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후보군]]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include(틀: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목차] == [[수도권(대한민국)|수도권]] == === [[서울특별시]] === * '''볼드체'''는 예비후보 등록을 완료한 후보입니다. || {{{#ffffff '''성향'''}}} || {{{#ffffff '''후보군'''}}} || || [[진보#s-9|{{{#ffffff [include(틀:진보교육감)]}}}]] ||'''[[조희연]] 서울특별시교육감'''[br]'''최보선 새로운대한민국교육포럼 대표''' || || [[보수주의|{{{#ffffff [include(틀:보수교육감)]}}}]] ||'''[[박선영(1956)|박선영]] 전 국회의원'''[br]'''[[조영달]] [[서울대학교]] 사회교육과 교수'''[br]'''[[조전혁]] 전 국회의원'''[br]'''윤호상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겸임교수''' || ---- * 현직 [[조희연]] 교육감은 4월 14일, 3선 출마를 공식화했다. [[https://newsis.com/view/?id=NISX20220414_0001833368&cID=10201&pID=10200|#]] * [[이주호]] 전 교육과학기술부장관도 출마 선언을 했다. [[https://www.chosun.com/national/education/2022/04/22/ZB7NSGUCUJC7LHUQNYHK44LAAU/?utm_source=naver&utm_medium=referral&utm_campaign=naver-news|#]] *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근무했던 수학 교수 출신인 [[박경미]] 청와대 대변인도 후보군으로 거론되었다. 박 대변인은 대변인 역임 전에 대통령비서실 교육비서관을 역임했다. 조 교육감이 불출마할 경우 진보-민주 진영 단일 후보가 될 가능성이 높았으나 [[3월 3일]] 이전 대변인직에서 사퇴하지 않으며 출마하지 못하게 되었다. * 보수 교육계에서는 지난 2018년 지방선거에서 조 교육감을 상대했던 [[박선영(1956)|박선영]] [[동국대학교]] 법학과 교수, [[조영달]] [[서울대학교]] 사회교육과 교수의 재출마 가능성이 거론된다. 두 후보는 각각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2위, 3위로 낙선한 바 있으며, 2월 기준 예비후보 등록을 완료했다. * 서울공정혁신교육위원장을 맡고 있는 [[조전혁]] 전 의원과 7회 지선 당시 예비후보로 등록했던 최명복 전 서울시의원의 출마도 거론되고 있다. * 교육전문직 출신으로 [[이명박 정부]] 시절 교육부(당시 교육과학기술부) 대변인을 맡았던 [[이대영(공무원)|이대영]] 전 [[서울특별시교육청]] 부교육감[* [[곽노현]] 교육감 당시에 교육감 권한 대행을 하기도 했다. ]도 출마 가능성이 점쳐진다. 현재 앞서 언급된 박선영, 조영달, 조전혁, 최명복 등과 함께 '수도권교육감후보단일화추진협의회'를 가지고 중도보수 단일화를 진행중이다. [[https://www.edpl.co.kr/news/articleView.html?idxno=4853|#]] 이 중 조영달 후보는 단일화에서 이탈하였고, 중도성향인 이대영 후보가 합류하여 단일화 결과 [[조전혁]] 전 국회의원이 중도보수 단일후보로 선출되었다. [[https://edu22.kr/board/notice_view.php?b_idx=6|#]] * 교추협 후보단일화에서 조영달 후보가 단일화를 깨고, 조전혁 후보가 선출되었으나, 언론에 따르면 사퇴한 박선영 후보 등까지 모두 포함한 '''재단일화'''가 논의되고 있다고 한다. * 그동안 단일화를 촉구하고, 조전혁, 조영달 후보 중 한명이라도 단일화에 응하면 사퇴하기로 한 이주호 후보가 단식 농성을 하고 있었으나, 5월 8일 박선영 - 조전혁 - 이주호 후보가 단일화 합의를 발표함에 따라 이주호 후보는 사퇴하고, 박선영, 조전혁 후보가 단일화 협의에 나서게 되었다. 한편 조영달 후보는 박선영 - 조전혁 후보 간 단일화가 이루어질 시 재단일화를 하겠다는 입장을 내놓았다. [[https://www.yna.co.kr/view/AKR20220508014500530|#]] === [[인천광역시]] === ||
{{{#ffffff '''성향'''}}} || {{{#ffffff '''후보군'''}}} || || [[진보#s-9|{{{#ffffff [include(틀:진보교육감)]}}}]] ||'''[[도성훈]] 인천광역시교육감''' || || [[보수주의|{{{#ffffff [include(틀:보수교육감)]}}}]] ||'''[[최계운]] 전 한국수자원공사 사장'''[br]|| || [[중도주의|{{{#ffffff '''중도'''}}}]] ||'''서정호 인천광역시의원''' || ---- * 진보진영에서는 현직 교육감인 [[도성훈]] 교육감이 4월 26일, 출마를 선언하고 예비후보로 등록하였다. * 보수진영에서는 이대형 인천교총회장(경인교대 교수), 권진수 전 인천광역시 부교육감, 고승의 전 인천광역시교육청 기획관리국장, 박승란 숭의초등학교 교장 등이 유력후보군으로 오르내린다.[[https://n.news.naver.com/article/421/0005380781|#]] 인천대 교수와 한국수자원공사 사장을 지낸 [[최계운]] 인천대학교 명예교수도 예비후보로 등록하며 교육감 선거에 출마하였다.[[https://n.news.naver.com/article/629/0000130692|#]] * 고승의 전 국장과 이대형 교수는 보수진영 단일화 기구 중 하나인 '올바른교육감 후보 단일화 추진단'에 참여하였으나 타 후보들은 참여하지 않았고 고승의 전 국장이 기권하며 이대형 교수가 해당 단일화 기구의 후보로 확정되었다. * 또다른 보수진영 단일화 기구인 '인천미래교육연대'에는 [[최계운]] 전 한국수자원공사 사장과 권진수 전 인천교육청 부교육감, 허훈 전 인천하이텍고 교장, 이배영 성산효재단 초빙교수가 참여하였다. * 박승란 숭의초 교장은 두 단일화 기구에 참여하지 않고 독자노선을 걸으며 두 기구 간의 단일화를 촉구하였다. * [[https://m.news.naver.com/read?mode=LSD&mid=sec&sid1=102&oid=016&aid=0001982024|결국, 이대형, 최계운, 박승란 후보의 보수진영 단일화 경선에서 최계운 후보가 승리하였다.]] * 중도진영에서는 중도진보를 표방하며 [[더불어민주당]]을 탈당한 서정호 인천시의원이 출마를 선언하였다. === [[경기도]] === ||
{{{#ffffff '''성향'''}}} || {{{#ffffff '''후보군'''}}} || || [[진보#s-9|{{{#ffffff [include(틀:진보교육감)]}}}]] ||'''[[성기선]] 전 한국교육과정평가원장'''|| || [[보수주의|{{{#ffffff [include(틀:보수교육감)]}}}]] ||'''[[임태희]] 전 고용노동부장관''' || ---- 현직 교육감인 [[이재정(1944)|이재정]] 교육감은 3선 불출마를 선언하였다.[[https://www.sedaily.com/NewsView/263ILSA9ZE|#]] ---- * 진보진영 * --[[김거성]] 전 대통령비서실 시민사회수석비서관 - 2022년 3월 22일, 출마선언했다. [[http://www.edupress.kr/news/articleView.html?idxno=8813|#]]-- * --박효진 교사 겸 전교조 경기지부장 - 2022년 2월 15일, 예비후보로 등록하였다.-- * --송주명 한신대학교 교수[* 직전 지방선거에서 이재정 현 교육감과 단일화] - 2022년 2월 16일, 출마선언했다.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3466966632231176&mediaCodeNo=257&OutLnkChk=Y|#]]-- * [[성기선]] 전 [[한국교육과정평가원]]장 - 2022년 3월 9일, 출마선언했다. [[https://www.edpl.co.kr/news/articleView.html?idxno=4872|#]] 2022년 5월 10일, '''경기교육혁신연대'''에서 경기도교육감 진보 단일후보로 성기선 후보가 선출되었다. 여론조사와 100인의 숙의평가단으로 결정했다. 박효진, 이종태, 김거성, 송주명, 이한복 후보는 따라서 최종 후보에 등록하지 않을 전망이다. [[https://www.mk.co.kr/news/society/view/2022/05/410433/|#]] * --이종태 건신대학원대학교 석좌교수 - 사퇴했다.-- * --최창의 전 경기도율곡연수원장 - 2022년 3월 15일, 중단선언했다.-- * 보수 진영 * --[[강관희]] 전 경기도의회 교육의원 - 2022년 3월 2일, 보수진영 최초로 출마선언을 하였다. [[http://naver.me/xaCIgct8|#]]-- * --이달주 전 태안초등학교 교장 - 2022년 3월 28일, '학교현장을 살리고 미래를 이끄는 경기교육' 슬로건으로 출마선언했다. 다음날 성명을 통해 '경기교육을 잘 모르는 임태희 고문 등이 선거를 정치로 어지럽힌다'고 비판했다. 2022년 5월 9일, 임태희 후보를 단일후보로 인정하며 선거대책본부 위원장에 임명되었다. [[https://www.news1.kr/articles/?4674356|#]]-- * [[임태희]] 전 국회의원, 고용부장관, 대통령실장, 한경대 총장 - 2022년 2월 19일, 출마를 시사했다. 대선캠프에도 참여하여 대선 이후 출마선언이 예상되었다. [[http://www.edupress.kr/news/articleView.html?idxno=8661|#]] 2022년 3월 24일, '''경기좋은교육감추대위원회'''가 '임태희 후보를 중도보수 단일후보로 추대했다'고 발표했다. 이들은 임태희, 강관희, 이달주, 이일호, 이주호, [[임해규]][* 전 경기연구원장. 2018년 현직 [[이재정(1944)|이재정]] 교육감에게 패배] 6인을 자체평가했다. 2022년 4월 6일, 정식 출마했다. [[https://www.hankyung.com/politics/article/2022040689411|#]] == [[동남권]] == === [[부산광역시]] === ||
{{{#ffffff '''성향'''}}} || {{{#ffffff '''후보군'''}}} || || [[진보#s-9|{{{#ffffff [include(틀:진보교육감)]}}}]] ||'''[[김석준(교육감)|김석준]] 부산광역시교육감''' || || [[중도보수|{{{#!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8948e; font-size: 0.9em" {{{#FFF,#000 '''중도보수'''}}}}}}]] ||'''[[하윤수]]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회장''' || ---- * 진보진영에서는 현직 교육감인 [[김석준(교육감)|김석준]] 교육감이 3선에 도전한다. * 중도보수진영에서는 김성진 [[부산대학교]] 한문학과 교수[*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교육감|범보수단일후보]]로 출마한 이력이 있다.], 박종필 전 부산교육청 장학관, 함진흥 전 신도고 교사, 정승윤 부산대학교 로스쿨 교수 등이 언급되었으나 중도보수 진영의 단일화 과정을 통해 [[하윤수]] 전 부산교대 총장으로 단일화 되었다. * 보수성향이자 [[한국해양대학교]] 총장을 지낸 [[박한일]] 전 총장은 중도보수진영의 단일화 협의에 참여하지 않아 독자적으로 출마할 것으로 보였으나 2022년 2월 9일 불출마를 선언하였다. === [[울산광역시]] === ||
{{{#ffffff '''성향'''}}} || {{{#ffffff '''후보군'''}}} || || [[진보#s-9|{{{#ffffff [include(틀:진보교육감)]}}}]] ||'''[[노옥희]] 울산광역시교육감''' || || [[보수주의|{{{#ffffff [include(틀:보수교육감)]}}}]] ||'''[[김주홍(교육자)|김주홍]] 전 울산대학교 교수''' || ---- * 진보진영에서는 현직인 [[노옥희]] 교육감이 단독 후보로 재선에 도전한다. * 보수진영에서는 김석기 울산시체육회장(전 울산교육감), 박광일 전 한국폴리텍대학교 울산캠퍼스 학장, 박흥수 전 울산교육청 교육국장, 이성걸 전 울산교원단체총연합회장, 장평규 울산혁신교육연구소 대표, 권오영 울산시의원이 후보군으로 언급되고 있다. * 중도노선에서는 구광렬 울산대학교 명예교수가 후보군으로 꼽히고 있다. * 최종 후보로는 노옥희 교육감과 김주홍 후보로 정해졌다. === [[경상남도]] === ||
{{{#ffffff '''성향'''}}} || {{{#ffffff '''후보군'''}}} || || [[진보#s-9|{{{#ffffff [include(틀:진보교육감)]}}}]] ||'''[[박종훈(1960)|박종훈]] 경상남도교육감''' || || [[보수주의|{{{#ffffff [include(틀:보수교육감)]}}}]] ||'''[[김상권]] 전 경상남도교육청 교육국장'''|| ---- * 진보진영에서는 현직 [[박종훈(1960)|박종훈]] 교육감이 3선에 도전한다 * 보수진영에서는 대학 교수인 [[최해범]] 전 창원대학교 총장, 김명용 창원대학교 법학과 교수와 [[김상권]] 전 경남교육청 교육국장, 기초단체장 출신이자 보수성향인[* 현재 정당은 [[더불어민주당]]이나 경남지역까지 민주당 바람이 불어오던 지난 지방선거 시기 공천을 받기 위해 넘어온 [[한나라당]]계 정치인이므로 성향 자체는 보수에 가깝다.] [[허기도]] 전 산청군수가 경남교육감 출마를 준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 [[대경권]] == === [[대구광역시]] === ||
{{{#ffffff '''성향'''}}} || {{{#ffffff '''후보군'''}}} || || [[진보#s-9|{{{#ffffff [include(틀:진보교육감)]}}}]] ||'''[[엄창옥]] 경북대학교 교수''' || || [[보수주의|{{{#ffffff [include(틀:보수교육감)]}}}]] ||'''[[강은희]] 대구광역시교육감''' || ---- * 보수진영에서는 현직 교육감인 [[강은희]] 교육감이 단독으로 재선에 도전할 가능성이 높다. * 진보진영에서는 [[김사열]] 국가균형발전위원회 위원장과 홍덕률 한국사학진흥재단 이사장(전 대구대학교 총장)이 지난 지선에 이어 대구교육감 재도전 가능성이 있고 김태일 장안대학교 총장도 진보 후보군으로 언급되고 있다. * 그러나 2022년 3월 24일 [[김사열]] 위원장은 불출마를 선언하였다. * 2022년 5월 9일, 전국교직원노동조합 대구지부에 따르면 [[엄창옥]] 경북대학교 교수가 진보계열 시민·사회단체 추대로 대구교육감 선거 출마를 결심했다. 11일 출마선언을 하고 후보자 등록을 완료했다. === [[경상북도]] === ||
{{{#ffffff '''성향'''}}} || {{{#ffffff '''후보군'''}}} || || [[보수주의|{{{#ffffff [include(틀:보수교육감)]}}}]] ||'''[[마숙자]] 전 김천교육장'''[br]'''[[임종식]] 경상북도교육감'''[br]'''임준희 전 대구광역시교육청 부교육감''' || ---- * 보수진영에서는 현직인 [[임종식]] 교육감이 재선에 도전하고 현직인 임종식 교육감에 맞서 김준호 전 경북교육청연구원장, 임준희 전 대구교육청 부교육감, [[마숙자]] 전 김천교육장, 이백효 전 구미교육장 이 도전할 것으로 보인다. * 경북교육청 출신인 [[마숙자]], 김준호, 이백효 후보는 2022년 2월 25일 [[마숙자]] 후보로 단일화하였다. * [[마숙자]] 후보로 단일화을 합의했지만 불발되어 다시 각자 길을 가게 되었다. * 진보진영에서는 지난 지방선거에서 진보후보로 출마하였던 이찬교 경북혁신교육연구소 공감 소장이 불출마를 선언하면서 현재 뚜렷하게 드러나는 후보군이 없다. == [[충청권]] == === [[대전광역시]] === ||
{{{#ffffff '''성향'''}}} || {{{#ffffff '''후보군'''}}} || || [[진보#s-9|{{{#ffffff [include(틀:진보교육감)]}}}]] ||'''[[성광진]] 대전교육연구소장'''|| || [[보수주의|{{{#ffffff [include(틀:보수교육감)]}}}]] ||'''[[설동호]] 대전광역시교육감'''[br] '''[[정상신]] 유성중학교 교장'''[br] '''김동석 한남대학교 교수''' || ---- * 보수진영에서는 현직 [[설동호]] 교육감이 3선에 도전하고 정상신 유성중학교 교장, 김동석 한남대학교 교수도 선거전에 나섰다. * 진보진영에서는 [[성광진]] 대전교육연구소장이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 이어 8회 지선에서도 도전의사를 밝혔다. === [[세종특별자치시]] === ||
{{{#ffffff '''성향'''}}} || {{{#ffffff '''후보군'''}}} || || [[진보#s-9|{{{#ffffff [include(틀:진보교육감)]}}}]] ||'''사진숙 전 세종특별자치시교육청 교육원장'''[br]'''[[최교진]] 세종특별자치시교육감'''[br]'''최정수 한국영상대학교 교수''' || || [[보수주의|{{{#ffffff [include(틀:보수교육감)]}}}]] ||'''강미애 전 세종특별자치시교원단체총회장'''[br]'''이길주 전 다빛초등학교 교장'''[br]'''최태호 한국대학교수협의회 공동대표''' || ---- * 진보진영에서는 현직인 [[최교진]] 세종교육감이 3선에 도전했고 김대유 세종교육문화포럼 상임대표와 사진숙 전 세종교육청 교육원장, 유문상 세종미래교육시민연대 상임대표, 최정수 한국영상대학교 교수가 현직에 맞서 도전할 것으로 보인다. * 보수진영에서는 지난 2018년 교육감 선거에서 2위로 낙선한 최태호 한국대학교수협의회 대표와 강미애 전 세종 교총회창(전 세종도원초등학교 교장), 지난 교육감 선거에 출마한 송명석 한국교원대 초빙교수, 윤재국 전 두루중학교 교장, 이길주 전 다빛초등학교 교장이 출마할 것으로 보인다. === [[충청북도]] === ||
{{{#ffffff '''성향'''}}} || {{{#ffffff '''후보군'''}}} || || [[진보#s-9|{{{#ffffff [include(틀:진보교육감)]}}}]] ||'''[[김병우]] 충청북도교육감''' || || [[보수주의|{{{#ffffff [include(틀:보수교육감)]}}}]] ||'''[[윤건영(1960)|윤건영]] 전 청주교육대학교 총장'''|| ---- * 진보진영에서는 현직 교육감 [[김병우]] 교육감이 3선에 도전할 가능성이 높다. * 보수진영에서는 [[윤건영(1960)|윤건영]] 전 청주교대 총장, 심의보 충청대학교 명예교수, 김진균 봉명중학교 교장이 출마를 선언하였다. * 보수진영은 윤건영 전 청주교대 총장으로 단일화하였다. 윤건영 후보와 심의보 후보가 먼저 예비후보 기간에 여론조사 결과에 따라 단일화하기로 하였으며, 김진균 후보는 후보등록 후에 사퇴하였다. === [[충청남도]] === ||
{{{#ffffff '''성향'''}}} || {{{#ffffff '''후보군'''}}} || || [[진보#s-9|{{{#ffffff [include(틀:진보교육감)]}}}]] ||'''[[김지철(교육인)|김지철]] 충청남도교육감''' || || [[보수주의|{{{#ffffff [include(틀:보수교육감)]}}}]] ||'''김영춘 공주대학교 대외부총장'''[br]'''이병학 전 복자여자중학교 교사'''[br]'''조영종 전 한국교총 수석부회장''' || ---- * 진보진영에서는 [[김지철(교육인)|김지철]] 교육감이 3선 도전을 사실상 공식화한 가운데 보수진영 후보들이 저지에 나설 것으로 관측된다. * 보수진영에서는 김 교육감에게 도전장을 던질 후보군으로는 지난 선거에 출마했던 명노희 전 [[충청남도의회]] 교육의원과 [[조삼래]] [[공주대학교]] 명예교수, 조영종 천안오성고등학교 前 교장, 박하식 전 충남삼성고등학교 교장, 이병학 전 교사, [[강동복]] 전 충남도의원, 김영춘 공주대학교 대외부총장이 거명되고 있다. * 이들 후보 중 명노희, 조삼래, 박하식, 이병학, 조삼래 후보들이 중도보수 단일화를 추진하였으나 조삼래 후보가 참여를 거부하며 결국 단일화가 무산되었다. [[https://m.news.naver.com/read?mode=LSD&mid=sec&sid1=102&oid=016&aid=0001982024|#]] == [[호남권]] == === [[광주광역시]] === ||
{{{#ffffff '''성향'''}}} || {{{#ffffff '''후보군'''}}} || || [[진보#s-9|{{{#ffffff [include(틀:진보교육감)]}}}]] ||'''[[박혜자]] 전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원장'''[br]'''[[정성홍]] 교육상상플랫폼+ 상임대표'''[br]'''강동완 전 조선대학교 총장'''[br]'''[[이정선(1959)|이정선]] 전 광주교육대학교 총장'''|| || [[중도주의|{{{#ffffff '''중도'''}}}]] ||'''이정재 한국대학 총장협회의회 부회장'''|| ---- * 현 3선 연임 교육감인 [[장휘국]]이 출마할 수 없게 됨에 따라 지난 선거에서 장휘국에게 2위로 낙선했던 진보 성향의 [[이정선(1959)|이정선]] [[광주교육대학교]] 전 총장이 출마를 선언하였다. * [[전국교직원노동조합]] 광주지부장 출신 [[정성홍]] 후보가 출마를 선언했다. * [[6회 지선]] 때 [[광주광역시장]]에 출마한 적 있는 이정재 한국대학 총장협회의회 부회장이 출마를 선언하였다. === [[전라북도]] === ||
{{{#ffffff '''성향'''}}} || {{{#ffffff '''후보군'''}}} || || [[진보#s-9|{{{#ffffff [include(틀:진보교육감)]}}}]] ||'''[[천호성]] 현 전주교육대학교 교수'''[br]'''[[김윤태(교수)|김윤태]] 현 우석대학교 교수'''[br]'''[[서거석]] 전 전북대학교 총장'''[* 중도진보 혹은 진보로 분류된다.] || ---- 현 교육감인 김승환이 3선제한에 걸려 출마하지 못한다. 최근[* 2022.4.14] 여론조사에 따르면 [[서거석]] 39.9%, [[천호성]] 14.7%, 황호진 8.1%, [[김윤태(교수)|김윤태]] 2.5%, 김병윤 1.5%로 서거석 후보의 독주가 이어지고 있다. * [[서거석]] 전 [[전북대학교]] 총장, 전 한국대학교육협의회장 * [[천호성]] 현 [[전주교육대학교]] 교수, 기본소득국민운동 교육청소년본부 상임대표[* [[이항근]] 전 [[전주교육지원청]] 교육장, 차상철 완산학원 이사장과의 경선을 통해 민주진보진영 단일후보로 선출되었다.][* 2022년 5월 13일자로 황호진 예비후보와 단일화를 또 이루었다(…).] * [[김윤태(교수)|김윤태]] 현 [[우석대학교]] 교수 === [[전라남도]] === ||
{{{#ffffff '''성향'''}}} || {{{#ffffff '''후보군'''}}} || || [[진보#s-9|{{{#ffffff [include(틀:진보교육감)]}}}]] ||'''[[장석웅]] 전라남도교육감'''[br]'''김대중 전남교육자치플랫폼 대표'''[br]'''김동환 전 보성득량남초등학교 교장'''|| ---- * 김대중 전남교육자치플랫폼 대표가 출마를 선언하였다.[* [[김대중|전직 대통령]]과 동명이인이자 동향 출신으로 화제가 되었던, 목포시의장을 지낸 그 사람이 맞다.] * 김동환 광주전남미래교육희망포럼 상임대표이자 보성 득량남초등학교 교장이 출마를 선언하였다. 성향은 중도진보 성향으로 전남에서 교육감 후보군으로 오르내리는 인물들 중 유일하게 전교조 출신이 아니다. 원래 전남 최연소 교장(1970년생, 자격 획득 당시 만 47세)으로 화제가 됐었는데 [[https://www.youtube.com/watch?v=6SRewOICOoA|이번 출마를 위해 10년 이상 남은 정년을 포기하고 과감하게 교장을 그만두었다.]] 최종적으로 2022년 2월 28일자로 교직을 마감하고 [[https://youtu.be/SJjz2oEsnZg|출마를 선언하였다.]] == [[강원도]] == ||
{{{#ffffff '''성향'''}}} || {{{#ffffff '''후보군'''}}} || || [[진보#s-9|{{{#ffffff [include(틀:진보교육감)]}}}]] ||'''[[문태호(1968)|문태호]] 전 강원도교육감 비서실장'''[br]'''[[강삼영]] 모두를위한교육포럼 대표'''[br] || || [[보수주의|{{{#ffffff [include(틀:보수교육감)]}}}]] ||'''[[신경호(1952)|신경호]] 전 춘천교육장'''[br]'''유대균 전 교육부 장학관'''[br]'''조백송 강원도교원단체총연합회 회장'''[br]|| || [[중도주의|{{{#ffffff '''중도'''}}}]] ||'''민성숙 전 춘천시의원'''[br] || ---- * 진보진영에서는 현직 교육감인 [[민병희]] 교육감이 3선 연임 제한에 걸려 출마하지 못한다. * 민병희 교육감의 비서실장 출신이며 초등교사 출신인 [[문태호(1968)|문태호]] 실장이 출마를 선언했다. 더불어 태백미래학교 교장 출신 강삼영 모두를위한교육포럼 대표가 출마를 선언했다. * 저번 지선에서 민병희 교육감을 비판하며 출마를 선언했던 진보 진영의 박정원 상지대학교 교수는 문태호, 강삼영 후보의 단일화를 돕기 위해 출마하지 않았다. 박정원 교수를 중심으로 한 단일화 기구를 만들어 진보 교육감 단일화를 진행할 것으로 보인다. * 보수진영에서는 지난 선거에서 민병희에게 근소한차이로 낙선한 [[신경호(1952)|신경호]] 후보도 재출마하였다. 유대균 전 교육부장학관, 조백송 강원도교원단체총연합회 회장과 저번 지선과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강릉시 국회의원으로 출마를 선언했었던 원병관 강원도립대학교 총장 역시 출마를 선언했다. * 보수 진영의 신경호, 유대균, 원병관 후보는 강원교육발전연구소를 중심으로 단일화를 진행할 것으로 보인다. 강원교육발전연구소 측은 단일화를 추진해 4월 초에 결과를 발표하려 했으나, 세 후보 간 유언비어 유포 등 과도한 비방전 등을 이유로 합의에 이르지 못해 미뤄진 것으로 보인다. * 중도진영에서는 저번 교육감 선거에서도 출마 의지를 내비쳤던 중등음악교사 출신 민성숙 전 춘천시의원과 최광익 화천중고등학교 교장이 출마를 선언했다. 민성숙 후보는 중도진영으로 분류되지만 본인이 [[새누리당]] 출신 무소속이니 만큼 사실상 중도 보수로 보는 편이 맞는다. == [[제주특별자치도]] == ||
{{{#ffffff '''성향'''}}} || {{{#ffffff '''후보군'''}}} || || [[진보#s-9|{{{#ffffff [include(틀:진보교육감)]}}}]] ||'''[[이석문]] 제주특별자치도교육감''' || || [[보수주의|{{{#ffffff [include(틀:보수교육감)]}}}]] ||'''김광수 전 제주특별자치도의회 교육의원''' || ---- * 진보진영의 현직 교육감 [[이석문]] 교육감은 3선에 도전했다. * 보수진영에서는 현직 진보 교육감에 맞서 고창근 전 제주교육청 교육국장, 김광수 전 제주도의회 교육의원이 나설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출마를 확정지었었던 고창근 측과 김광수 측이 공동 기자회견 겸 협약식을 가지게 되면서, 여론조사 결과에 따라 단일화가 될 예정임을 밝혔다. * 2022년 5월 3일, 김광수 전 교육의원이 보수진영 단일화 후보로 확정되었다. * 그러나 2022년 5월 7일, 고창근 예비후보가 후보 단일화를 일방적으로 파기했다. * 김창식 교육의원은 교육의원 재선으로 방향을 틀었다. * 고창근 예비후보는 2022년 5월 13일 결국 출마를 포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