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기초단체장)] [include(틀: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기초단체장)] [목차] = 종합 결과 = ||<:> '''울산광역시[br]기초자치단체장 선거 결과'''||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 '''5석''' || '''[[전국동시지방선거]] 실시 이래 최초'''로 민주당이 울산의 모든 기초단체장을 가져가는 대승을 거뒀다. == [[중구(울산)|중구]] == ||<-4> [[중구(울산)|{{{#ffffff {{{+1 '''중구청장'''}}}}}}]]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박태완]]''' || '''65.267''' || '''1위''' || || '''[[더불어민주당|{{{#373a3c,#dddddd 더불어민주당}}}]]''' || '''51.90%''' || '''당선''' || ||<|2> {{{#ffffff {{{+5 '''2'''}}}}}} || [[박성민(1959)|박성민]] || 60,485 || 2위 || || [[자유한국당|{{{#373a3c,#dddddd 자유한국당}}}]] || 48.09%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94,908 ||<|3> '''투표율'''[br]65.8% || || '''투표 수''' || 128,328 || || '''무효표 수''' || 2,576 || == [[남구청장(울산)|남구청장]] == ||<-4><:>[[남구청장(울산)|{{{#ffffff '''남구청장'''}}}]]|| ||<|2><:>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2><:>{{{#ffffff 1}}}||<:>[[김진규(1968)|김진규]]||<:>'''74,697'''||<:>'''1위'''|| ||<:>[[더불어민주당|{{{#000000,#e5e5e5 더불어민주당}}}]]||<:>'''43.78%'''||<:>'''당선'''|| ||<|2><:>{{{#ffffff 2}}}||<:>[[서동욱(1963)|서동욱]]||<:>73,332||<:>2위|| ||<:>[[자유한국당|{{{#000000,#e5e5e5 자유한국당}}}]]||<:>42.98%||<:>낙선|| ||<|2><:>{{{#ffffff 6}}}||<:>[[김진석(정치인)|김진석]]||<:>22,574||<:>3위|| ||<:>[[민중당(2017년)|{{{#000000,#e5e5e5 민중당}}}]]||<:>13.23%||<:>낙선|| ||<|2><:>--{{{#ffffff 7}}}--||<:>--서종대--||<:>-||<:><|2>사퇴|| ||<:>--무소속--||<:>-|| ||<|3><:>'''계'''||<:>선거인 수||<:>274,930||<|3><:>투표율[br]64.3%|| ||<:>투표 수||<:>176,695|| ||<:>무효표 수||<:>6,092|| 참고로 여기가 울산의 구청장 선거 중에서 가장 격차가 적게 난 지역이다. 참고로 여기에선 야음장생포동과 무거동을 제외한 나머지 지역에서는 불과 수백표 차이의 접전이였다. 그리고 민중당에선 그나마 경쟁력이 있는 김진석 후보[* 5회 선거에서 겨우 1.32% 차이로 석패했던 인물이다.]를 출마시켰지만, 이 사람도 13.23%의 득표율을 받고 3위로 낙선했다. [[김진규(1968)|김진규]]가 2020년 9월에 당선이 무효형이 확정되면서 구청장직을 상실했고 이후 치러진 [[2021년 재보궐선거]]에서는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2위를 했던 [[국민의힘]] [[서동욱(1963)|서동욱]] 후보가 당선되었다. 한편 3위로 낙선한 김진석 후보는 14.7%를 얻어 3위로 낙선했다. == 동구 == ||<-4><:>[[동구(울산)|{{{#ffffff '''동구청장'''}}}]]|| ||<|2><:>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2><:>{{{#ffffff 1}}}||<:>[[정천석]]||<:>'''37,085'''||<:>'''1위'''|| ||<:>[[더불어민주당|{{{#000000,#e5e5e5 더불어민주당}}}]]||<:>'''43.6%'''||<:>'''당선'''|| ||<|2><:>{{{#ffffff 2}}}||<:>[[권명호]]||<:>28,139||<:>2위|| ||<:>[[자유한국당|{{{#000000,#e5e5e5 자유한국당}}}]]||<:>33.08%||<:>낙선|| ||<|2><:>{{{#ffffff 3}}}||<:>[[송인국]]||<:>4,226||<:>4위|| ||<:>[[바른미래당|{{{#000000,#e5e5e5 바른미래당}}}]]||<:>5.0%||<:>낙선|| ||<|2><:>{{{#ffffff 6}}}||<:>이재현||<:>15,606||<:>3위|| ||<:>[[민중당(2017년)|{{{#000000,#e5e5e5 민중당}}}]]||<:>18.34%||<:>낙선|| ||<|3><:>'''계'''||<:>선거인 수||<:>134,316||<|3><:>투표율[br]64.6%|| ||<:>투표 수||<:>86,768|| ||<:>무효표 수||<:>1,712|| 여기에 국회의원 의석을 둔 민중당에서도 이재현이 출마했지만 겨우 18.34%만 받고 낙선했다. 그나마 자유한국당은 여기 쪽 광역의원[* 3선 광역의원인 [[천기옥]] 의원이다.]은 당선되어서 체면치레는 했다. 여담으로 2위로 낙선한 [[권명호]] 후보는 [[울산광역시]] [[동구(울산 선거구)|동구]]에 출마해서 38%를 얻어 당선되었다.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때와 비슷한 상황에서 당선된 것이다. == 북구 == ||<-4><:>[[북구(울산)|{{{#ffffff '''북구청장'''}}}]]|| ||<|2><:>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2><:>{{{#ffffff 1}}}||<:>[[이동권]]||<:>'''46,631'''||<:>'''1위'''|| ||<:>[[더불어민주당|{{{#000000,#e5e5e5 더불어민주당}}}]]||<:>'''45.55%'''||<:>'''당선'''|| ||<|2><:>{{{#ffffff 2}}}||<:>[[박천동]]||<:>33,312||<:>2위|| ||<:>[[자유한국당|{{{#000000,#e5e5e5 자유한국당}}}]]||<:>32.54%||<:>낙선|| ||<|2><:>{{{#ffffff 3}}}||<:>김재근||<:>3,431||<:>4위|| ||<:>[[바른미래당|{{{#000000,#e5e5e5 바른미래당}}}]]||<:>3.4%||<:>낙선|| ||<|2><:>{{{#ffffff 6}}}||<:>[[강진희]]||<:>16,384||<:>3위|| ||<:>[[민중당(2017년)|{{{#000000,#e5e5e5 민중당}}}]]||<:>16%||<:>낙선[* [[정의당]]·[[민중당(2017년)|민중당]] 단일후보]|| ||<|2><:>{{{#ffffff 7}}}||<:>[[박영수(1969)|박영수]]||<:>2,614||<:>5위|| ||<:>[[무소속|{{{#000000,#e5e5e5 무소속}}}]]||<:>2.6%||<:>낙선|| ||<|3><:>'''계'''||<:>선거인 수||<:>159,030||<|3><:>투표율[br]65.5%|| ||<:>투표 수||<:>104,133|| ||<:>무효표 수||<:>1,761|| 더불어민주당은 이 승리로 [[19대 대선]], [[2018년 재보궐선거]]와 같이 3연승을 이루었다. 반면에 민중당은 2018년 재보궐 선거에서 의석 사수도 실패하고, 동구와 이 곳에서도 말아먹음으로써, 사실상 경쟁력을 잃었다는 것이 증명 되었다. 그나마 기초의회에선 1석을 건져서 조직력이 어느정도 건재하다는 것만 겨우 증명되었다. 참고로 [[21대 총선]]에서도 2018년 재보궐선거에서 당선된 [[이상헌]] 후보가 재선에 성공하면서 4연승을 거두었다. 그리고 [[20대 대선]]에서 [[이재명]] 후보가 영남권에서 유일하게 승리를 거둔 곳이 되어 5연승을 달렸다. == 울주군 == ||<-4><:>[[울주군|{{{#ffffff '''울주군수'''}}}]]|| ||<|2><:>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2><:>{{{#ffffff 1}}}||<:>[[이선호(정치인)|이선호]]||<:>'''55,765'''||<:>'''1위'''|| ||<:>[[더불어민주당|{{{#000000,#e5e5e5 더불어민주당}}}]]||<:>'''49.77%'''||<:>'''당선'''|| ||<|2><:>{{{#ffffff 2}}}||<:>[[이순걸]]||<:>50,796||<:>2위|| ||<:>[[자유한국당|{{{#000000,#e5e5e5 자유한국당}}}]]||<:>45.33%||<:>낙선|| ||<|2><:>{{{#ffffff 6}}}||<:>이형철||<:>5,483||<:>3위|| ||<:>[[무소속|{{{#000000,#e5e5e5 무소속}}}]]||<:>4.9%||<:>낙선|| ||<|3><:>'''계'''||<:>선거인 수||<:>179,366||<|3><:>투표율[br]64.0%|| ||<:>투표 수||<:>114,776|| ||<:>무효표 수||<:>2,732|| 강길부 의원은 울주군에서 지지기반이 상당해서, 17, 19대 총선 두 번 빼고는 전부 무소속으로 출마했었는데도 당선되었다.[* 17대에서는 [[열린우리당]] 소속으로, 19대에서는 [[새누리당]] 소속으로 출마했다.] 그런데 이분이 송철호 후보를 지지하자 줄투표 효과로 울산에서 보수성향이 강한 이 곳까지 청색 돌풍이 불어 온 것이다. 사실, 이번 지방선거 때도 19대 대선과 마찬가지로 범서읍이 한 건 했는데, 그 때와 마찬가지로 이선호 후보는 언양읍, 범서읍, 재외투표에서만 이겼는데, 범서읍에서만 무려 8,584표 차이로 승리를 거두면서(20,364:11,780), 나머지 지역의 근소한 열세를 상쇄시켰다. 다만, 이형철의 출마로 표가 갈라진 것은 감안해야 한다. [[분류: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분류:울산광역시의 기초자치단체장]][[분류:울산광역시의 정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