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기초자치단체장)] [include(틀: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include(틀: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기초자치단체장)] [목차] == 종합 결과 == ||<-2> {{{#!wiki style="margin: -20px -10px; padding: 2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5deg, #004EA2 25%, #004EA2 25%, #E61E2B 25%, #E61E2B 100%);" [[인천광역시|[[파일:인천광역시 휘장_White.svg|width=25px]]]] {{{+1 '''[[인천광역시|{{{#ffffff 인천광역시}}}]] [[기초자치단체장|{{{#ffffff 기초자치단체장}}}]]'''}}} }}} || {{{#!wiki style="margin: -20px -10px; padding: 2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5deg, #e61e2b 0%, #e61e2b 50%, #808080 50%, #808080 50%);" {{{#ffffff 정원 [br] {{{+1 '''10''' }}} }}} }}} || ||<|2> '''기호''' || '''정당''' ||<|2> '''의석수[br]{{{-1 (비율)}}}''' || || '''후보수''' || ||<|2> {{{#ffffff {{{+5 '''1'''}}}}}}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2> 2석[br]{{{-1 (20.0%)}}} || || 10 || ||<|2> {{{#ffffff {{{+5 '''2'''}}}}}} || [include(틀:국민의힘)] ||<|2> '''7석[br]{{{-1 (70.0%)}}}''' || || 9 || ||<|2> {{{#000000 {{{+5 '''3'''}}}}}} || [include(틀:정의당)] ||<|2> 0석[br]{{{-1 (0%)}}} || || 1 || ||<|2> {{{#ffffff {{{+5 '''-'''}}}}}} || [include(틀:무소속)] ||<|2> 1석[br]{{{-1 (10.0%)}}} || || - || 강화군수를 제외한 모든 곳에서 민주당이 당선된 4년전과는 정 반대의 결과가 나왔다. 민주당이 수성에 성공한 곳은 원래부터 민주당 지지세가 강하던 [[계양구]]와 [[부평구]]밖에 없었고, 보수정당의 강세 지역인 옹진군,강화군,연수구,미추홀구는 물론 최근따라 민주당세가 강해졌던 남동구,서구,중구에서도 낙선했다. == 지역별 == === 중구청장 === ||<-4> [[|{{{+1 [[파일:중구(인천광역시) CI_White.svg|width=30px]]}}}]] [[중구(인천광역시)|{{{#ffffff {{{+1 '''중구청장'''}}}}}}]]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홍인성|{{{#373a3c,#dddddd 홍인성}}}]](洪麟性) || 24,299 || 2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43.45% || 낙선 || ||<|2> {{{#FFFFFF {{{+5 '''2'''}}}}}} || '''[[김정헌|{{{#373a3c,#dddddd 김정헌}}}]](金正憲)''' || '''31,873''' || '''1위''' || || [include(틀:국민의힘)] || '''56.54%''' || {{{#000000 '''당선''' }}} || ||<|3> '''계''' || '''선거인 수''' || 124,974 ||<|3> '''투표율'''[br]45.90% || || '''투표 수''' || 57,362 || || '''무효표 수''' || 990 || === 동구청장 === ||<-4> [[|{{{+1 [[파일:동구(인천광역시) CI_White.svg|width=30px]]}}}]] [[동구(인천광역시)|{{{#ffffff {{{+1 '''동구청장'''}}}}}}]]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남궁형|{{{#373a3c,#dddddd 남궁형}}}]](南宮炯) || 12,729 || 2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45.05% || 낙선 || ||<|2> {{{#FFFFFF {{{+5 '''2'''}}}}}} || '''[[김찬진(1967)|{{{#373a3c,#dddddd 김찬진}}}]](金燦珍)''' || '''13,705''' || '''1위''' || || [include(틀:국민의힘)] || '''48.50%''' || {{{#000000 '''당선''' }}} || ||<|2> {{{#FFFFFF {{{+5 '''4'''}}}}}} || {{{#373a3c,#dddddd 오성배}}}(吳成培) || 1,819 || 3위 || || [include(틀:무소속)] || 6.43%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52,728 ||<|3> '''투표율'''[br]54.89% || || '''투표 수''' || 28,942 || || '''무효표 수''' || 689 || === 미추홀구청장 === ||<-4> [[|{{{+1 [[파일:미추홀구 CI_White.svg|width=30px]]}}}]] [[미추홀구|{{{#ffffff {{{+1 '''미추홀구청장'''}}}}}}]]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김정식(정치인)|{{{#373a3c,#dddddd 김정식}}}]](金正植) || 70,909 || 2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45.26% || 낙선 || ||<|2> {{{#FFFFFF {{{+5 '''2'''}}}}}} || '''[[이영훈(1968)|{{{#373a3c,#dddddd 이영훈}}}]](李泳勳)''' || '''85,740''' || '''1위''' || || [include(틀:국민의힘)] || '''54.73%''' || {{{#000000 '''당선''' }}} || ||<|3> '''계''' || '''선거인 수''' || 358,612 ||<|3> '''투표율'''[br]44.70% || || '''투표 수''' || 160,328 || || '''무효표 수''' || 3,679 || === 연수구청장 === ||<-4> [[|{{{+1 [[파일:연수구 CI_White.svg|width=30px]]}}}]] [[연수구|{{{#ffffff {{{+1 '''연수구청장'''}}}}}}]]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고남석|{{{#373a3c,#dddddd 고남석}}}]](高南碩) || 73,215 || 2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45.17% || 낙선 || ||<|2> {{{#FFFFFF {{{+5 '''2'''}}}}}} || '''[[이재호(정치인)|{{{#373a3c,#dddddd 이재호}}}]](李載浩)''' || '''88,850''' || '''1위''' || || [include(틀:국민의힘)] || '''54.82%''' || {{{#000000 '''당선''' }}} || ||<|3> '''계''' || '''선거인 수''' || 317,883 ||<|3> '''투표율'''[br]51.68% || || '''투표 수''' || 164,270 || || '''무효표 수''' || 2,205 || ---- 양 후보 모두 서로 1승을 가져간 가운데, 2014년,2018년 다음으로 3번째로 매치가 벌어졌다. 결과는 이재호 후보가 9%p 차이로 당선됨으로써 2승 1패로 앞서나가게 됨과 동시에 지난 지방선거 참패를 설욕하는 데 성공했다. === 남동구청장 === ||<-4> [[|{{{+1 [[파일:남동구 CI_White.svg|width=30px]]}}}]] [[남동구|{{{#ffffff {{{+1 '''남동구청장'''}}}}}}]]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이병래(1962)|{{{#373a3c,#dddddd 이병래}}}]](李炳來) || 102,160 || 2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48.95% || 낙선 || ||<|2> {{{#FFFFFF {{{+5 '''2'''}}}}}} || '''[[박종효|{{{#373a3c,#dddddd 박종효}}}]](朴鍾孝)''' || '''106,528''' || '''1위''' || || [include(틀:국민의힘)] || '''51.04%''' || {{{#000000 '''당선''' }}} || ||<|3> '''계''' || '''선거인 수''' || 441,226 ||<|3> '''투표율'''[br]48.06% || || '''투표 수''' || 212,064 || || '''무효표 수''' || 3,376 || === 부평구청장 === ||<-4> [[|{{{+1 [[파일:부평구 CI_White.svg|width=30px]]}}}]] [[부평구|{{{#ffffff {{{+1 '''부평구청장'''}}}}}}]]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차준택|{{{#373a3c,#dddddd 차준택}}}]](車濬澤)''' || '''101,876''' || '''1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51.28%''' || {{{#000000 '''당선''' }}} || ||<|2> {{{#FFFFFF {{{+5 '''2'''}}}}}} || [[유제홍|{{{#373a3c,#dddddd 유제홍}}}]](柳濟弘) || 96,765 || 2위 || || [include(틀:국민의힘)] || 48.71%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426,463 ||<|3> '''투표율'''[br]47.51% || || '''투표 수''' || 202,617 || || '''무효표 수''' || 3,976 || ---- 차준택 구청장이 민주당 소속 민선 7기 인천 기초단체장 중 유일하게 살아남았다. [[박형우]] 계양구청장은 3선을 채워 출마가 불가능했고, 서구청장 [[이재현(1960)|이재현]]은 공천에서 컷오프됐으며, 동구청장 [[허인환]]은 당내 경선에서 패배했다. 중구청장 [[홍인성]], 미추홀구청장 [[김정식(정치인)|김정식]], 연수구청장 [[고남석]], 옹진군수 [[장정민(정치인)|장정민]] 후보 4명은 민주당 공천을 받고 본선에 나갔으나 모두 낙선했다. === 계양구청장 === ||<-4> [[|{{{+1 [[파일:계양구 CI_White.svg|width=30px]]}}}]] [[계양구|{{{#ffffff {{{+1 '''계양구청장'''}}}}}}]]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윤환(정치인)|{{{#373a3c,#dddddd 윤환}}}]](尹渙)''' || '''73,079''' || '''1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51.48%''' || {{{#000000 '''당선''' }}} || ||<|2> {{{#FFFFFF {{{+5 '''2'''}}}}}} || [[이병택|{{{#373a3c,#dddddd 이병택}}}]](李秉澤) || 64,489 || 2위 || || [include(틀:국민의힘)] || 45.43% || 낙선 || ||<|2> {{{#000000 {{{+5 '''3'''}}}}}} || [[박인숙(1965)|{{{#373a3c,#dddddd 박인숙}}}]](朴仁淑) || 4,371 || 3위 || || [include(틀:정의당)] || 3.07%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258,156 ||<|3> '''투표율'''[br]56.06% || || '''투표 수''' || 144,718 || || '''무효표 수''' || 2,779 || === 서구청장 === ||<-4> [[|{{{+1 [[파일:서구(인천광역시) CI_White.svg|width=30px]]}}}]] [[서구(인천광역시)|{{{#ffffff {{{+1 '''서구청장'''}}}}}}]]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김종인(1970)|{{{#373a3c,#dddddd 김종인}}}]](金鐘燐) || 104,736 || 2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48.82% || 낙선 || ||<|2> {{{#FFFFFF {{{+5 '''2'''}}}}}} || '''[[강범석|{{{#373a3c,#dddddd 강범석}}}]](姜汎錫)''' || '''109,775''' || '''1위''' || || [include(틀:국민의힘)] || '''51.17%''' || {{{#000000 '''당선''' }}} || ||<|2> --{{{#FFFFFF {{{+5 '''4'''}}}}}}-- || --[[권중광|{{{#373a3c,#dddddd 권중광}}}]](權重光)-- ||<-2><|2> 사퇴 || || --[include(틀:무소속)]-- || ||<|3> '''계''' || '''선거인 수''' || 472,254 ||<|3> '''투표율'''[br]46.24% || || '''투표 수''' || 218,374 || || '''무효표 수''' || 3,863 || ---- 당초에는 현직인 민주당 [[이재현(1960)|이재현]] 구청장의 구정 평판이 나쁘지 않아 무난히 재선할 가능성이 높게 점쳐졌으나, 여직원 성추행 사건으로 인해 컷오프되면서 김종인 전 인천시의원이 공천되었다. 결국 현직 프리미엄이 사라지면서 오히려 국민의힘 후보인 강범석 전 구청장이 '전직 프리미엄'을 누리게 되었고, 강범석이 재빠르게 이재현의 최대 업적으로 호평받는 '클린 서구' 정책을 본받겠다고 선언[* 아예 선거공보물 두 페이지를 할애해 "'''잘한 건 잘했다 해야 합니다'''. '클린 서구' 이어가겠습니다"라는 섹션을 만들어 이재현의 정책을 벤치마킹한 환경 공약을 소개했다.]하면서 김종인 측에서 내세울 수 있는 게 별로 없었다. === 강화군수 === ||<-4> [[|{{{+1 [[파일:강화군 CI_White.svg|width=30px]]}}}]] [[강화군|{{{#ffffff {{{+1 '''강화군수'''}}}}}}]]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한연희|{{{#373a3c,#dddddd 한연희}}}]](韓蓮熙) || 13,438 || 2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35.35% || 낙선 || ||<|2> {{{#FFFFFF {{{+5 '''4'''}}}}}} || '''[[유천호|{{{#373a3c,#dddddd 유천호}}}]](劉天浩)''' || '''17,991''' || '''1위''' || || [include(틀:무소속)] || '''47.33%''' || '''{{{#000 당선}}}''' || ||<|2> {{{#FFFFFF {{{+5 '''5'''}}}}}} || [[윤재상|{{{#373a3c,#dddddd 윤재상}}}]](尹在相) || 6,581 || 3위 || || [include(틀:무소속)] || 17.31%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63,147 ||<|3> '''투표율'''[br]61.90% || || '''투표 수''' || 39,088 || || '''무효표 수''' || 1,078 || ---- 당초 현직 군수인 유천호가 국민의힘 공천을 받았으나, 경선 상대였던 윤재상 후보가 유천호의 입후보 자격[* 국민의힘 공천관리규정에 따라 사기 전과자는 공천이 제한되는데, 유천호는 40년 전 사기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은 적이 있다.]을 문제삼아 공천 효력정지 가처분신청을 냈고, 이게 후보자 등록기간 직전에 인용되면서 국민의힘은 졸지에 강화군수 선거를 무공천으로 치르게 되어버렸다. 결국 유천호가 당 지도부와 협의 하에 탈당 후 무소속으로 출마했으며, 유천호의 공천을 무효화시킨 당사자인 윤재상도 탈당 후 무소속으로 선거에 나섰다. 개표 결과 보수표 분산이라는 악재 속에서도 유천호 현 군수가 2위인 민주당 한연희 후보를 10%p 넘게 앞서며 강화군이 보수 텃밭임을 다시 한 번 증명했다. === 옹진군수 === ||<-4> [[|{{{+1 [[파일:옹진군(인천광역시) CI_White.svg|width=30px]]}}}]] [[옹진군(인천광역시)|{{{#ffffff {{{+1 '''옹진군수'''}}}}}}]]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장정민(정치인)|{{{#373a3c,#dddddd 장정민}}}]](張政敏) || 5,457 || 2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44.53% || 낙선 || ||<|2> {{{#FFFFFF {{{+5 '''2'''}}}}}} || '''[[문경복|{{{#373a3c,#dddddd 문경복}}}]](文景福)''' || '''6,797''' || '''1위''' || || [include(틀:국민의힘)] || '''55.46%''' || {{{#000000 '''당선''' }}} || ||<|3> '''계''' || '''선거인 수''' || 18,895 ||<|3> '''투표율'''[br]67.18% || || '''투표 수''' || 12,693 || || '''무효표 수''' || 439 || ---- 장정민 현역 군수이자 후보가 낙선함으로써 옹진군 3선 법칙이 깨졌다. 다만 옹진군 치곤 꽤 선전을 했다. [[분류: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기초자치단체장]][[분류:인천광역시의 기초자치단체장]][[분류:인천광역시의 정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