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white 역대 그래미 어워드}}}''' || || [[제63회 그래미 어워드]] || → || '''제64회 그래미 어워드''' || → || [[제65회 그래미 어워드]] || ||<-2>
'''{{{-1 제64회 그래미 어워즈}}}'''[br]'''{{{+2 64th Grammy Awards}}}'''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제64회 그래미 어워즈.png|width=100%]]}}}|| || '''일시''' ||2022년 4월 3일|| || '''국가'''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 '''지역''' ||[[미국]] [[네바다]] [[라스 베가스]] MGM 그랜드 가든 아레나 || || '''방송사''' ||[[CBS(미국 방송)|[[파일:CBS 로고.svg|width=50]]]] || [목차] == 개요 == [[2022년]] [[1월 31일]] 개최될 예정이었으나 [[코로나19]]의 여파로 연기된 [[그래미 어워드]]. [[2020년]] [[9월 1일]]부터 [[2021년]] [[9월 30일]]까지 활동한 아티스트들을 대상으로 진행된다. 2년 연속으로 [[트레버 노아]]가 MC를 맡는다. [[방탄소년단]]이 [[Butter]]로 베스트 팝 듀오·그룹 퍼포먼스[* 여기서 퍼포먼스란 음원을 녹음할 때 노래를 부른 행위를 말한다. 특정 공연을 말하는 게 아니다.]상 후보에 올랐으나 수상에는 실패했다. 올해부터 대상에 해당하는 4개 제너럴 필드 부문의 후보작 수가 각각 10편 씩으로 늘어났다. 이미 2019년 제61회 시상식부터 5편에서 8편으로 늘렸는데 3년만에 또 한 차례 늘린 것이다. === 일정 === * [[2021년]] [[11월 23일]]: [[https://www.youtube.com/watch?v=UrW352Kc1mQ|후보작 발표]] == 수상작 및 후보작 == === [[그래미 어워드/올해의 레코드상|올해의 레코드]] === ||
'''음원''' || '''아티스트''' || || [[Voyage(ABBA)|I Still Have Faith In You]] || [[ABBA]] || || [[WE ARE(음반)|Freedom]] || [[존 바티스트]] || || [[Love for Sale|I Get A Kick Out of You]] || [[토니 베넷]], [[레이디 가가]] || || [[Peaches]] || [[저스틴 비버]] || || Right on Time || 브랜디 칼라일 || || [[Kiss Me More]] || [[Doja Cat]] ft. [[SZA]] || || [[Happier Than Ever(싱글)|Happier Than Ever]] || [[빌리 아일리시]] || || [[MONTERO (Call Me By Your Name)]] || [[Lil Nas X]] || || [[drivers license]] || [[올리비아 로드리고]] || || '''[[Leave The Door Open]]''' || '''[[Silk Sonic]][*a [[Bruno Mars]], [[Anderson .Paak]]]''' || [include(틀:영상 정렬, url=xDF0Daj2KEI)] 시상자는 [[키스 어번]]. === [[그래미 어워드/올해의 앨범상|올해의 앨범]] === ||
'''음반''' || '''아티스트''' || || '''[[WE ARE(음반)|WE ARE]]''' || '''[[존 바티스트]]''' || || [[Love for Sale]] || [[토니 베넷]], [[레이디 가가]] || || [[Justice(음반)|Justice (Triple Chucks Deluxe)]] || [[저스틴 비버]] || || [[Planet Her]] || [[Doja Cat]] || || [[Happier Than Ever]] || [[빌리 아일리시]] || || Back of My Mind || [[H.E.R.]] || || MONTERO || [[Lil Nas X]] || || [[SOUR]] || [[올리비아 로드리고]] || || [[evermore(테일러 스위프트)|evermore]] || [[테일러 스위프트]] || || [[Donda]] || [[카니예 웨스트]] || [include(틀:영상 정렬, url=rFA6JJyj178)] 시상자는 [[레니 크래비츠]]. === [[그래미 어워드/올해의 노래상|올해의 노래]] === ||
'''노래''' || '''송라이터''' || || [[Bad Habits]][br]{{{-2 [[에드 시런]]}}} || [[에드 시런]] 外 || || A Beautiful Noise[br]{{{-2 [[앨리샤 키스]], 브랜디 칼라일}}} || [[앨리샤 키스]], 브랜디 칼라일 外 || || [[drivers license]][br]{{{-2 [[올리비아 로드리고]]}}} || [[올리비아 로드리고]] 外 || || [[유다 그리고 블랙 메시아|Fight for You]][br]{{{-2 [[H.E.R.]]}}} || [[H.E.R.]] 外 || || [[Happier Than Ever(싱글)|Happier Than Ever]][br]{{{-2 [[빌리 아일리시]]}}} || [[빌리 아일리시]], [[피니어스 오코넬]] || || [[Kiss Me More]][br]{{{-2 [[Doja Cat]] ft. [[SZA]]}}} || [[Doja Cat]], [[SZA]] 外 || || '''[[Leave The Door Open]][br]{{{-2 [[Silk Sonic]][*a]}}}''' || '''[[앤더슨 팩]], [[브루노 마스]] 外''' || || [[MONTERO (Call Me By Your Name)]][br]{{{-2 [[Lil Nas X]]}}} || [[Lil Nas X]] 外 || || [[Peaches]][br]{{{-2 [[저스틴 비버]] ft. [[다니엘 시저]], [[GIVĒON]]}}} || [[저스틴 비버]], [[다니엘 시저]], [[GIVĒON]] 外 || || Right on Time[br]{{{-2 브랜디 칼라일}}} || 브랜디 칼라일 外 || [include(틀:영상 정렬, url=ITcwhrsEa7s)] 시상자는 [[더 루츠|퀘스트러브]]. === [[그래미 어워드/최우수 신인상|최우수 신인]] === ||
'''아티스트''' || || 아루즈 아프타브 || || 지미 앨런 || || [[Baby Keem]] || || [[피니어스 오코넬]] || || [[Glass Animals]] || || [[재패니즈 브렉퍼스트]] || || [[The Kid LAROI]] || || 알로 파크스 || || '''[[올리비아 로드리고]]''' || || [[Saweetie]] || [include(틀:영상 정렬, url=HqFyJQsq_eE)] 시상자는 [[두아 리파]]와 [[Megan Thee Stallion]]. === 팝 듀오/그룹 퍼포먼스 === ||
'''음반''' || '''아티스트''' || || [[Love for Sale|I Get A Kick Out of You]] || [[저스틴 비버]] || || [[Justice(음반)|Lonely]] || [[저스틴 비버]] & [[benny blanco]] || || [[Butter]] || [[방탄소년단]] || || [[Music of the Spheres(콜드플레이)|Higher Power]] || [[콜드플레이]] || || '''[[Kiss Me More]]''' || '''[[Doja Cat]] ft. [[SZA]]''' || [include(틀:영상 정렬, url=Eke1gXD55sw)] 시상자는 [[에이브릴 라빈]]. === 랩 퍼포먼스 === ||
'''음반''' || '''아티스트''' || || '''Family Ties''' || '''[[베이비 킴]]''' || || [[Up(싱글)|Up]] || [[Cardi B]] || || m y . l i f e || [[제이 콜]] ft. [[21 Savage]], Morray || || [[Way 2 Sexy]] || [[드레이크]] ft. [[Future]], [[Young Thug]] || || Thot Shit || [[Megan Thee Stallion]] || [include(틀:영상 정렬, url=M1B7P-0fo88)] 시상자는 [[루다크리스]]. === 팝 보컬 앨범 === ||
'''음반''' || '''아티스트''' || || [[Justice(음반)|Justice]] (Triple Chucks Deluxe) || [[저스틴 비버]] || || [[Planet Her]] (Deluxe) || [[Doja Cat]] || || [[Happier Than Ever]] || [[빌리 아일리시]] || || [[Positions]] || [[아리아나 그란데]] || || '''[[SOUR]]''' || '''[[올리비아 로드리고]]''' || [include(틀:영상 정렬, url=WuEluYHK2jA)] 시상자는 [[자레드 레토]]. === R&B 앨범 === ||
'''음반''' || '''아티스트''' || || Temporary Highs In The Violet Skies || Snoh Aalegra || || [[WE ARE(음반)|WE ARE]] || [[존 바티스트]] || || Gold-Diggers Sound || Leon Bridges || || Back of My Mind || [[H.E.R.]] || || '''Heaux Tales''' || '''[[재즈민 설리번]]''' || [include(틀:영상 정렬, url=cisQ4-zsrKo)] 시상자는 Billy Porter. === 컨트리 앨범 === ||
'''음반''' || '''아티스트''' || || Skeletons || Brothers Osborne || || Remember Her Name || Mickey Guyton || || The Marfa Tapes || [[미란다 램버트]], Jon Randall, Jack Ingram || || The Ballad Of Dood & Juanita || Sturgill Simpson || || '''Starting Over''' || '''[[크리스 스테이플턴]]''' || [include(틀:영상 정렬, url=Rc-8Nq7QbFc)] 시상자는 [[앤서니 매키]]와 [[켈시 발레리니]]. == 전체 수상자 명단 == ||
'''부문''' || '''음원/음반''' || '''아티스트''' || '''비고''' || ||<-4> '''{{{#ffffff 본상}}}''' || || [[그래미 어워드/올해의 레코드상|올해의 레코드]] || [[Leave The Door Open]] || [[Silk Sonic]] || || || [[그래미 어워드/올해의 앨범상|올해의 앨범]] || [[WE ARE(음반)|WE ARE]] || [[존 바티스트]] || || || [[그래미 어워드/올해의 노래상|올해의 노래]] || [[Leave The Door Open]] || [[Silk Sonic]] || || || [[그래미 어워드/최우수 신인상|최우수 신인]] || || [[올리비아 로드리고]] || || ||<-4> '''{{{#ffffff 팝}}}''' || || 팝 솔로 퍼포먼스 || [[drivers license]] || [[올리비아 로드리고]] || || || 팝 듀오·그룹 퍼포먼스 || [[Kiss Me More]] || [[Doja Cat]] ft. [[SZA]] || || || 팝 보컬 앨범 || [[SOUR]] || [[올리비아 로드리고]] || || || 트래디셔널 팝 보컬 앨범 || [[Love for Sale]] || [[토니 베넷]], [[레이디 가가]] || || ||<-4> '''{{{#ffffff 록}}}''' || || 록 퍼포먼스 || Making a Fire || [[푸 파이터스(밴드)|푸 파이터스]] || || || 메탈 퍼포먼스 || The Alien || [[드림 시어터]] || || || 록 앨범 || Medicine at Midnight || [[푸 파이터스(밴드)|푸 파이터스]] || || || 록 노래 || Waiting on a War || [[푸 파이터스(밴드)|푸 파이터스]] || || ||<-4> '''{{{#ffffff R&B}}}''' || ||<|2> R&B 퍼포먼스 || [[Leave The Door Open]] || [[Silk Sonic]] ||<|2> 공동 수상 || || Pick Up Your Feelings || [[재즈민 설리번]] || || 트래디셔널 R&B 퍼포먼스 || Fight for You || [[H.E.R.]] || || || R&B 앨범 || Heaux Tales || [[재즈민 설리번]] || || || 프로그레시브 R&B 앨범 || Table for Two || 럭키 다예 || || || R&B 노래 || [[Leave The Door Open]] || [[Silk Sonic]] || || ||<-4> '''{{{#ffffff 랩}}}''' || || 랩 퍼포먼스 || Family Ties || [[Baby Keem]] ft. [[켄드릭 라마]] || || || 멜로딕 랩 퍼포먼스 || Hurricane || [[카니예 웨스트]] ft. [[The Weeknd]], [[Lil Baby]] || || || 랩 앨범 || [[CALL ME IF YOU GET LOST]] || [[타일러, 더 크리에이터]] || || || 랩 노래 || Jail || [[카니예 웨스트]] ft. [[JAY-Z]] || || ||<-4> '''{{{#ffffff 컨트리}}}''' || || 컨트리 솔로 퍼포먼스 || You Should Probably Leave || [[크리스 스테이플턴]] || || || 컨트리 듀오·그룹 퍼포먼스 || Younger Me || Brothers Osborne || || || 컨트리 앨범 || Starting Over || [[크리스 스테이플턴]] || || || 컨트리 노래 || Cold || [[크리스 스테이플턴]] || || ||<-4> '''{{{#ffffff 재즈}}}''' || || 임프로바이즈 재즈 솔로 || Humpty Dumpty (Set 2) || [[칙 코리아]] || || || 재즈 보컬 앨범 || Songwrights Apothecary Lab || 에스페란사 스폴딩 || || || 재즈 인스트루멘탈 앨범 || Skyline || [[론 카터]], 잭 디조넷, 곤잘로 루발카바 || || || 라지 재즈 앙상블 앨범 || For Jimmy, Wes and Oliver || Christian McBride Big Band || || || 라틴 재즈 앨범 || Mirror Mirror || 일리아니 일리아스 with [[칙 코리아]], 추초 발데스 || || ||<-4> '''{{{#ffffff 가스펠/CCM}}}''' || || 가스펠 퍼포먼스/노래 || Never Lost || 시시 와이넌스 || || || CCM 퍼포먼스/노래 || Believe for It || 시시 와이넌스 || || || 가스펠 앨범 || Believe for It || 시시 와이넌스 || || || CCM 앨범 || Old Church Basement || Elevation Worship, Maverick City Music || || || 루트 가스펠 앨범 || My Savior || [[캐리 언더우드]] || || ||<-4> '''{{{#ffffff 라틴}}}''' || || 라틴 팝 앨범 || Mendó || 알렉스 쿠바 || || || 라틴 어번 앨범 || El Último Tour Del Mundo || [[배드 버니]] || || || 라틴 록/얼터너티브 앨범 || Origen || 후아네스 || || || 리저널 멕시칸 뮤직 앨범 (Tejano 포함) || A Mis 80's || 빈센트 페르난데즈 || || || 트로피컬 라틴 앨범 || Salswing! || 루벤 블라데스, Roberto Delgado & Orquesta || || ||<-4> '''{{{#ffffff 아메리카나}}}''' || || 아메리카나 퍼포먼스 || Cry || [[존 바티스트]] || || || 아메리카나 앨범 || Native Sons || Los Lobos || || || 리저널 아메리카나 앨범 || Kau Ka Pe'a || 칼라니 페아 || || || 블루그래스 앨범 || My Bluegrass Heart || 벨라 플렉 || || || 트래디셔널 블루스 앨범 || I Be Trying || 세드릭 번사이드 || || || 컨템포러리 블루스 앨범 || 662 || [[크리스톤 "킹피쉬" 잉그램]] || || || 포크 앨범 || They're Calling Me Home || 리아논 기든스 with 프란체스코 투리시 || || || 아메리카나 노래 || Cry || [[존 바티스트]] || || ||<-4> '''{{{#ffffff 댄스/일렉트로닉}}}''' || || 댄스/일렉트로닉 레코딩 || Alive || Rüfüs Du Sol || || 댄스/일렉트로닉 앨범 || Subconsciously || Black Coffee || || ||<-4> '''{{{#ffffff 클래식}}}''' || || 합창 퍼포먼스 || Mahler: Symphony No. 8, 'Symphony Of A Thousand || [[로스앤젤레스 필하모닉]] || || || 오케스트라 퍼포먼스 || Price: Symphonies Nos. 1 & 3 || [[필라델피아 오케스트라]] || || || 실내악/스몰 앙상블 퍼포먼스 || Beethoven: Cello Sonatas - Hope Amid Tears || [[요요마]], 엠마누엘 악스 || || || 클래식 인스트루멘탈 솔로 || Alone Together || 제니퍼 코 || || || 클래식 솔로 보컬 앨범 || Mythologies || 상기타 카우르, 힐라 플리트만 || || || 오페라 레코딩 || Glass: Akhnaten || 메트로폴리탄 오페라 || || || 컨템포러리 클래식 작곡 || Shaw: Narrow Sea || 캐롤라인 쇼 || || || 클래식 Compendium || Women Warriors - The Voices Of Change || 에이미 안데르손 || ||<-4> '''{{{#ffffff 글로벌 뮤직}}}''' || || 글로벌 뮤직 퍼포먼스 || Mohabbat || 아루즈 아프타브 || || || 글로벌 뮤직 앨범 || Mother Nature || 앙젤리크 키조 || || ||<-4> '''{{{#ffffff 기타 장르}}}''' || || 컨템포러리 인스트루멘탈 앨범 || Tree Falls || 테일러 아이그스티 || || || 얼터너티브 뮤직 앨범 || Daddy's Home || [[세인트 빈센트]] || || || 뉴에이지 앨범 || Divine Tides || 스튜어트 코플랜드, 리키 케지 || || || 레게 앨범 || Beauty in the Silence || SOJA || || || 아동 앨범 || A Colorful World || 팔루 || || || 뮤지컬 앨범 || [[The Unofficial Bridgerton Musical]] || Barlow and Bear || || || 낭독 앨범 (시, 오디오북, 스토리텔링 포함) || Carry On: Reflections for a New Generation from John Lewis || [[돈 치들]] || || || 코미디 앨범 || Sincerely Louis CK || [[루이 C.K.]] || || ||<-4> '''{{{#ffffff 미디어 삽입 음악}}}''' || || 영상 삽입곡 || All Eyes on Me ([[Bo Burnham: Inside|보 번햄: 못 나가서 만든 쇼]]) || [[보 번햄]] || || || 영상 컴필리에이션 사운드트랙 || [[빌리 홀리데이(영화)|빌리 홀리데이]] || [[안드라 데이]] || || ||<|2> 영상 스코어 사운드트랙 || [[퀸스 갬빗(드라마)|퀸스 갬빗]] || 카를로스 라파엘 리베라 ||<|2> 공동 수상 || || [[소울(애니메이션)|소울]] || [[존 바티스트]], [[트렌트 레즈너]], [[애티커스 로스]] || ||<-4> '''{{{#ffffff 뮤직 비디오/음악 영화}}}''' || || 뮤직비디오 || Freedom || [[존 바티스트]] || || || 음악 영화 || 축제의 여름 (... 혹은 중계될 수 없는 혁명) || || || ||<-4> '''{{{#ffffff 작곡/편곡}}}''' || || 인스트루멘탈 작곡 || Eberhard || 라일 메이스 || || || 인스트루멘탈/아카펠라 편곡 || Meta Knight's Revenge ([[별의 커비 슈퍼 디럭스]]) || The 8-Bit Big Band ft. Button Masher || || || 연주 및 보컬 편곡 || To The Edge of Longing (Edit Version) || 빈스 멘도자, 체코 내셔널심포니오케스트라, 줄리아 블록 || || ||<-4> '''{{{#ffffff 포장, 노트, 복원}}}''' || || 레코딩 포장 || Pakelang || 2nd Generation Falangao Singing Group, The Chairman Crossover Big Band || || || 박스드/스페셜 리미티드 에디션 포장 || [[All Things Must Pass|All Things Must Pass: 50th Anniversary Edition]] || [[조지 해리슨]] || || || 라이너 노트 || The Complete Louis Armstrong Columbia and RCA Victor Studio Sessions 1946-1966 || [[루이 암스트롱]] || || || 복원 앨범 || Joni Mitchell Archives - Vol. 1: The Early Years (1963-1967) || [[조니 미첼]] || || ||<-4> '''{{{#ffffff 제작진 부문}}}''' || || 올해의 프로듀서 (非클래식) || || [[잭 안토노프]] || || || 올해의 프로듀서 (클래식) || || 주디스 셔먼 || || || 엔지니어드 앨범 (非클래식) || [[Love for Sale]] || [[토니 베넷]], [[레이디 가가]] || || || 엔지니어드 앨범 (클래식) || Chanticleer Sings Christmas || Chanticleer || || || 이머시브 오디오 앨범 || [[ALICIA]] || [[앨리샤 키스]] || || || 리믹스 레코딩 (非클래식) || Passenger ([[마이크 시노다]] 리믹스) || [[데프톤즈]] || || ||<-4> '''{{{#ffffff 특별상 }}}''' || || 평생공로상 || || 보니 레잇 || || == 개인별 성적 == 복수 부문 수상자는 다음과 같다. * 5관왕: [[존 바티스트]] * 4관왕: [[Silk Sonic]][* 노미네이트된 부문 전부 수상.] * 3관왕: D'Mile, [[푸 파이터스(밴드)|푸 파이터스]], [[올리비아 로드리고]], [[크리스 스테이플턴]], CeCe Winans * 2관왕: Brody Brown, [[칙 코리아]], [[재즈민 설리번]], [[카니예 웨스트]] 다수 부문 (5개 이상) 노미네이트된 인물은 다음과 같다. * 11개: [[존 바티스트]] * 8개: [[저스틴 비버]], [[Doja Cat]], [[H.E.R.]] * 7개: [[빌리 아일리시]], [[올리비아 로드리고]] * 6개: D'Mile, Giveon * 5개: [[레이디 가가]], [[토니 베넷]], [[다니엘 시저]], Brandi Carlile, [[피니어스 오코넬]], Şerban Ghenea, [[릴 베이비]], [[Lil Nas X]], Randy Merrill, [[SZA]], [[카니예 웨스트]] == 이야깃거리 == * 시청자 수는 820만 ~ 959만여 명으로 작년보다 소폭 상승했다. 하지만 여전히 팬데믹 이전만큼 시청률을 회복하진 못했다. * 규정이 개정되어 4개 본상의 후보 수가 8편에서 10편으로 늘어났으며, 올해의 앨범상의 경우 피처링 아티스트도 후보/수상자 명단에 포함하기로 하였다. * 다음과 같은 상이 개칭되거나 신설되었다.[* 이로써 전체 부문 수가 86개로 늘어났다.] * 개칭: 댄스 레코딩 → 댄스/일렉트로닉 레코딩 * 신설: 글로벌 뮤직 퍼포먼스, 뮤지카 어바나 앨범 * 올해의 앨범상의 수여 대상이 '피처링 아티스트, 프로듀서, 모든 수록곡의 작곡가 및 작사가, 레코딩 엔지니어, 믹서, 마스터링 엔지니어'로 확대되었다. 원래 피처링 아티스트, 33% 미만 기여 기술자 등은 제외였으나 올해부터 모두 포함하기로 했다. [[분류:그래미 어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