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기초단체장)] [include(틀: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기초단체장)] [목차] = 종합 결과 = ||<-2><:> '''경기도[br]기초자치단체장 선거 결과'''||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자유한국당)] || ||<:> '''29석''' ||<:> 2석|| == [[수원시]] == ||<-4> {{{#ffffff {{{+1 '''수원시장'''}}}}}}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염태영]]''' || '''385,071''' || '''1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66.99%''' || '''당선''' || ||<|2> {{{#ffffff {{{+5 '''2'''}}}}}} || [[정미경(정치인)|정미경]] || 153,869 || 2위 || || [include(틀:자유한국당)] || 26.77% || 낙선 || ||<|2> {{{#ffffff {{{+5 '''3'''}}}}}} || 강경식 || 35,811 || 3위 || || [include(틀:바른미래당)] || 6.23% || 낙선 || ||<|3><:>'''계'''||<:>선거인 수||<:>980,241||<|3><:>투표율[br]59.41%|| ||<:>투표 수||<:>582,375|| ||<:>무효표 수||<:>7,624|| 현역으로서 평가가 좋았던 염태영 후보가 이런저런 논란이 많았던 정미경 후보[* 종편 패널로 나와서 스스로 논란거리를 많이 만들었다.]를 무려 '''231,202표''' 차이로 누르고 당선하면서 최초로 수원시장 민선 3선 고지에 올랐다. 정미경 후보는 다른 구에 비해 비교적 보수적인 팔달구[* 남평우, 남경필 부자가 내리 6선을 했던 동네가 팔달구였다.]에서도 30%를 겨우 넘기고, 그 팔달구 내에서도 가장 보수적이라 평가 받는 행궁동, 지동에서도 30% 후반의 표밖에 얻지 못하며 처참하게 침몰했다. 지역구를 버리고 수원 무로 갔다가 패퇴한 전적이 있어서 그런지 배신자 프레임이 씌여있는 정미경이 여길 탈환하는 건 무리였다는 평. 8회 지선에는 역시 민주당 이재준 후보가 승리했다. == [[성남시]] == ||<-4> {{{#ffffff {{{+1 '''성남시장'''}}}}}}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은수미]]''' || '''280,501''' || '''1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57.64%''' || '''당선''' || ||<|2> {{{#ffffff {{{+5 '''2'''}}}}}} || [[박정오]] || 151,698 || 2위 || || [include(틀:자유한국당)] || 31.17% || 낙선 || ||<|2> {{{#ffffff {{{+5 '''3'''}}}}}} || [[장영하]] || 47,537 || 3위 || || [include(틀:바른미래당)] || 9.76% || 낙선 || ||<|2> {{{#ffffff {{{+5 '''6'''}}}}}} || 박우형 || 6,833 || 4위 || || [include(틀:민중당)] || 1.40% || 낙선 || ||<|3><:>'''계'''||<:>선거인 수||<:>800,917||<|3><:>투표율[br]61.79%|| ||<:>투표 수||<:>494,875|| ||<:>무효표 수||<:>8,306|| 은수미는 자신의 기반이였던 중원구[* 이전 총선에서도 성남시 중원구에 출마해서 정환석의 표를 갈라먹음으로 신상진에 의하여 석패한 경험이 있다.]에서 60.25%의 몰표를 받아 자유한국당 후보를 더블스코어 이상으로 박살낸 건 물론, 수정구, 분당구에서도 각각 59.64%, 55.69%를 받아서 자유한국당 후보를 우주 관광시켰다. 다만, 은수미 후보에게 조폭 연루설이란 악재가 생겨 혹시나 하는 우려가 있었다. 허나 조폭 연루라고 제기된 의혹이 차량 편의 제공과 같은 뭔가 크지 않은 것이고 더군다나 딱히 구체적으로 은수미 후보와 어떤 형태의 커넥션을 주고 받았지가 불명확해 [[찻잔 속의 태풍]]으로 끝이 났다. 8회 지선에는 21대 국회의원 낙선한 신상진 후보가 당선되었다. == 의정부시 == ||<-4><:>[[의정부시|{{{#ffffff '''의정부시장'''}}}]]|| ||<|2><:>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2><:>{{{#ffffff 1}}}||<:>[[안병용]]||<:>'''127,676'''||<:>'''1위'''|| ||<:>[[더불어민주당|{{{#000000,#e5e5e5 더불어민주당}}}]]||<:>'''65.35%'''||<:>'''당선'''|| ||<|2><:>{{{#ffffff 2}}}||<:>[[김동근(1961)|김동근]]||<:>58,293||<:>2위|| ||<:>[[자유한국당|{{{#000000,#e5e5e5 자유한국당}}}]]||<:>29.84%||<:>낙선|| ||<|2><:>{{{#ffffff 3}}}||<:>[[천강정]]||<:>9,374||<:>3위|| ||<:>[[바른미래당|{{{#000000,#e5e5e5 바른미래당}}}]]||<:>4.79%||<:>낙선|| ||<|3><:>'''계'''||<:>선거인 수||<:>366,459||<|3><:>투표율[br]54.2%|| ||<:>투표 수||<:>198,526|| ||<:>무효표 수||<:>3,183|| [[안병용]]의 무난한 당선. == 안양시 == ||<-4><:>[[안양시|{{{#ffffff '''안양시장'''}}}]]|| ||<|2><:>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2><:>{{{#ffffff 1}}}||<:>[[최대호]]||<:>'''169,030'''||<:>'''1위'''|| ||<:>[[더불어민주당|{{{#000000,#e5e5e5 더불어민주당}}}]]||<:>'''56.22%'''||<:>'''당선'''|| ||<|2><:>{{{#ffffff 2}}}||<:>[[이필운]]||<:>115,128||<:>2위|| ||<:>[[자유한국당|{{{#000000,#e5e5e5 자유한국당}}}]]||<:>38.29%||<:>낙선|| ||<|2><:>{{{#ffffff 3}}}||<:>[[백종주]]||<:>16,457||<:>3위|| ||<:>[[바른미래당|{{{#000000,#e5e5e5 바른미래당}}}]]||<:>5.47%||<:>낙선|| ||<|3><:>'''계'''||<:>선거인 수||<:>484,502||<|3><:>투표율[br]62.9%|| ||<:>투표 수||<:>304,758|| ||<:>무효표 수||<:>4,143|| 자유한국당의 [[이필운]] 현 안양시장과 더불어민주당 [[최대호]] 전 안양시장 간의 대결. 이 둘은 2007년 안양시장 재보궐선거에서 처음 맞붙은 이후 이번이 무려 4번째(...) 대결이다. 2007년 재보궐 선거에서는 당시 한나라당 소속이었던 이필운 후보가, 2010년 지방선거에서는 당시 민주당 소속이었던 최대호 후보가 이겼고, 2014년 지방선거에서는 새누리당 소속 이필운 후보가 최대호 후보를 930표 차로 다시 이겼다. 이번에도 이필운 시장이 자유한국당 후보로, 최대호 전 시장이 더불어민주당 후보로 공천을 받아 4번째 대결이 성사되었는데, 결과는 최대호 후보의 승리로 끝났다. --이로서 서로 4전 2승 2패를 기록하며 무승부-- --2007년: 이필운, 2010년: 최대호, 2014년: 이필운, 2018년: 최대호...-- 한편, 바른미래당 [[백종주]] 후보는 20대 총선 [[안양시 동안구 갑]]에 처음 출마하여 이번이 2번째 도전인데, 당시엔 15.75%의 득표율로 선거비 보전이라도 건졌지만 이번엔 5.47%의 득표율에 그쳐 선거 비용을 한 푼도 보전 받지 못하게 되었다. 당초 여당의 공천이 전략공천이었다가 경선으로 변경되는 등의 잡음이 있었고[[http://www.kg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513564|기사]], 최종 공천된 후보에도 몇몇 논란이 있어 상대 후보로부터 크게 공격받았다는 점,[[http://news.joins.com/article/22528221|기사 1]] [[http://www.upkorea.net/news/articleView.html?idxno=330536|기사 2]] 이필운이 현직이었다는 점 --그리고 별로 눈에 안 띄고 득표율도 저조한 백종주-- 등은 안양시장 선거가 일정 부분 경기지사 선거의 축소판이었음을 보여준다. == 부천시 == ||<-4><:>[[부천시|{{{#ffffff '''부천시장'''}}}]]|| ||<|2><:>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2><:>{{{#ffffff 1}}}||<:>[[장덕천]]||<:>'''258,028'''||<:>'''1위'''|| ||<:>[[더불어민주당|{{{#000000,#e5e5e5 더불어민주당}}}]]||<:>'''66.19%'''||<:>'''당선'''|| ||<|2><:>{{{#ffffff 2}}}||<:>[[최환식]]||<:>79,726||<:>2위|| ||<:>[[자유한국당|{{{#000000,#e5e5e5 자유한국당}}}]]||<:>20.45%||<:>낙선|| ||<|2><:>{{{#ffffff 3}}}||<:>이승호||<:>31,582||<:>3위|| ||<:>[[바른미래당|{{{#000000,#e5e5e5 바른미래당}}}]]||<:>8.1%||<:>낙선|| ||<|2><:>{{{#ffffff 6}}}||<:>윤병국||<:>20,461||<:>4위|| ||<:>[[무소속|{{{#000000,#e5e5e5 무소속}}}]]||<:>5.24%||<:>낙선|| ||<|3><:>'''계'''||<:>선거인 수||<:>715,281||<|3><:>투표율[br]55.4%|| ||<:>투표 수||<:>396,271|| ||<:>무효표 수||<:>6,474|| 안 그래도 민주당 지지세가 강했는데 '''사전투표 전날'''에 터진 '''[[이부망천]]''' 논란이 결정적이었다. 심지어 정태옥은 인천도 아니고 부천도 아닌 대구 북구 갑의 국회의원이였다는 게 더 충격. 실제로 부천시 지역의 사전투표소에는 살벌한 분위기가 감돌았다고 하며,[* 우리는 결혼도 안 했는데, 이혼을 당했다는 농담조와 함께 말이다.] 최종 결과 역시 45.74%의 득표율 차이로 민주당의 압승. 최환식 후보는 하마터면 10퍼대 득표율까지 떨어질 뻔 했다. == 광명시 == ||<-4><:>[[광명시|{{{#ffffff '''광명시장'''}}}]]|| ||<|2><:>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2><:>{{{#ffffff 1}}}||<:>[[박승원]]||<:>'''110,907'''||<:>'''1위'''|| ||<:>[[더불어민주당|{{{#000000,#e5e5e5 더불어민주당}}}]]||<:>'''67.43%'''||<:>'''당선'''|| ||<|2><:>{{{#ffffff 2}}}||<:>[[이효선(정치인)|이효선]]||<:>36,672||<:>2위|| ||<:>[[자유한국당|{{{#000000,#e5e5e5 자유한국당}}}]]||<:>22.29%||<:>낙선|| ||<|2><:>{{{#ffffff 3}}}||<:>[[김기남(1964)|김기남]]||<:>16,880||<:>3위|| ||<:>[[바른미래당|{{{#000000,#e5e5e5 바른미래당}}}]]||<:>10.26%||<:>낙선|| ||<|3><:>'''계'''||<:>선거인 수||<:>270,792||<|3><:>투표율[br]61.6%|| ||<:>투표 수||<:>166,882|| ||<:>무효표 수||<:>2,423|| 광명은 안 그래도 2010년대에 들어서 민주당 강세 지역이 되었는데, 한국당에서는 안 좋은 쪽으로 말 많은 이효선을 공천하였다. 그 결과 결국 박승원이 3.03배로 따돌리고 당선됐다. == 평택시 == ||<-4><:>[[평택시|{{{#ffffff '''평택시장'''}}}]]|| ||<|2><:>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2><:>{{{#ffffff 1}}}||<:>[[정장선]]||<:>'''127,675'''||<:>'''1위'''|| ||<:>[[더불어민주당|{{{#000000,#e5e5e5 더불어민주당}}}]]||<:>'''61.75%'''||<:>'''당선'''|| ||<|2><:>{{{#ffffff 2}}}||<:>[[공재광]]||<:>79,057||<:>2위|| ||<:>[[자유한국당|{{{#000000,#e5e5e5 자유한국당}}}]]||<:>38.24%||<:>낙선|| ||<|3><:>'''계'''||<:>선거인 수||<:>394,222||<|3><:>투표율[br]53.2%|| ||<:>투표 수||<:>209,725|| ||<:>무효표 수||<:>2,993|| 정장선은 보수세가 만만하지 않은 평택 을 지역구에서 내리 3선을 했던 적이 있지만 스스로 불출마를 하는 등 이해하지 못할 행동을 보였다.[* 김부겸 전 의원에 따르면 당시 MB의 4대강 정책이 강행 된 이후에 국민들 앞에 정치하기 부끄러웠다고 언급을 했었다고 한다.] 그러나 이번 지방선거에서 복귀했다. 불출마 안 했으면 수도권 내리 5선이었겠지만, 아무튼 평택 을에서 활약하던 네임드 정치인답게 화려하게 부활했다. == 양주시 == ||<-4><:>[[양주시|{{{#ffffff '''양주시장'''}}}]]|| ||<|2><:>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2><:>{{{#ffffff 1}}}||<:>[[이성호(1957)|이성호]]||<:>'''66,623'''||<:>'''1위'''|| ||<:>[[더불어민주당|{{{#000000,#e5e5e5 더불어민주당}}}]]||<:>'''71.9%'''||<:>'''당선'''|| ||<|2><:>{{{#ffffff 2}}}||<:>이홍규||<:>26,032||<:>2위|| ||<:>[[자유한국당|{{{#000000,#e5e5e5 자유한국당}}}]]||<:>28.09%||<:>낙선|| ||<|3><:>'''계'''||<:>선거인 수||<:>171,243||<|3><:>투표율[br]55.0%|| ||<:>투표 수||<:>94,174|| ||<:>무효표 수||<:>1,519|| 무려, 71.9%라는 경이로운 선거 결과가 나왔다. 이 것은 거의 [[호남]]의 광역단체장 승리자 득표율과도 맞먹는 스코어인 셈. 지역구 국회의원 [[정성호(정치인)|정성호]] 의원이 워낙 지역구 관리를 잘한 것도 있지만, 양주시의 숙원사업인 [[교외선]] 재운행에 합의를 이끌어냈기 때문에 이런 결과가 나오게 된 것이라는 게 중론이다. == 동두천시 == ||<-4><:>[[동두천시|{{{#ffffff '''동두천시장'''}}}]]|| ||<|2><:>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2><:>{{{#ffffff 1}}}||<:>[[최용덕(1958)|최용덕]]||<:>'''21,848'''||<:>'''1위'''|| ||<:>[[더불어민주당|{{{#000000,#e5e5e5 더불어민주당}}}]]||<:>'''51.08%'''||<:>'''당선'''|| ||<|2><:>{{{#ffffff 2}}}||<:>[[박형덕(정치인)|박형덕]]||<:>17,153||<:>2위|| ||<:>[[자유한국당|{{{#000000,#e5e5e5 자유한국당}}}]]||<:>40.1%||<:>낙선|| ||<|2><:>{{{#ffffff 3}}}||<:>김홍규||<:>3,770||<:>3위|| ||<:>[[바른미래당|{{{#000000,#e5e5e5 바른미래당}}}]]||<:>8.81%||<:>낙선|| ||<|3><:>'''계'''||<:>선거인 수||<:>80,603||<|3><:>투표율[br]54.2%|| ||<:>투표 수||<:>43,681|| ||<:>무효표 수||<:>910|| 동두천시는 주한미군까지 주둔해있는 군사도시이며 접경지역인지라 보수성향이 강하다. 따라서 대표적인 경기 북부 지역 보수 텃밭이라 불리던 곳이 이번 선거로 인해 보수의 텃밭이 아니게 되었다. 시의회 또한 민주당이 다수당[* 민주당 3석, 자유한국당 2석이며, 나머지 1석을 가진 무소속 의원이 더불어민주당 성향이다.]이 되었다. == 안산시 == ||<-4><:>[[안산시|{{{#ffffff '''안산시장'''}}}]]|| ||<|2><:>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2><:>{{{#ffffff 1}}}||<:>[[윤화섭]]||<:>'''162,564'''||<:>'''1위'''|| ||<:>[[더불어민주당|{{{#000000,#e5e5e5 더불어민주당}}}]]||<:>'''56.13%'''||<:>'''당선'''|| ||<|2><:>{{{#ffffff 2}}}||<:>[[이민근]]||<:>86,849||<:>2위|| ||<:>[[자유한국당|{{{#000000,#e5e5e5 자유한국당}}}]]||<:>29.98%||<:>낙선|| ||<|2><:>{{{#ffffff 3}}}||<:>[[박주원(정치인)|박주원]]||<:>40,197||<:>3위|| ||<:>[[바른미래당|{{{#000000,#e5e5e5 바른미래당}}}]]||<:>13.87%||<:>낙선|| ||<|3><:>'''계'''||<:>선거인 수||<:>553,699||<|3><:>투표율[br]53.2%|| ||<:>투표 수||<:>294,678|| ||<:>무효표 수||<:>5,068|| [[청해진해운 세월호 침몰 사고]] 4주기를 즈음하여 [[제종길]] 시장이 화랑유원지에 4·16 평화안전공원을 추진하는 것을 둘러싼 논란이 지방선거 이전 안산시에서 최대 이슈로 떠올랐다. 핵심이 되는 쟁점은 평화안전공원에 세월호 참사 희생자들의 유해를 봉안하는 봉안시설을 건설하는 문제였다. 희생자들의 절대 대다수가 안산 시민이고, 안산 내에 있는 [[단원고등학교]] 학생과 교사였던 만큼, 안산에 이들을 봉안하는 것은 충분히 당위성이 있었다. 그러나 봉안시설로 표현되는 '납골당'이 풍기는 이미지로 인해 혐오 시설로 분류되어 왔으므로 안산 시민들이 자주 이용하는 공원인 화랑유원지 안에 납골당 시설을 함께 두는 것이 옳은지 반발하는 목소리가 일어났다. 이와 같은 반대 목소리에는 제종길 시장이 충분한 논의를 거쳐서 평화안전공원 조성을 추진하기를 원하는 주장도 있었고, 원천적으로 납골당을 비롯한 추모 시설을 들여서는 안 된다는 주장도 존재했다. 반대론 측은 극단적으로는 "화랑유원지 납골당화"라는 프레임까지 사용하며 봉안시설 유치를 반대했다. 화랑유원지 전체를 세월호 사고 희생자를 위한 '납골당'으로 사용한다고 호도한 것이었다. 여기에 대해 위성태 4·16 안산시민연대 사무국장은 해당 봉안시설이 전체 618,000제곱미터에 해당하는 화랑유원지 중에서도 지하 660제곱미터, 즉 0.1%만 활용된다는 점을 들어 반박하기도 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25&aid=0002812626|#]] 문제는 이와 같은 논쟁이 선거를 앞두고 정치적 이슈로 활용되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자유한국당]], [[바른미래당]] 후보들은 시장후보들부터가 도의원, 시의원 후보에 이르기까지 대다수가 납골당 프레임을 십분 활용하여 안산시민들의 [[님비]] 심리를 자극했다. 강광주 자유한국당 시의원 후보, 박주원 바른미래당 안산시장 후보[* 민선 4기 前 안산시장이다. DJ 비자금 제보자 논란에 휩싸여 국민의당 최고위원직을 사퇴했던 사람이다.] 측은 자신들의 홍보물에 '납골당'이라는 표현을 사용하기까지 했으며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441380&utm_source=dable|#]],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442834&utm_source=dable|#]]), 화랑유원지가 있는 초지동, 고잔동을 지역구로 하는 이혜경 바른미래당 후보 또한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32&aid=0002874464|집안의 강아지가 죽어도 마당에 묻지는 않는다]]'''는 [[헤이트 스피치|표현]]을 사용하며 여론의 뭇매를 맞았다. 세월호 희생자들을 [[개]]에 비유한 것처럼 해석될 가능성이 높은 표현이었기 때문이다. 기초단체장 개표 결과 [[윤화섭]] 더불어민주당 시장 후보가 승리했다.[* 대부동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승리를 거두었는데, 그 대부동에서도 1,341:1,689이라는, 겨우 300여표 차이였을 정도다.] 그러나 자유한국당 [[이민근]] 후보도 29.98%의 득표를 했고, [[박주원(정치인)|박주원]] 바른미래당 후보 또한 13.87%의 득표율로 선거 비용 반액을 보전 받는데 성공했다. 결과적으로 두 후보 모두 낙선했지만, [[윤화섭]] 당선인도 제종길 시장에 비해서는 평화안전공원 추진에 대해 유보적인 입장을 보이게 되는 등, [[님비]] 심리를 자극한 것은 어느 정도 효과가 있었음을 보여주었다. ~~어차피 3명 외에 다른 후보가 출마를 안 해서 갈라질 표도 없었다~~ 다만 안산시에 배정된 도의원 8석은 더불어민주당이 전석을 석권하였고, 안산시의회에서도 더불어민주당이 1당을 유지하는데 성공하였으며, '''바른미래당은 여기에서도 1석도 건지지 못하였다.'''[* 국민의당 출신 현역 시의원도 바른미래당으로 입후보했지만 낙선했다.] 자유한국당 후보 몇 명은 가까스로 생환하였지만, 해당 지역구의 자유한국당에 대한 지지가 높아서 당선된 것이 아니라 2명 ~ 3명까지 당선이 되는 [[중선거구제]]의 혜택을 보았을 뿐이다. == 고양시 == ||<-4><:>[[고양시|{{{#ffffff '''고양시장'''}}}]]|| ||<|2><:>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2><:>{{{#ffffff 1}}}||<:>[[이재준(1960)|이재준]]||<:>'''287,047'''||<:>'''1위'''|| ||<:>[[더불어민주당|{{{#000000,#e5e5e5 더불어민주당}}}]]||<:>'''58.47%'''||<:>'''당선'''|| ||<|2><:>{{{#ffffff 2}}}||<:>[[이동환(1966)|이동환]]||<:>133,911||<:>2위|| ||<:>[[자유한국당|{{{#000000,#e5e5e5 자유한국당}}}]]||<:>27.28%||<:>낙선|| ||<|2><:>{{{#ffffff 3}}}||<:>[[김필례]]||<:>28,850||<:>4위|| ||<:>[[바른미래당|{{{#000000,#e5e5e5 바른미래당}}}]]||<:>5.87%||<:>낙선|| ||<|2><:>{{{#000000 5}}}||<:>[[박수택]]||<:>41,048||<:>3위|| ||<:>[[정의당|{{{#000000,#e5e5e5 정의당}}}]]||<:>8.36%||<:>낙선|| ||<|3><:>'''계'''||<:>선거인 수||<:>855,005||<|3><:>투표율[br]58.2%|| ||<:>투표 수||<:>497,754|| ||<:>무효표 수||<:>6,898|| 경기도 기초단체장 중 절반 가까이를 물갈이하겠다는 민주당 경기도당의 공천 방침에 따라 최성, 유영록, 김성제 등이 컷오프 대상이 되었다. 김성제는 이에 불복하여 탈당 후 무소속으로 출마했지만 낙선했고, 최성은 당의 방침을 수용하며 별다른 액션을 취하지는 않았다. 최성이 고양시장 재선을 해 온 8년 간 시정 평가는 안 좋았지만, 어쨌든 당은 새로운 후보를 찾아 공천했고 이겼다. 최성의 향후 진로는 정해진 것이 없지만,[* 원 지역구였던 [[고양시 을]]은 [[정재호(1965)|정재호]]가 가져갔다.] 2년 뒤 21대 총선에서 고양시의 ~~그야말로~~ 인구 폭발로 인해 '고양시 무' 선거구가 증설될 것 같아 여기에 출마를 할 가능성도 있고 재기할 방법이 있다. 아니면 이재준의 당선으로 공석이 된 고양시 갑에 출마할 수 있다...만 수도권에서 더불어민주당과 정의당의 관계를 생각하면 덕양갑구를 의도적으로 피할 것이다. 정의당은 심상정의 영향력이 점점 커지면서 광역의회 비례득표에서 자유한국당과 5.14%의 차이로 3위를 기록했고 [[박수택]]도 8.36%의 득표율로 3위를 차지하였다. == [[과천시]] == ||<-4> {{{#ffffff {{{+1 '''과천시장'''}}}}}}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김종천(1972)|김종천]]''' || '''16,366''' || '''1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50.35%''' || '''당선''' || ||<|2> {{{#ffffff {{{+5 '''2'''}}}}}} || [[신계용]] || 11,726 || 2위 || || [include(틀:자유한국당)] || 36.08% || 낙선 || ||<|2> {{{#ffffff {{{+5 '''3'''}}}}}} || 안용기 || 951 || 4위 || || [include(틀:바른미래당)] || 2.92% || 낙선 || ||<|2> {{{#ffffff {{{+5 '''6'''}}}}}} || 안영 || 3,457 || 3위 || || [include(틀:무소속)] || 10.63% || 낙선 || ||<|3><:>'''계'''||<:>선거인 수||<:>46,715||<|3><:>투표율[br]70.16%|| ||<:>투표 수||<:>32,775|| ||<:>무효표 수||<:>275|| 수도권의 민주당 강세에 힘입어 김종천 후보가 당선되었다. 정의당,녹색당 등이 지지한 안영 후보가 10%나 가져간 상황에서도 무난하게 승리했다. == [[의왕시]] == ||<-4> {{{#ffffff {{{+1 '''의왕시장'''}}}}}}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김상돈(1961)|김상돈]]''' || '''36,654''' || '''1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45.07%''' || '''당선''' || ||<|2> {{{#ffffff {{{+5 '''2'''}}}}}} || [[권오규(1966)|권오규]] || 17,118 || 3위 || || [include(틀:자유한국당)] || 21.05% || 낙선 || ||<|2> {{{#ffffff {{{+5 '''6'''}}}}}} || [[김성제(정치인)|김성제]] || 27,537 || 2위 || || [include(틀:무소속)] || 33.86% || 낙선 || ||<|3><:>'''계'''||<:>선거인 수||<:>127,960||<|3><:>투표율[br]64.38%|| ||<:>투표 수||<:>82,380|| ||<:>무효표 수||<:>1,071|| 여권 후보의 분열로 인해 [[권오규(1966)|권오규]]의 어부지리 승리도 노려볼 수 있었지만 막상 뚜껑을 열어보니까 어차피 자유한국당에는 죽어도 표를 안 준다는 것이 드러났다. [[김성제(정치인)|김성제]]는 무소속으로 출마해서도 33.86%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현역 프리미엄 + 지역구 영향력을 과시했지만, 당 지지율이 워낙 압도적인 터라 결국 고배를 마셨다. == 구리시 == ||<-4> {{{#ffffff {{{+1 '''구리시장'''}}}}}}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안승남]]''' || '''57,895''' || '''1위''' || || [[더불어민주당|[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60.02%''' || '''당선''' || ||<|2> {{{#ffffff {{{+5 '''2'''}}}}}} || [[백경현]] || 38,562 || 2위 || || [[자유한국당|[include(틀:자유한국당)]]] || 39.97% || 낙선 || ||<|3><:>'''계'''||<:>'''선거인 수'''||<:>165,295||<|3><:>투표율[br]59.11%|| ||<:>'''투표 수'''||<:>97,704|| ||<:>'''무효표 수'''||<:>1,247|| == [[남양주시장|남양주시]] == ||<-4><:>[[남양주시장|{{{#ffffff '''남양주시장'''}}}]]|| ||<|2><:>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2><:>{{{#ffffff 1}}}||<:>[[조광한]]||<:>'''186,730'''||<:>'''1위'''|| ||<:>[[더불어민주당|{{{#000000,#e5e5e5 더불어민주당}}}]]||<:>'''64.39%'''||<:>'''당선'''|| ||<|2><:>{{{#ffffff 2}}}||<:>[[예창근]]||<:>77,427||<:>2위|| ||<:>[[자유한국당|{{{#000000,#e5e5e5 자유한국당}}}]]||<:>26.7%||<:>낙선|| ||<|2><:>{{{#ffffff 3}}}||<:>이인희||<:>22,695||<:>3위|| ||<:>[[바른미래당|{{{#000000,#e5e5e5 바른미래당}}}]]||<:>7.82%||<:>낙선|| ||<|2><:>{{{#ffffff 6}}}||<:>송영진||<:>3,120||<:>4위|| ||<:>[[대한애국당|{{{#000000,#e5e5e5 대한애국당}}}]]||<:>1.07%||<:>낙선|| ||<|3><:>'''계'''||<:>선거인 수||<:>537,349||<|3><:>투표율[br]54.9%|| ||<:>투표 수||<:>294,808|| ||<:>무효표 수||<:>4,836|| 남양주시는 보수성향이 상당히 강한 곳이였으나, 이제는 수동면, 조안면 양정동 빼고는 거의 다 개발이 완료된 지역(특히 평내호평으로 대표되는 아파트 단지나 오남읍 등)으로 민주당계 성향의 지지자들이 훨씬 많아지면서 2.41배 차이로 민주당이 싱거운 승리를 거두었다. == [[오산시]] == ||<-4> {{{#ffffff {{{+1 '''오산시장'''}}}}}}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곽상욱]]''' || '''64,340''' || '''1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72.29%''' || '''당선''' || ||<|2> {{{#ffffff {{{+5 '''2'''}}}}}} || [[이권재]] || 19,028 || 2위 || || [include(틀:자유한국당)] || 21.37% || 낙선 || ||<|2> {{{#ffffff {{{+5 '''3'''}}}}}} || 이춘성 || 5,633 || 3위 || || [include(틀:바른미래당)] || 6.32%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69,638 ||<|3> '''투표율'''[br]53.11% || || '''투표 수''' || 90,091 || || '''무효표 수''' || 1,090 || 안민석의 지역구이기도 하고, 19대 대선에서 문재인이 오산시 전 지역에서 1위를 기록했듯이, 이번에도 무난하게 더불어민주당이 당선되었다. == 화성시 == ||<-4><:>[[화성시|{{{#ffffff '''화성시장'''}}}]]|| ||<|2><:>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2><:>{{{#ffffff 1}}}||<:>[[서철모(1968)|서철모]]||<:>'''182,608'''||<:>'''1위'''|| ||<:>[[더불어민주당|{{{#000000,#e5e5e5 더불어민주당}}}]]||<:>'''59.08%'''||<:>'''당선'''|| ||<|2><:>{{{#ffffff 2}}}||<:>[[석호현]]||<:>60,622||<:>2위|| ||<:>[[자유한국당|{{{#000000,#e5e5e5 자유한국당}}}]]||<:>19.61%||<:>낙선|| ||<|2><:>{{{#ffffff 3}}}||<:>[[최영근(1959)|최영근]]||<:>47,475||<:>3위|| ||<:>[[바른미래당|{{{#000000,#e5e5e5 바른미래당}}}]]||<:>15.36%||<:>낙선|| ||<|2><:>{{{#ffffff 4}}}||<:>[[김형남(정치인)|김형남]]||<:>18,371||<:>4위|| ||<:>[[민주평화당|{{{#000000,#e5e5e5 민주평화당}}}]]||<:>5.94%||<:>낙선|| ||<|3><:>'''계'''||<:>선거인 수||<:>551,721||<|3><:>투표율[br]56.9%|| ||<:>투표 수||<:>313,779|| ||<:>무효표 수||<:>4,703|| 민주평화당 김형남이 의외로 당 지지율에 비해 5.94%의 득표율을 받고 약진했다.--다만 서철모를 제외하고는 현재 모두 국민의힘 소속이다.-- == [[시흥시]] == ||<-4> {{{#ffffff {{{+1 '''시흥시장'''}}}}}}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임병택]]''' || '''132,261''' || '''1위''' || || [[더불어민주당|[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72.50%''' || '''당선''' || ||<|2> {{{#ffffff {{{+5 '''2'''}}}}}} || [[곽영달(1959)|곽영달]] || 50,151 || 2위 || || [[자유한국당|[include(틀:자유한국당)]]] || 27.49%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350,586 ||<|3> '''투표율'''[br]52.86% || || '''투표 수''' || 185,311 || || '''무효표 수''' || 2,899 || 민선 7기 최연소 기초자치단체장의 탄생. 득표율도 무려 70%가 넘기는 경악할 득표율을 올렸다. 임병택은 [[수인분당선]] 직결 운행에 시흥에다 대형단지를 끌어온 공으로 이후 지방선거에서도 당선될 전망. 8회 지선도 역시 임병택 시흥시장 재선에 성공했다. == [[군포시]] == ||<-4> {{{#ffffff {{{+1 '''군포시장'''}}}}}}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한대희]]''' || '''80,139''' || '''1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56.11%''' || '''당선''' || ||<|2> {{{#ffffff {{{+5 '''2'''}}}}}} || [[최진학]] || 35,427 || 2위 || || [include(틀:자유한국당)] || 24.81% || 낙선 || ||<|2> {{{#ffffff {{{+5 '''3'''}}}}}} || [[김윤주]] || 24,649 || 3위 || || [include(틀:바른미래당)] || 17.25% || 낙선 || ||<|2> {{{#ffffff {{{+5 '''6'''}}}}}} || 안희용 || 2,606 || 4위 || || [include(틀:무소속)] || 1.82% || 낙선 || ||<|3><:>'''계'''||<:>선거인 수||<:>228,999||<|3><:>투표율[br]63.13%|| ||<:>투표 수||<:>144,556|| ||<:>무효표 수||<:>1,735|| 김윤주 현 시장의 실정이 겹친 결과 처음부터 판도가 더불어민주당 쪽으로 기울어져 있었다. 군포중앙도서관 리모델링을 하면서 칸막이 열람실을 존치하겠다는 약속을 어기고 열람실을 없애버린 것이 대표적. 여기에 당동, 당정동 지역의 낙후된 구 시가지 개발이 진전되지 않았고, 결정적으로 김윤주의 비서실장이 관급공사 관련 비리로 구속되면서 판이 터져버렸다. == [[하남시]] == ||<-4> [[하남시장|{{{#ffffff {{{+1 '''하남시장'''}}}}}}]]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김상호(정치인)|김상호]]''' || '''75,119''' || '''1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65.91%''' || '''당선''' || ||<|2> {{{#ffffff {{{+5 '''2'''}}}}}} || [[구경서]] || 38,836 || 2위 || || [include(틀:자유한국당)] || 34.08% || 낙선 || ||<|3><:>'''계'''||<:>선거인 수||<:>194,181||<|3><:>투표율[br]59.44%|| ||<:>투표 수||<:>115,419|| ||<:>무효표 수||<:>1,464|| 비리로 시장직을 잃은 [[이교범]]의 삽질에도 65.91%의 득표율로 다시 한번 수성에 성공하였다. 재보궐로 당선되었던 [[오수봉]] 前 시장 같은 경우에는 임기가 1년밖에 되지 않아서 무능하다고 비난하기는 좀 미묘하다. 오수봉은 이후, [[하남 버스 2-1]]의 기사가 되어 마을버스 기사로 근무중이다. --시장님이 운전하는 마을버스라니-- == 파주시 == ||<-4><:>[[파주시|{{{#ffffff '''파주시장'''}}}]]|| ||<|2><:>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2><:>{{{#ffffff 1}}}||<:>[[최종환(정치인)|최종환]]||<:>'''116,023'''||<:>'''1위'''|| ||<:>[[더불어민주당|{{{#000000,#e5e5e5 더불어민주당}}}]]||<:>'''60.83%'''||<:>'''당선'''|| ||<|2><:>{{{#ffffff 2}}}||<:>[[박재홍(1955)|박재홍]]||<:>55,958||<:>2위|| ||<:>[[자유한국당|{{{#000000,#e5e5e5 자유한국당}}}]]||<:>29.34%||<:>낙선|| ||<|2><:>{{{#ffffff 3}}}||<:>권종인||<:>11,760||<:>3위|| ||<:>[[바른미래당|{{{#000000,#e5e5e5 바른미래당}}}]]||<:>6.16%||<:>낙선|| ||<|2><:>{{{#000000 5}}}||<:>이상헌||<:>6,976||<:>4위|| ||<:>[[정의당|{{{#000000,#e5e5e5 정의당}}}]]||<:>3.7%||<:>낙선|| ||<|3><:>'''계'''||<:>선거인 수||<:>352,518||<|3><:>투표율[br]55.0%|| ||<:>투표 수||<:>193,804|| ||<:>무효표 수||<:>3,087|| 현역 프리미엄이 없었다. 아니, 프리미엄 자체가 형성될 동네가 아니다(...) --양천구청장 파주시 버전-- 앞서 이전 시장들의 근황을 보자면... 민선 3-4기 [[류화선]]은 충격적 수위의 막말 파문[* 전화가 끊어진 걸 알고 여성 당원에게 쌍욕을 했단다.]으로 2년 전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새누리당]] 공천도 받지 못한 채 무소속으로 [[파주시 을]] 선거구에 출마했다가 장렬하게 꼴찌로 낙선했고[* [[황진하]]는 류화선이 표를 12.57%를 갉아먹은 덕에 낙선했고, 6.78%의 득표율 차이로 7권역을 더불어민주당이 싹쓸이하는 일이 생겼다.], 5기 [[이인재]]는 두 번째 선거에 공무원을 동원한 혐의로 이재홍한테 밀려 낙선한 것도 모자라서 피선거권을 박탈당해서 정계에서 볼 일은 없어졌다. 6기 [[이재홍(정치인)|이재홍]]은... ~~콜버스~~ [[신일여객(파주)]]의 사업 편의를 봐주고 수천만 원대 뇌물을 받아 구속되며 파주의 수치가 되었다. 예전보다 덜해졌다고 하지만 파주는 수도권의 일반적 지역과는 달리 지역적 특징 덕에 여전히 보수정당의 세가 유의미한 곳이었다. 지난 19대 대선에선 [[문재인]]이 크게 이기긴 했지만, 그런 와중에도 [[홍준표]]는 적성~광탄의 토착민 위주 동부 지역을 가져왔고, 금촌 1동이나 문산읍에서도 2위를 차지한 덕에 [[안철수]]를 아슬아슬하게 누르고 전체 2위를 가져갈 수 있었다. 이번 선거 역시 엇비슷한 흐름으로 갈 줄 알았으나... 4월부터 접경 지역 민심에 결정적 영향을 미친 [[2018 제1차 남북정상회담]], [[2018 제2차 남북정상회담]], [[2018 북미정상회담]]이 터지며 급격하게 민주당으로 대세가 넘어온다. 거기에 [[황진하]]의 [[바른정당]] 입당과 이어진 정계 은퇴, 그리고, 이재홍은 시장직 상실 이후 지역에서 자유한국당이 설 자리가 확 사라진 것도 있었다. 애초 파주의 수치를 다시 뽑아줄 동네가 아니다. --이미 수어번 낚여서 다시는 낚이지 않는다 카더라-- 결과적으로 파주시 인구의 2/3를 차지하고 있는 교하-운정, 금촌, 문산[* 교하-운정 20만 명, 금촌 9만 명, 문산 5만 명 정도다. 합치면 34만 명. 기타 지역이 10만 명밖에 안 된다(...).]에서의 표차는 더 벌어지고, [[LG디스플레이]]가 있는 월롱에서의 지지 역시 더 강해졌다. 게다가 지난 대선에선 홍준표에게 표를 줬던 주내까지 넘어오며 최종환은 31.49%의 득표율 차이로 넉넉하게 승리를 가져가게 된다. == 여주시 == ||<-4><:>[[여주시|{{{#ffffff '''여주시장'''}}}]]|| ||<|2><:>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2><:>{{{#ffffff 1}}}||<:>[[이항진|{{{#000000,#e5e5e5 이항진}}}]]||<:>'''18,399'''||<:>'''1위'''|| ||<:>[[더불어민주당|{{{#000000,#e5e5e5 더불어민주당}}}]]||<:>'''33.87%'''||<:>'''당선'''|| ||<|2><:>{{{#ffffff 2}}}||<:>[[이충우(여주)|{{{#000000,#e5e5e5 이충우}}}]]||<:>18,090||<:>2위|| ||<:>[[자유한국당|{{{#000000,#e5e5e5 자유한국당}}}]]||<:>33.3%||<:>낙선|| ||<|2><:>{{{#ffffff 6}}}||<:>신철희||<:>1,874||<:>4위|| ||<:>[[무소속|{{{#000000,#e5e5e5 무소속}}}]]||<:>3.5%||<:>낙선|| ||<|2><:>{{{#ffffff 7}}}||<:>[[원경희]]||<:>15,946||<:>3위|| ||<:>[[무소속|{{{#000000,#e5e5e5 무소속}}}]]||<:>29.36%||<:>낙선|| ||<|3><:>'''계'''||<:>선거인 수||<:>94,136||<|3><:>투표율[br]60.0%|| ||<:>투표 수||<:>55,406|| ||<:>무효표 수||<:>1,097|| 이항진은 본래 여주에서 큰 규모의 [[한식당]]을 운영하던 [[자영업자]]였는데, 이명박 정부의 대운하, 4대강 사업에 반대하는 운동을 하였다. 그 후 자신이 운영하는 식당 주차장에 못이 박힌 자동차가 생기기 시작하는 탄압을 받아 가게는 문을 닫아야 했으며 가세 또한 기울었고, [[마을회관]]에 기거하며 [[환경운동가]]의 길을 가게 된다. 민선 6기 원경희는 [[정병국]]의 사람으로 분류되는데, 정 의원이 바른정당 분당 과정에서 당을 바꾸었지만 원 시장은 새누리당-자유한국당 당적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었다. 이번 선거에서 바른미래당 인사와 연관된 인사들은 [[자유한국당]]의 컷오프 대상이 되었고, 원 시장은 탈당 후 무소속으로 출마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김선교]]가 기자회견에서 [[원경희]] 여주시장을 원색적으로 비난하는 모습과 원경희를 지지하는 자유한국당 당원의 명부를 공개하는 등 여러 가지 갈등을 보이는 등 가지가지 하는 모습을 보이게 되었다. 게다가 [[김선교]] 측 인사들이 [[원경희]] 여주시장 후보에게 인신공격적인 메시지를 보내고, 각종 [[갑질]] 등 [[김선교/비판 및 논란|여러가지 논란거리]]들을 보여주면서 여주시민들이 [[양평군|양평군수]]가 지역 사정도 모르고 [[여주시]] 선거에 개입한다는 등 부정적인 평가를 하였다.[[http://www.1gan.co.kr/news/articleView.html?idxno=151121|#]][[https://m.ilyo.co.kr/?ac=article_view&entry_id=29|#]] 인구 구성 상 이항진이 도저히 이길 수 없던 선거였지만, 원경희가 출마를 강행하면서 표의 분산이 이루어졌고, 면 지역의 열세를 시내 지역과 가남읍에서 뒤집으면서 이 후보가 불과 309표 차이로 민주당계 인사로는 20년 만에, 순수 민주당계로는 역대 최초로 여주시장의 자리에 올랐다.[* 물론, 20년 전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민주당계 정당인 [[새정치국민회의]]의 박용국(당시 민선 1기 여주시장)이 한 번 당선된 적이 있다. 물론 박용국은 초선 군수였을때 [[민주자유당]] 후보로 당선되었고 보수정당에서 넘어온 전향자이다.] == 이천시 == ||<-4> {{{#ffffff {{{+1 '''이천시장'''}}}}}}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엄태준]]''' || '''52,991''' || '''1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57.50%''' || '''당선''' || ||<|2> {{{#ffffff {{{+5 '''2'''}}}}}} || [[김경희(1955)|김경희]] || 39,156 || 2위 || || [include(틀:자유한국당)] || 42.49%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71,518 ||<|3> '''투표율'''[br]54.63% || || '''투표 수''' || 93,704 || || '''무효표 수''' || 1,557 || 인구 20만의 외곽 농촌도시(물론 SK하이닉스와 현대엘리베이터, OB맥주 등의 산업시설이 있지만)에 벌어진 극적인 변화의 시작은 어디였을까. 짚어본다면, 조병돈 현 시장이 4년 전 새누리당의 여성 우선 공천 방침[* 지금이야, [[여성할당제]]를 민주당에서도 시행하려는 조짐을 보이고 있지만, 원래는 자유한국당이 새누리당 시절에 먼저 시도했다. ~~그 바람에 보수텃밭을 민주당에게 일부 넘겨준 꼴이 되었다~~]에 반발하여, 새정치민주연합으로 당을 옮겨 민주당계 무소속 후보까지 엮인 3파전에서 신승한 것이 시작일 것이다. 2016년 20대 총선에서는 새누리당 후보가 무난히 당선되면서 6회 지선은 조병돈이라는 인물이 주요하게 작용했던 일시적인 현상이라고 생각되었지만, 지난 대통령 선거와 이번 지방선거에서의 급격한 민심 변화에 이천시도 포함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장기적으로 경강선과 같은 전철 개통이 이천시 등 수도권 농촌 도시의 인구 구성을 바꿀 수 있을지 지켜보는 것도 관전 포인트가 될 수 있다. 한 가지 사례를 첨부하면, 이천시에는 [[신둔도예촌역]] 등 전철역 인근을 중심으로 다세대 주택이 우후죽순 지어지고 있다. 그리고 그 주택들에는 서울이나 성남시 분당의 높아지는 전셋값에 밀려 이주하는 젊은 인구들이 입주하고 있다. 게다가 과거 [[수려선]] [[오천역]]이 존재했던 마장면에는 마장택지지구가 지어지고 있기 때문에 보수 성향이 더 희석될 가능성이 있다. == 용인시 == ||<-4> [[|{{{+1 [[파일:용인시 CI_White.svg|width=30px]]}}}]] [[용인시장|{{{#ffffff {{{+1 '''경기도 용인시장'''}}}}}}]]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백군기|{{{#373a3c,#dddddd 백군기}}}]](白君基)''' || '''260,916''' || '''1위''' || || [[더불어민주당|[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53.72%''' || '''당선''' || ||<|2> {{{#ffffff {{{+5 '''2'''}}}}}} || [[정찬민|{{{#373a3c,#dddddd 정찬민}}}]](鄭燦敏) || 153,869 || 2위 || || [[자유한국당|[include(틀:자유한국당)]]] || 41.16% || 낙선 || ||<|2> {{{#ffffff {{{+5 '''3'''}}}}}} || {{{#373a3c,#dddddd 김상국}}}(金相國) || 20,788 || 3위 || || [[바른미래당|[include(틀:바른미래당)]]] || 4.28% || 낙선 || ||<|2> {{{#ffffff {{{+5 '''3'''}}}}}} || {{{#373a3c,#dddddd 유영욱}}}(柳泳旭) || 4,054 || 4위 || || [[민주평화당|[include(틀:민주평화당)]]] || 0.83%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794,871 ||<|3> '''투표율'''[br]61.80% || || '''투표 수''' || 491,300 || || '''무효표 수''' || 5,639 || '''정찬민의 유일한 단점은 그가 자유한국당 소속인 것'''이라는 말이 용인 정가에 돌 정도로 정찬민 현 시장의 시정 수행 평가가 좋았고[* 단, 적어도 수지구에서는 우회 도로 건설 문제, 주택 관련 문제 등 비토가 많았고, 그 덕분에 오히려 더 처인구보다 자유한국당 지지세가 강한 수지구에서 정찬민은 38.19%를 받았다.] 그렇기 때문에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백군기와 정찬민의 6만 1천 13표로 득표 수 차이가 적은 것이다. 결국 정당의 공천을 받고 출마한 이상 정당 대 정당의 대결 구도를 피할 수 없다. 그런 이유 때문인지 정당의 색채를 지운 파란 포스터를 썼다. 만약 정 시장이 무소속으로 출마했다면 당선됐을 가능성도 있고. 만약 더불어민주당 소속으로 출마했다면 못해도 약 70%는 넘었을 것이다. 다만 성향상 민주당 쪽에 가까워보이는 정 시장이 왜 자유한국당에 있는지 이유는 불명.[* 성남시 무상교복을 벤치마킹 하는 등, 재임기간 동안 상당히 개혁적인 정책을 펼쳤다. 그래서 이번 선거에서 경기도지사로 당선된 이재명과의 친분이 있다. 또한 [[박근혜 정부]]에서 특례시의 세금을 다른 지방 자치단체에 보전해주자는 공산주의적 정책에 반발한 성남시장 시절의 [[이재명]]이 이에 대해서 반대하는 의견을 공론화하려고 했을 때, 여당측에서 유일하다시피 좋게 나서줬던 사람이 바로 정찬민이였기 때문. 물론 이 부분에서는 용인시도 피해를 보기 때문이었지만.] == 안성시 == ||<-4> {{{#ffffff {{{+1 '''안성시장'''}}}}}}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우석제]]''' || '''41,592''' || '''1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51.59%''' || '''당선''' || ||<|2> {{{#ffffff {{{+5 '''2'''}}}}}} || [[천동현]] || 27,392 || 2위 || || [include(틀:자유한국당)] || 33.97% || 낙선 || ||<|2><:>{{{#ffffff {{{+5 '''4'''}}}}}}|| 박경윤 || 1,456 || 4위 || || [include(틀:민주평화당)] || 1.81% || 낙선 || ||<|2> {{{#ffffff {{{+5 '''6'''}}}}}} || 이기영 || 10,177 || 3위 || || [include(틀:무소속)] || 12.62%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49,626 ||<|3> '''투표율'''[br]54.83% || || '''투표 수''' || 82,036 || || '''무효표 수''' || 1,419 || 보수 성향인 동네가 다른 곳 보다 훨씬 많아서 경기도의 TK라는 소리가 나왔는데, 이 걸 뒤집어버린 것이 바로 안성시내 보다 인구가 많은 [[공도읍]]의 영향이 컸다. 이 [[공도읍]]은 안성시 다른 지역을 모두 먹여살리는 거나 마찬가지인 역할이라[* 인구의 3분의 1에 해당하는 5만 7천여 명이 생활하고 있고, 신도시가 위치해있다. 또한 [[평택시]]와도 가까우며 원곡면, 양성면과 함께 평택 생활권으로 분류된다.] 젊은 인구가 가장 많은 곳에 속했고, 이 영향으로 인해, 민주당계가 51.59%의 득표율로 당선을 이루는 쾌거를 이뤄냈다. 이는 김학용이 젊은이를 비하해대는 삽질을 했던 것도 있었는데 결국 김학용은 21대 총선에서 낙선한다. '''하지만'''.. [[우석제]]는 2019년 9월 10일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로 시장직을 상실했다. 그나마 [[2020년 재보궐선거|재보궐선거]]에서 민주당 [[김보라(정치인)|김보라]] 후보가 신승하고, 총선에서도 민주당이 의석을 뺏어오며, 보수 성향이 점점 옅어진다는 것은 확실해보인다. == 김포시 == ||<-4><:>[[김포시|{{{#ffffff '''김포시장'''}}}]]|| ||<|2><:>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2><:>{{{#ffffff 1}}}||<:>[[정하영]]||<:>'''116,910'''||<:>'''1위'''|| ||<:>[[더불어민주당|{{{#000000,#e5e5e5 더불어민주당}}}]]||<:>'''65.84%'''||<:>'''당선'''|| ||<|2><:>{{{#ffffff 2}}}||<:>[[유영근]]||<:>54,437||<:>2위|| ||<:>[[자유한국당|{{{#000000,#e5e5e5 자유한국당}}}]]||<:>30.65%||<:>낙선|| ||<|2><:>{{{#ffffff 4}}}||<:>유영필||<:>6,214||<:>3위|| ||<:>[[민주평화당|{{{#000000,#e5e5e5 민주평화당}}}]]||<:>3.49%||<:>낙선|| ||<|3><:>'''계'''||<:>선거인 수||<:>316,246||<|3><:>투표율[br]56.9%|| ||<:>투표 수||<:>180,067|| ||<:>무효표 수||<:>2,506|| 정하영 당선인은 지난 [[김포시 을]] 선거에서 이기지 못했던 통진읍, 양촌읍, 대곶면, 월곶면, 하성면을 포함한 읍면 지역에서도 적어도 100여표에서 많으면 3000여표 차이로 승리를 거두었고[* 특히 대곶면, 월곶면, 하성면은 19대 대선에서도 홍준표 후보가 이긴 지역이다. 그런데 여기서도 이긴 것이다.], 동 지역에서는 최소 5000여표에서 많으면 무려 10000표 차이로 유영근 후보를 떡실신시켰다. 결과적으로는 무려 2.15배의 차이로 압승했다. 7회 김포시장 선거는 김포시 읍면 지역의 이중적인 투표 성향을 잘 볼 수 있는 선거이기도 하다. 이들 지역은 평소에는 자유한국당 등 보수 정당이 우세하지만, 김포시장 선거에서는 [[유영록]], 정하영 등의 민주당 후보를 밀어주는 경향이 있다. 김포시 면 지역은 19대 대선에서조차 홍준표가 문재인을 이긴 지역이지만, 이번 김포시장 선거에서만큼은 정하영이 유영근을 가볍게 따돌렸다. == 광주시 == ||<-4><:>[[광주시|{{{#ffffff '''광주시장'''}}}]]|| ||<|2><:>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2><:>{{{#ffffff 1}}}||<:>[[신동헌(정치인)|신동헌]]||<:>'''94,217'''||<:>'''1위'''|| ||<:>[[더불어민주당|{{{#000000,#e5e5e5 더불어민주당}}}]]||<:>'''61.13%'''||<:>'''당선'''|| ||<|2><:>{{{#ffffff 2}}}||<:>[[홍승표(1956)|홍승표]]||<:>48,637||<:>2위|| ||<:>[[자유한국당|{{{#000000,#e5e5e5 자유한국당}}}]]||<:>31.56%||<:>낙선|| ||<|2><:>{{{#ffffff 3}}}||<:>남궁형||<:>8,983||<:>3위|| ||<:>[[바른미래당|{{{#000000,#e5e5e5 바른미래당}}}]]||<:>5.82%||<:>낙선|| ||<|2><:>{{{#ffffff 6}}}||<:>하성권||<:>2,265||<:>4위|| ||<:>[[무소속|{{{#000000,#e5e5e5 무소속}}}]]||<:>1.4%||<:>낙선|| ||<|3><:>'''계'''||<:>선거인 수||<:>287,993||<|3><:>투표율[br]54.2%|| ||<:>투표 수||<:>156,159|| ||<:>무효표 수||<:>2,057|| 서울과의 거리가 가깝고 성남시 분당과 맞닿은 광주시이지만, 이 곳을 도시라고 부를 수 있게 된 건 얼마 되지 않는다. 불과 다른 군급 도시와 함께 광주군이였다. 그래서, 언론에서도 광주군 하면 경기도를 얘기하고 광주시를 얘기하면 광주광역시를 얘기할 정도로 구분이 쉬웠을 정도. 게다가 여긴 한강 상수원 지역이라 변변한 개발 계획도 세울 수 없는 곳이였는데, 아파트 숲과 다세대주택으로 변모한 건 서울과 성남시 지역의 높은 전세가가 결정적이었다. 그 전세난에 치어 온 사람들은 당연히, 젊은 나이+소득 수준과 별개로 지금 갖고 있는 사유 재산이 적은 사람들로 더불어민주당 지지층과 일치한다. 서울 지역은 대개 강동 지역과 성남 등지에서 넘어왔다. 광주시에 다니는 [[경기광주 버스 1113-1]], [[경기광주 버스 1113-2]]가 그 예. [[수도권 전철 경강선]]이 들어오면서 젊은 인구층은 갈수록 증가했고, 이로서, 더불어민주당이 61.13%의 득표율로 당선될 조건은 충분했다. == 포천시 == ||<-4><:>[[포천시|{{{#ffffff '''포천시장'''}}}]]|| ||<|2><:>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2><:>{{{#ffffff 1}}}||<:>[[박윤국]]||<:>'''35,993'''||<:>'''1위'''|| ||<:>[[더불어민주당|{{{#000000,#e5e5e5 더불어민주당}}}]]||<:>'''52.07%'''||<:>'''당선'''|| ||<|2><:>{{{#ffffff 2}}}||<:>[[백영현]]||<:>26,007||<:>2위|| ||<:>[[자유한국당|{{{#000000,#e5e5e5 자유한국당}}}]]||<:>37.62%||<:>낙선|| ||<|2><:>{{{#ffffff 3}}}||<:>이원석||<:>7,121||<:>3위|| ||<:>[[바른미래당|{{{#000000,#e5e5e5 바른미래당}}}]]||<:>10.3%||<:>낙선|| ||<|3><:>'''계'''||<:>선거인 수||<:>129,049||<|3><:>투표율[br]54.8%|| ||<:>투표 수||<:>70,752|| ||<:>무효표 수||<:>1,631|| 사실 여긴 지난 대선 때도 비록 398표 차이지만 자유한국당이 이긴 보수 경합우세 지역이었고, 이전에 치른 재보궐선거에서도 자유한국당이 기초의원 선거구 선거와 시장 선거 모두에서 7.87%~10.18% 차이로 이겼다. 하지만 이번 선거에서 민주당은 포천에 '''[[박윤국#s-3|지방선거 계의 이인제를 잇는 철새]]'''를 영입해[* [[박윤국]]의 과거 궤적을 살펴 보면 매우 화려하다. 그나마 자민련>한나라당>무소속>민주당인 게 전부긴 해서 박윤국 입장에서는 억울할지도.] 공천하여 당선시켰다. 사실 이 건 철새인 걸 떠나서 보수 우세 지역인데, 박윤국은 당이 없고, 민주당은 박윤국한테도 밀리는지라 이 참에 박윤국을 영입해버린 것. == 연천군 == ||<-4><:>[[연천군|{{{#ffffff '''연천군수'''}}}]]|| ||<|2><:>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2><:>{{{#ffffff 1}}}||<:>왕규식||<:>11,574||<:>2위|| ||<:>[[더불어민주당|{{{#000000,#e5e5e5 더불어민주당}}}]]||<:>47.76%||<:>낙선|| ||<|2><:>{{{#ffffff 2}}}||<:>[[김광철(정치인)|김광철]]||<:>'''12,655'''||<:>'''1위'''|| ||<:>[[자유한국당|{{{#000000,#e5e5e5 자유한국당}}}]]||<:>'''52.23%'''||<:>'''당선'''|| ||<|3><:>'''계'''||<:>선거인 수||<:>38,497||<|3><:>투표율[br]64.4%|| ||<:>투표 수||<:>24,792|| ||<:>무효표 수||<:>563|| 그나마 4.46%의 득표율 차이로 자유한국당의 체면을 지킨 승리. == 양평군 == ||<-4><:>[[양평군|{{{#ffffff '''양평군수'''}}}]]|| ||<|2><:>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2><:>{{{#ffffff 1}}}||<:>[[정동균]]||<:>'''22,222'''||<:>'''1위'''|| ||<:>[[더불어민주당|{{{#000000,#e5e5e5 더불어민주당}}}]]||<:>'''37.18%'''||<:>'''당선'''|| ||<|2><:>{{{#ffffff 2}}}||<:>한명현||<:>21,484||<:>2위|| ||<:>[[자유한국당|{{{#000000,#e5e5e5 자유한국당}}}]]||<:>35.95%||<:>낙선|| ||<|2><:>{{{#ffffff 3}}}||<:>김승남||<:>7,170||<:>3위|| ||<:>[[바른미래당|{{{#000000,#e5e5e5 바른미래당}}}]]||<:>11.99%||<:>낙선|| ||<|2><:>{{{#000000 5}}}||<:>[[유상진]]||<:>3,404||<:>5위|| ||<:>[[정의당|{{{#000000,#e5e5e5 정의당}}}]]||<:>5.69%||<:>낙선|| ||<|2><:>{{{#ffffff 6}}}||<:>유강렬||<:>386||<:>7위|| ||<:>[[무소속|{{{#000000,#e5e5e5 무소속}}}]]||<:>0.64%||<:>낙선|| ||<|2><:>{{{#ffffff 7}}}||<:>신희동||<:>469||<:>6위|| ||<:>[[무소속|{{{#000000,#e5e5e5 무소속}}}]]||<:>0.78%||<:>낙선|| ||<|2><:>{{{#ffffff 8}}}||<:>김덕수||<:>4,625||<:>4위|| ||<:>[[무소속|{{{#000000,#e5e5e5 무소속}}}]]||<:>7.73%||<:>낙선|| ||<|3><:>'''계'''||<:>선거인 수||<:>98,582||<|3><:>투표율[br]61.9%|| ||<:>투표 수||<:>61,001|| ||<:>무효표 수||<:>1,241|| 사실, 양평군은 노인 인구가 많아서 가평, 연천과 같이 경기도 내부의 보수 정당세를 견인하는 보수 정당의 텃밭에 가까웠는데, 이번에는 1.23% 차이로 더불어민주당이 당선되었다. 물론 바른미래당이 11.99%를 나눠먹은 것도 크게 영향을 미쳤다. 실제로 2015년 연말과 2017년 연말 양평군의 연령대 별 인구 수를 비교해 보면 아래 표와 같다. (출처: 양평군 홈페이지) ||<:>연령||<:>2015년 연말||<:>2017년 연말|| ||<:>19세, 20대||<:>11,819||<:>12,136|| ||<:>30대||<:>11,633||<:>11,993|| ||<:>40대||<:>16,284||<:>16,723|| ||<:>50대||<:>20,091||<:>21,000|| ||<:>60대||<:>15,562||<:>18,306|| ||<:>70대 이상||<:>15,951||<:>17,879|| 젊은 층의 인구보다는 중장년층과 노년층의 인구가 높은 비중으로 늘어났으며, 이들이 대부분 [[서울특별시|서울]] 등 [[수도권(대한민국)|수도권]]에서 거주하다가 은퇴 후 전원생활을 위해 [[양평군]]에 자리를 잡았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물론 양평군 출신이 [[수도권(대한민국)|수도권]] 중견도시나 대도시에서 근무한 후 귀향생활 한 케이스도 이에 포함된다. 이들 중 대부분이 그 비싼 양평[* 농어촌 치고는 전원주택도 있고, 교통도 편리해 지가가 높은 편이다.] 지가를 감당할 정도의 안정적인 자산을 보유한 사람이 많고, 당연히 보수적인 성향이 강한 편이다. [[양평군]]에 한정해서 범진보계가 [[대한민국 국회의원|국회의원]], [[경기도의회|도의원]]과 지방자치단체 선출직을 차지한 적이 거의 없다. 아니 [[정병국]]이 60%대의 득표율을 보여준 곳이다.[* [[수도권(대한민국)|수도권]] 중에서는 최다득표율이고, 이 정도 수준이면 [[경상북도]] [[대구권|남부지역]]이나 [[경상남도]] [[부산권|동부지역]]의 대도시권 수준이다.] 이런 곳에서 정동균이 당선된 이유 중 하나는 [[자유한국당]], [[바른미래당]]의 표 분산과 [[문재인 정부]] 초기 허니문 효과도 있겠지만, 결론적으로는 [[김선교]]가 공천파동 문제[* 당시 [[원경희]]를 컷오프하면서 이웃 [[여주시]]에서 큰 분란이 생겼다.], 양평공사 비리 등 무능한 모습을 지속적으로 보인 탓에 [[김선교]]와 [[김선교]]가 공천한 한명헌에 대한 심판론을 보여준 것이라고도 해석할 수 있다. == 가평군 == ||<-4><:>[[가평군|{{{#ffffff '''가평군수'''}}}]]|| ||<|2><:>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2><:>{{{#ffffff 1}}}||<:>[[정진구(정치인)|정진구]]||<:>14,002||<:>2위|| ||<:>[[더불어민주당|{{{#000000,#e5e5e5 더불어민주당}}}]]||<:>40.62%||<:>낙선|| ||<|2><:>{{{#ffffff 2}}}||<:>[[김성기(1956)|김성기]]||<:>'''15,531'''||<:>'''1위'''|| ||<:>[[자유한국당|{{{#000000,#e5e5e5 자유한국당}}}]]||<:>'''45.05%'''||<:>'''당선'''|| ||<|2><:>{{{#ffffff 6}}}||<:>양희석||<:>3,812||<:>3위|| ||<:>[[무소속|{{{#000000,#e5e5e5 무소속}}}]]||<:>11.05%||<:>낙선|| ||<|2><:>{{{#ffffff 7}}}||<:>이창규||<:>1,125||<:>4위|| ||<:>[[무소속|{{{#000000,#e5e5e5 무소속}}}]]||<:>3.26%||<:>낙선|| ||<|3><:>'''계'''||<:>선거인 수||<:>54,583||<|3><:>투표율[br]64.7%|| ||<:>투표 수||<:>35,327|| ||<:>무효표 수||<:>857|| 가평군은 이번 선거 결과 시장과 도지사에서 표가 갈라지면서 유일하게 보수 정당이 이긴 지역인데, 더블스코어 차이였던 이전과 달리 이번엔 두 선거 모두 불과 4~4.44% 차이의 접전이었다. 여하튼 민주당은 이 지역에서 처음으로 40%대를 넘기게 되었다. [[분류: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분류:경기도의 기초자치단체장]][[분류:경기도의 정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