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2022년에 열리는 [[미래의 별 신예최강전]] 7번째 대회. 이번 대회는 [[2003년]] 이하 출생자인 프로기사와 연구생으로 참가 자격을 제한해 진행했다. 이번 대회는 35명의 기사가 출전했다. == 대회 진행 == [[파일:2022 미래의별 결과.png]] === 1회전~32강 === 1회전 3월 7일, 32강은 3월 8일에 열렸다.(괄호 안은 해당 대국 승자의 상대 선수) * 1회전(3월 7일) - 김범서(vs 문지환), 이의현(vs 김효영), 최민서(vs 권효진(男)) * 32강(3월 8일) - 박지현(vs 장은빈), 선승민(vs 김유찬), 박소율(vs 이슬주), 김범서(vs 이혜원) - 이승민(vs 허재원), 한우진(vs 정유진), 김승진(vs 박동주), 이의현(vs 윤희우) - 김경은(vs 최은규), 박신영(vs 이연), 양유준(vs 오승민), 원제훈(vs 최민서) - 오병우(vs 정우진), 김은지(vs 김현빈), 김성재(vs 심준섭), 김민서(vs 홍석민) === 16강 ~ 8강 === 16강전은 3월 10일, 8강전은 3월 11일에 열렸다.(괄호 안은 해당 대국 승자의 상대 대국자.) * 16강 - 박지현(vs 선승민), 박소율(vs 김범서), 한우진(vs 이승민), 이의현(vs 김승진) - 박신영(vs 김경은), 원제훈(vs 양유준), 오병우(vs 김은지), 김민서(vs 김성재) * 8강 - 박지현(vs 박소율), 한우진(vs 이의현), 박신영(vs 원제훈), 김민서(vs 오병우) === 4강 ~ 결승 === * 4강전과 결승전은 [[바둑TV]](캐스터 - 류승희, 해설 - 박경근 五단(준결승), 허진 五단(결승))에서 중계한다. ||<:> '''{{{#000 대국}}}''' ||<:> '''{{{#000 일정}}}'''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 font-size: .9em" {{{#fff 흑번}}}}}}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9em" {{{#000 백번}}}}}} ||<:> '''{{{#000 결과}}}''' || ||<|2> 4강 ||<|2> 2022년 3월 25일 || 김민서 || '''박신영''' || 242수 백 불계승 || || 박지현 || '''한우진''' || 298수 백 불계승 || || 결승 || 2022년 3월 26일 || '''박신영''' || 한우진 || 131수 흑 불계승 || || {{{#000 '''우승'''}}} ||<-4> 박신영 二단 || * 제7회 미래의별 우승자로 박신영 二단이 입단 11개월만에 생애 첫 우승을 차지했다. 박신영은 2003년생으로 이번 대회가 첫 출전이자 마지막 출전이었는데 우승을 통해 졸업을 하게 됐으며 특별 승단 규정에 따라 三단으로 승단했다. [[분류:미래의 별 신예최강전]][[분류:나무위키 바둑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