희망자가 대부분 26전차 대대와 가장 가까운 107기보 옆에 있는 교회로 많이 종교활동을 갔다. 기계화편성 여단 특성상 영내가 굉장히 컸기 때문에 도보로 이동 할 수 밖에 없는 상황상 교회를 제외한 나머지 종교활동은 최소 인원수가 차지 않으면 보내질 않았다. === 제32전차대대 강병 === [include(틀:전차대대)] 경기도 [[양주시]] [[봉양동]]에 위치. K2 흑표 운용. 1986년 제20사단 제205차량화보병대대가(구:60연대1대대) 제32전차대대 창설되며 변경됨. 1986년경 신형 K1 전차 최초 배치 시작 K1 전차 최초 완편대대 2018년 제20사단에서 8사단으로 예속변경 2020년 4월 27일, K2 전차 2차분(국산화 엔진 탑재)이 첫 배치됨.[[http://kookbang.dema.mil.kr/newsWeb/m/20200428/2/BBSMSTR_000000010058/view.do?nav=0&nav2=0|#]] 2020년 9월 K2 전차 완편 === 제107기계화보병대대 코뿔소 === 경기도 [[양주시]] [[봉양동]]에 위치. K21 장갑차 운용. 1980년 제3기갑여단에서 창설됨(3기갑여단는 추후에 해체되었다가 강원도 홍천에서 재창설됨) 1983년 제3기갑여단에서 20사단으로 예속변경되면서 20사단 60연대 2대대를 계승 2018년 제20사단에서 8사단으로 예속변경 == 출신인물 == === [[여단장]] === ||<-8> '''{{{#feef00 역대 제60기계화보병여단장}}}''' || || '''{{{#feef00 역대}}}''' || '''{{{#feef00 이름}}}''' || '''{{{#feef00 계급}}}''' || '''{{{#feef00 임관}}}''' || '''{{{#feef00 비고}}}''' || '''{{{#feef00 기타}}}''' || || 초대|| 이옹화 || 예) [[소장(계급)|소장]] || ||前 [[여단장]] || || || 03대 || [[채명신]] || 예) [[중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5기 ||前 [[제2작전사령관]], 주월한국군사령관 || || || 39대 || [[오정석]] || 예) [[중장]] || [[육군3사관학교|3사]] 10기 ||前 [[제2작전사령부 부사령관]]장 || || || 48대 || '''[[안병석]]''' || '''예) [[대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45기 ||前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 || || || 49대 || [[함희성]] || [[소장(계급)|소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46기 ||前 [[제2작전사령부]] 부사령관 직무대리 || || || 00대 || 오범균 || [[대령]] || [[육군3사관학교|3사]] 31기 ||前 [[여단장]] || || || 00대 || 김성하 || [[대령]] || [[학사장교|학사]] 30기 ||前 [[여단장]] || || || 00대 || 류연호 || [[대령]] || [[학군장교|학군]] 308 ||현재 [[여단장]] || || === 장교/부사관 === * [[노태우]]: 육사 11기, [[전두환]]과 함께 하나회의 주축인 그 사람 맞다. 당시 예하부대였던 보병연대 시절 60연대1대대에서 68~68 짧게 대대장을 역임하였다. * [[박찬주(군인)|박찬주]]: 육사 37기, 기갑병과 최초의 대장이며 대위 시절 여단 예하의 제32전차대대에서 중대장으로 복무하였다. * [[최장식]]: 학군 30기[* 영남대학교], 대위 시절 제32전차대대에서 중대장으로 복무하였다. 현 계급 육군 소장, 現 [[수도기계화보병사단]]장, [[제20기갑여단]]장, [[대한민국 육군본부|육군본부]] 정보작전참모부장 직무대리 역임. === 병 === == 기타 == === 근무환경 === 한편으로 주말 외출을 하는 경우 [[서울시]] [[성북구]], [[노원구]] 일대까지가 [[위수지역]]이라 같은 [[경기도]]의 [[포천시]], [[연천군]]과 [[강원도]] 일대에 있는 다른 육군 부대보다 외출 여건이 좋은 편이다. 멀티플렉스 영화관과 클럽과 술집과 먹거리 등 놀 만한 게 풍족해서 소대 단체 외출을 나가면 각자 하고 싶은 게 다 다를 정도. 시설 자체는 그럭저럭 잘 유지되는 편으로, 단층 일자형 막사가 거의 대부분이지만 나름 [[사이버 지식 정보방|싸지방]]도 있고 노래방도 있고 PX규모도 크고 [[오락실]]에 대에 [[헬스장]]에 사제 코인[[세탁기]]도 있는 만큼 장병 복지는 잘 챙기는 편. ~~물론 가보면 상병장들밖에 없다.~~ 일단 3개 여단 중에서 가장 먼저 시설 리모델링이 된 곳으로, 대략 1990년대 후반에 완공되었다. 107대대는 2015년 11월부로 신막사 재건 했다. 그전에는 폐막사급 구막사였으며 당구대는 그림의 떡도 아닌 그림조차 없었다. 26전차대대 또한 2020년도부터 신막사 리모델링 공사를 시작하여 2021년 3월 완공을 하였다. === 훈련 === 주로 60여단 예하대대는 6군단의 [[다락대 훈련장]]을 이용한다. 또한 포천 일대에 거대 기동사격훈련장이 있어 그곳에서 화력시범을 보이거나 공중지상합동훈련을 진행한다. '''뉴스나 동영상으로 종종 유포되는 그 훈련장, 그 전차 화력시범을 할 때마다 동원되는 여단이다. 게다가 가끔 대통령도 참관하러 온다!''' 그래서 훈련 갔다 오고 난 후에도 훈련 정비 때문에 1주일이나 소모하는 기이한 부대. 훈련이 끝난 후 손에손에 칫솔을 들고 궤도를 닦고 있는 중대원들을 보다보면... 덕분에 매년 초마다 ~~북한이 거품 물며 하지 말라고 외치는~~ 한미합동훈련 때에는 미 육군의 장갑차나 전차, 장비 등을 구경해 볼 수 있다. 대개 [[미군]]과 호흡을 맞추며 기동하거나 미군 대 한국군 모의전투훈련을 하며~~그리고 처참히 발린다.~~ 처음에는 서로 데면데면하지만 좀만 친해지면 '''미 육군의 전차에 탑승'''해보기도 하고 '''미 육군의 마일즈 장비'''를 써볼 수도 있으며 '''미 육군의 M4를 들고 사격'''해 볼 수도 있고[* 맨날 K-2소총만 들다가 M4를 들어보면 신세계를 체험해 볼 수 있다. 가볍고 짧고 잘 맞는 데다가, 총기를 직접 커스터마이징할 수 있는 미군 총기 특성상 도트사이트나 [[ACOG]], 각종 그립, [[피카티니 레일]]도 구경해 볼 수 있다. ~~신세계~~ ] '''미 육군의 레스토랑급 식당에서 미 육군과 같이 식사'''를 해 볼 수도 있다. 서로 전투식량을 교환해 먹어볼 수 있는 건 덤. 사단급 훈련(대표적으로 전투사격 훈련)을 실시할 때는 장비를 기차에 결박하여 양평으로 이동, 훈련에 참여한다. 인근의 6군단 직할 5기갑여단에서 가상훈련을 함께 하기도 하며 [[미 육군]]들과도 교류한다. 더욱이 지역적으로 수기사와 가까워 수기사 훈련에 60여단이 대항군으로 차출된다. 2002년, 60여단이 수기사 전체를 이겨버리는 사건이 발생하였다. 양평의 사단장이 직접 60여단을 환송하는 일이 발생하였다. 유격훈련 시에는 칠봉산에서 훈련받고 있다. 20사단 직할대, 61여단, 62여단, 포병여단은 용문산에서 유격훈련받는 게 일반적. 한편으로 훈련도 많고 훈련동원도 자주되는 부대 특성상, 시기가 잘못되면 '''혹한기 훈련을 4번이나 뛴다.''' 대대 혹한기 훈련, 여단 혹한기 훈련 혹은 사단 혹한기 훈련, 수기사 혹한기 훈련에서 대항군으로 차출, 매년 초 한미합동훈련까지... 심지어 어느 해에는 한미합동훈련이 끝나는 2월 4째주가 돼서야 부대장이 장병들을 모아놓고 신년사를 하기도 했다. ~~그만큼 훈련 많은 부대~~ == 사건 사고 == * 1980년 [[5.18 민주화운동]] 당시 신군부의 지시로 같은 사단 [[제61기계화보병여단|61연대]], 62연대(구 62기보여단)와 함께 광주에 투입되어 [[1번 국도|광주-목포간 도로]]를 차단한 후 민간인을 학살했다. == 여담 == * 미 육군 부대 안에서는 [[PS4]]와 [[Xbox]]를 팔고 미 육군 부대 식당에서 [[아침]]엔 [[브런치]], [[점심]]엔 [[스테이크]], [[저녁]]엔 [[폭립]]을 즐길 수 있다 카더라... * 사단 주둔지역에서 업무를 보러 60여단이나 근처지역으로 이동하는 장병들은 여기서 식사를 하게 된다. ~~멀리 간다고 밖에서 밥먹을 줄 알았던 장병들에게 애도..~~ * 한편으로 여단본부와 107대대 사이에 콘크리트 도로로 연결된 언덕이 있고 그 위로 여단 내부 사격장이 있는데, 여기서 간부가 목메어 죽었다니 후임병과 선임병이 서로 총을 쏴 죽였다니 하는 전설들이 많다. 대부분 카더라통신이지만 107대대 초소들 중에서도 가장 외지고 어두운 데다 부대와도 멀리 떨어진 편이어서,[* 가는 데만 10분은 걸린다. 근무 담당 중대원들이 제일 근무서기 싫어하는 곳으로 악명이 자자하다.] 이러한 괴담이 많이 생긴 것으로 추측된다. ~~32는 어둡지만 빠르게 근무교대가 가능해서 애용한다. 추가로 경계 뚫을 때도 애용한다~~ * 32전차와 107기보는 같이 신막사를 사용 중이며, 중앙만 넘어가도 다른 건물에 들어온 것 같이 느낌이 다르다. ~~이렇게 같이 쓰게 되면서 32전차가 초소까지 가는 시간이 거의 15분 이상 걸린다.~~ * 여단 내 32전차대대와 107기보대대는 PX를 107PX로 공용으로 사용한다. 가끔 군지대대 사람들은 107PX와 여단PX중 선택해서 사용하기도 한다. * 백발백중 시즌5 제5편에서 8사단을 소개하기 위해 26전차 악어대대가 나온다[[https://youtu.be/Ky9Jl7hjL2c|#]] * 게임 [[아머드 워페어]]에서 2021년 8월 15일 광복절을 맞아 게임 내 모든 전차에 부착할수 있는 수기사와 11사단, 26전차대대 데칼을 기간 한정으로 무료 배포하였다. • 육군 웹드라마 다시ON 백발백중 8기동사단편에서 K21 포수를 소개하기 위해 107기보대대(코뿔소대대)가 나온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제20기계화보병사단, version=818, paragraph=4.2)] [[분류:대한민국 육군]][[분류:제8기동사단]][[분류:여단]][[분류:5.18 민주화운동/관련 인물 및 단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