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대주배 남녀프로시니어최강자전]]의 8번째 대회. == 예선 == [[파일:제8기대주배예선.png]] == 본선 == === 16강 === || 대국 || 일정 ||<-2> 대국자 || 결과 || 비고 || || 1국 || 2021년[br]2월 17일 || '''김혜민''' || 이영주 || 김혜민[br]기권승 || [* 이영주 선수의 개인 사정으로 인한 기권] || || 2국 || 2021년[br]2월 18일 || 김동엽 || '''박소현''' || 276수[br]흑 20집반승 || || || 3국 || 2021년[br]2월 24일 || '''서봉수''' || 강다정 || 190수[br]백 불계승 || || || 4국 || 2021년[br]2월 25일 || 김수장 || '''김영환''' || 152수[br]백 불계승 || || || 5국 || 2021년[br]3월 3일 || '''권갑용''' || 박영찬 || 208수[br]흑 반칙승 || [* 권갑용 선수가 백돌 4점을 다 드러내기 전에 박영찬 선수가 착수를 하는 반칙을 저질러 박영찬 선수의 반칙패가 됐다.] || || 6국 || 2021년[br]3월 4일 || '''유창혁''' || 김미리 || 220수[br]백 불계승 || || || 7국 || 2021년[br]3월 10일 || 강만우 || '''권효진(七)''' || 360수[br]흑 2집반승 || || || 8국 || 2021년[br]3월 11일 || '''조혜연''' || 박지은 || 296수[br]흑 반집승 || || === 8강 === || 대국 || 일정 ||<-2> 대국자 || 결과 || 비고 || || 1국 || 2021년[br]3월 17일 || '''서봉수''' || 권갑용 || 215수[br]흑 불계승 || || || 2국 || 2021년[br]3월 18일 || '''김영환''' || 박소현 || 131수[br]흑 불계승 || || || 3국 || 2021년[br]3월 24일 || '''유창혁''' || 권효진(七) || 180수[br]백 불계승 || || || 4국 || 2021년[br]3월 25일 || 조혜연 || '''김혜민''' || 333수[br]흑 9집반승 || || === 4강, 결승 === || 대국 || 일정 ||<-2> 대국자 || 결과 || 비고 || || 4강[br]1국 || 2021년[br]4월 7일 || ''' 유창혁''' || 김혜민 || 192수[br] 백 불계승 || 시니어 결승진출 확정 || || 4강[br]2국 || 2021년[br]4월 8일 || '''서봉수''' || 김영환 || 201수[br]흑 불계승 || || || 대국 || 일정 ||<-2> 대국자 || 결과 || 비고 || || 결승 || 2021년[br]4월 14일 || 유창혁 || '''서봉수''' || 238수[br]흑 2집반승 || '''서봉수 우승''' || || 이벤트 대국 || 2021년[br]4월 15일 || '''김영환''' || 박지은 || 189수[br]흑 불계승 || 시청자 선정[br]"보고싶다" 대국 || 제8기 대주배 결승전은 [[서봉수]]와 [[유창혁]]의 일명 '서유기' 대결이 성사됐다. 70번째 맞대결이며[* 상대 전적은 유창혁 九단이 41승 28패로 우세.] 결승무대에서는 제4기 [[GS칼텍스배 프로기전|LG정유배]] 결승 이후 21년 5개월 만에 격돌이다. 당시 서봉수가 3승 2패로 우승을 차지해서 단판이지만 유창혁 입장에서는 복수전이 되는 셈이다. 두 선수의 가장 최근 경기는 [[한국시니어바둑리그/2020시즌|2020 시니어바둑리그]] 8라운드에서 서봉수가 승리했었다. 바둑은 서봉수 九단이 흑 2집반승을 거둬 8번째 대주배의 주인공이 됐다. 참고로 한국기원 홈페이지 내 일정란에는 결승 및 기념대국으로 일정이 등록되어 있으나, 실제론 결승만 치러진 것으로 보인다. 결승 다음 날에는 시청자가 선정한 보고싶은 대국으로 김영환 九단과 박지은 九단의 특별 대국이 진행된다. [[분류:바둑 기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