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소닉 스타리그|{{{#E1E1E1 역대 소닉 스타리그 일람}}}]]''' || || [[소닉 스타리그#s-2.2|제7차 소닉 스타리그]] || → || '''아이템베이 스타리그''' || → || [[픽스 스타리그]] || [목차] [clearfix] == 개요 == * 기간 : 2013년 3월 1일 ~ 2013년 6월 1일 * 사용 맵: [[투혼(스타크래프트)|투혼]], [[풍운(스타크래프트)|신 풍운]], [[파미르 고원(스타크래프트)|파미르 고원]], [[안드로메다(스타크래프트)|안드로메다]], [[단장의 능선(스타크래프트)|신 단장의 능선]] * 상금 : 우승 500만 원, 준우승 300만 원, 3위 200만 원, 4위 100만 원 * 결승전 장소 : ~~[[잠실학생체육관]]~~ → [[광운대학교]] 대강당 [[http://ssl.afreeca.com|아프리카 소닉 스타리그 전용 페이지]] 7차 소닉 스타리그에 비해 [[김윤중(프로게이머)|김윤중]], [[염보성]], [[조일장]], [[박수범(프로게이머)|박수범]], [[진영화]] 등 유명 전직 프로게이머들이 [[아프리카TV]]로 몰려오면서 멤버 자체의 구성은 많이 화려해졌다. 거기다가 기존 [[김태형(1973)|김태형]] 해설과 더불어 [[이승원(게임 해설가)|이승원]] 해설위원이 해설로 참여하게 되면서 해설의 질도 높아졌다. 아이템베이가 스폰서를 맡았고 총상금 천 만원의 규모로 진행됐다. [[방플]] 의혹을 없애기 위해 모든 경기가 오프라인으로 진행됐다. 그리고 [[데일리e스포츠]]에서 현장 화보와 함께 매경기 기사를 썼다. [[트위치]] TV를 통해서도 방송됐다. == 32강 == ||A조||[[박준오]], 조상현, 김규회[* 준프로 출신. [[http://e-sports.or.kr/board_kespa2018.php?b_no=6&_module=data&_page=view&b_no=6&b_pid=9999914900|2011년 상반기 드래프트]], [[http://e-sports.or.kr/board_kespa2018.php?b_no=6&_module=data&_page=view&b_no=6&b_pid=9999923700|2011년 하반기 드래프트]]에 참여했으나 지명되지는 못했다.], 오현명|| ||B조||[[임홍규]], 최혜성, 공민창[* 前 [[MBC GAME HERO]] 소속 프로.], 박성준[* 1992년생 [[프로토스]] 유저이자, 前 [[화승 오즈]] 소속 프로. 참고로 [[KeSPA]]에는 박성준2로 등록되었다.]|| ||C조||[[최호선]][* 본래는 --[[하늘(1994)|하늘]]--의 자리였다가 교체되었다. 자세한 사항은 후술.], [[염보성]], [[구성훈]], 노재상[* 前 [[eSTRO]] - [[CJ 엔투스/스타크래프트|CJ 엔투스]] 소속 프로.]|| ||D조||[[박지호(프로게이머)|박지호]], [[김태영(1992)|김태영]], 신현수, 황순형[* 본래 [[박성준(1984)|박성준]]이 참가할 예정이었으나, 건강상의 문제로 교체되었다.] || ||E조||--[[하늘(1994)|하늘]]--[* 본래는 [[김태균(프로게이머)|김태균]]의 자리였다가 교체되었다. 자세한 사항은 후술.], [[서문지훈]], [[조일장]], 이동근[* 준프로 출신. [[https://v.daum.net/v/M0NULbrJ3D?f=p|2012년 상반기 드래프트]]에 참여했으나 지명되지는 못했다.]|| ||F조||[[윤찬희(1992)|윤찬희]], [[유진우]], 이상조, [[이영웅]]|| ||G조||[[진영화]], [[변형태]], 최민수[* 前 [[화승 오즈]] 소속 프로.], [[박지훈(프로게이머)|박수범]]|| ||H조||[[김기훈(프로게이머)|김기훈]], [[김윤중(프로게이머)|김윤중]], 김상곤[* 준프로 출신. [[https://v.daum.net/v/M0NULbrJ3D?f=p|2012년 상반기 드래프트]]에 참여했으나 지명되지는 못했다.], [[김재현(1992)|김재현]]|| 2월 23일 조지명식을 시작으로 3월 1일 32강 A조 경기를 시작으로 리그가 개막했다. 3월 12일 현재 A조와 B조는 별다른 이변 없이 무난히 16강 진출자[* A조 [[박준오]], 오현명, B조 [[임홍규]], 공민창.]가 결정되었지만, C조의 최대 흥행 카드였던 '''[[염보성]]이 [[최호선]]에게 0:2로, [[구성훈]]에게 1:2로 패배하며 32강에서 광탈하고 노재상이 구성훈을 2:1로 격침'''시키는 등 이변들이 속출하며 개싸움(…)이 2시간 가까이 이어진 끝에 최종전에서 구성훈이 노재상에게 2:1로 승리를 거두며, 승자전에서 이미 노재상에게 2:0으로 승리한 [[최호선]]과 함께 16강에 진출하였다. 3월 13일, E조의 [[김태균(프로게이머)|김태균]]이 군복무 중 개인사정으로 출전을 포기하였다.[* 대신 김태균은 이 대회 [[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347&aid=0000041011|결승전을 관람하러 왔다]].] [[하늘(1994)|하늘]]이 소닉과 마찰을 빚어 엔트리에서 제외되었을 때는 최호선이 대타로 참가했지만, 이때는 김태균의 자리를 대체할 선수가 없는 상황이었다. 하지만 RUN을 시전하였던 하늘이 대신 투입되었다. 그리고 하늘은 최종전에서 아마추어 [[서문지훈]]과 경기를 했으나 1:2로 탈락하였다. == 16강 == 4월 13일, C조에서는 예상대로 [[진영화]]와 [[임홍규]]가 8강에 진출했다. == 8강 == [[조일장]]과 [[최호선]]이 각각 [[진영화]]와 [[임홍규]]를 3대 1로 꺾고 4강에 진출했다. [[박준오]]는 아마추어 돌풍을 일으키고 있는 [[서문지훈]]과의 경기에서 월등한 실력으로 3대 0으로 승리했다. [[구성훈]]과 [[박수범(프로게이머)|박수범]]은 치열한 경기 끝에 구성훈이 3대 2로 승리하며 4강에 진출했다. == 4강 == 7차 스타리그처럼 [[저저전]] 결승이 나올 경우, 김태형 해설과 소닉이 여장을 한다고 공약하였는데 결과적으로는 이루어지지 않게 되었다. [[구성훈]]과 [[박준오]]가 [[조일장]], [[최호선]]을 3대 0으로 압살하며 결승에 진출했기 때문. 특히 [[박준오]]가 무시무시한 실력을 보여주고 있어 이번에도 유력한 우승 후보로 지목되고 있다. == 결승 == [[파일:external/newker.in/NguYHh495mynDny.jpg]] 결승전 장소를 '''[[tving 스타리그 2012|온게임넷의 마지막 브루드워 기반 스타리그]]'''의 결승전 장소였던 잠실학생체육관으로 정했으나, 여러가지 문제와 큰 규모에 대한 부담감으로 인해 취소됐고, 4강이 끝남과 동시에 장소가 광운대학교 대강당으로 결정됐다고 전했다.[* 참고로 광운대학교 대강당은 '''[[ABC마트 MSL|마지막 MSL]]의 결승전 장소'''다.] 결승전에서는 레전드 매치로 [[박정석]] vs. [[홍진호]]의 경기--홍진호가 '''22'''번의 연습 뒤 '''2''':0으로 이겼다. 과연 이벤트전의 제왕-- --f3이나 ctrl+f를 눌러서 홍진호를 쳐보면 '''2'''개의 단어가 일치한다 역시 홍진호..-- ~~그러나 벌써 5개다.~~ ~~5를 뒤집으면 어떨까?~~ ~~어느새 2^2개로 수정되었다~~ [[박준오]] vs. [[구성훈]]의 경기가 펼쳐졌는데, 경기는 3:1로 [[박준오]]가 2회 연속 우승을 차지했다. 그러나 시간대를 잘못 정한 점[* 멀리서 온 사람들은 결승이 시작하기도 전인 레전드 매치가 끝난 후에 거의 빠져나갔다.]과 운영상의 미숙함으로 좋은 평은 받지 못했다. [각주] [[분류:소닉 스타리그]][[분류:박준오]][[분류:구성훈]][[분류:최호선]][[분류:조일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