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include(틀: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include(틀:정의당 관련 문서)] [목차] == 개요 == 정의당의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결과를 요약한 문서. == 결과표 == ||<-8> {{{#000000,#e5e5e5 '''2018년 7회 지선/2022년 8회 지선 당선자 수 비교'''}}} || ||<-8> {{{#000000 '''정의당'''}}} || ||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제7회]] || 후보자 ||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제8회]] || 증감 || 수성한 당선직 || 빼앗긴 당선직 || 새로 얻은 당선직 || || '''광역단체장''' || 0석 / 17석 || 7석 / 17석 || 0석 / 17석 || 0석 || - || - || - || || '''기초단체장''' || 0석 / 226석 || 9석 / 226석 || 0석 / 226석 || 0석 || || || || || '''광역의원''' || 11석 / 824석 || 30석 / 872석 || 2석 / 872석 || -9석 || || || || || '''기초의원''' || 26석 / 2,926석 || 132석 / 2,988석 || 7석 / 2,988석 || -19석 || || || || ||<-10> {{{#000000 '''[[정의당|{{{#000000 정의당}}}]] 지역별 당선 비율(%)'''}}} || || || [[서울특별시|{{{#ffffff '''서울'''}}}]] || [[부산광역시|{{{#ffffff '''부산'''}}}]] || [[대구광역시|{{{#ffffff '''대구'''}}}]] || [[인천광역시|{{{#ffffff '''인천'''}}}]] || [[광주광역시|{{{#ffffff '''광주'''}}}]] || [[대전광역시|{{{#ffffff '''대전'''}}}]] || [[울산광역시|{{{#ffffff '''울산'''}}}]] || [[세종특별자치시|{{{#ffffff '''세종'''}}}]] || [[경기도|{{{#ffffff '''경기'''}}}]] || || 광역단체장[br](승 / 패) || 1.21%[br](패) || 1.39%[br](패) || 2.40%[br](패) || 3.17%[br](패) || 4.71%[br](패) || 후보 없음 || 후보 없음 || 후보 없음 || 0.66%[br](패) || || 기초단체장 || 0.00%[br](0석/25석) || 0.00%[br](0석/16석) || 0.00%[br](0석/8석) || 0.00%[br](0석/10석) || 0.00%[br](0석/5석) || 0.00%[br](0석/5석) || 0.00%[br](0석/5석) || 해당 없음 || 0.00%[br](0석/31석) || || 광역의원 || 0.00% || 0.00% || 0.00% || 0.00% || 0.00% || 0.00% || 0.00% || 0.00% || 0.00% || || 기초의원 || 0.00% || 0.00% || 0.00% || 0.08% || 1.44% || 0.00% || 0.00% || 해당 없음 || 0.00% || || || [[강원도|{{{#ffffff '''강원'''}}}]] || [[충청북도|{{{#ffffff '''충북'''}}}]] || [[충청남도|{{{#ffffff '''충남'''}}}]] || [[전라북도|{{{#ffffff '''전북'''}}}]] || [[전라남도|{{{#ffffff '''전남'''}}}]] || [[경상북도|{{{#ffffff '''경북'''}}}]] || [[경상남도|{{{#ffffff '''경남'''}}}]] ||<-2> [[제주특별자치도|{{{#ffffff '''제주'''}}}]] || || 광역단체장[br](승 / 패) || 후보 없음 || 후보 없음 || 후보 없음 || 후보 없음 || 후보 없음 || 후보 없음 || 4.01%[br](패) ||<-2> 후보 없음 || || 기초단체장 || 0.00%[br](0석/18석) || 0.00%[br](0석/11석) || 0.00%[br](0석/15석) || 0.00%[br](0석/14석) || 0.00%[br](0석/22석) || 0.00%[br](0석/23석) || 0.00%[br](0석/18석) ||<-2> 해당 없음 || || 광역의원 || 0.00% || 0.00% || 0.00% || 2.5% || 1.67% || 0.00% || 0.00% ||<-2> 0.00% || || 기초의원 || 0.57% || 0.00% || 0.00% || 0.05% || 1.21% || 0.00% || 0.00% ||<-2> 해당 없음 || == 상세 == '''이번 선거의 실질적인 패자''', 한 마디로 요약될 수 있는 정의당 역사상 최악의 성적이다.[* 그래도 [[더불어민주당]]은 광역단체장과 광역의원에선 참패를 했지만 기초조직을 결정짓는 기초의회에서만큼은 실질적으로 무승부였다.] 이번 지방선거에서 정의당은 광역 2석[* 그나마 이것도 전라남도와 전라북도의 광역의회 비례대표의원이다. 심지어 여기서도 [[국민의힘]]이 [[정의당]]을 비례대표 득표에서 한참 앞선 건 덤.], 기초 7석이란 역대 최악의 결과를 냈다. 지난 지방선거에 비해 광역은 1/5, 기초는 1/3 토막이 난 것이다. 결국 정의당 지도부는 [[http://naver.me/FlzHdbtc|총사퇴]]했다. '''원외정당인 [[진보당(2020년)|진보당]]이 오히려 원내정당인 정의당을 눌렀다.''' 게다가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의 [[정의당]][* 당시 기초의원만 11석을 얻었다. 하지만 세부적으로 보면 이번 선거보단 좋은데 진보정당의 사지인 대구와 경상북도에서 각각 2석([[장태수(정치인)|장태수]], [[김성년]]), 1석([[엄정애]])을 얻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심지어 당시 [[노동당(대한민국)|노동당]]보다도 더 안 좋은[* 당시 노동당은 광역 1석, 기초 6석을 얻었기에 서류상으론 2022년의 정의당보다 나쁘지만, 적어도 당시 노동당은 광역의원에서 지역구 의석 1석이라도 얻었다.(창원5, [[여영국]])] 성적을 내면서 그나마 있던 조직력이 완전히 산산조각이 나버렸다. 이로써 2년 뒤인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원외정당으로 전락할 위기를 맞게 되었다. 선거가 끝나고 [[오마이뉴스]]에서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정당별 결과/진보당|진보당의 좋은 성적]]과 비교해 진보당과 정의당의 차이점을 적은 칼럼이 나왔다. [[http://m.ohmynews.com/NWS_Web/Mobile/at_pg.aspx?CNTN_CD=A0002840425&CMPT_CD=MSA99|#]] == 지역별 == === 수도권 === [[인천광역시]] [[동구(인천광역시)|동구]]의회 가선거구[* 만석동, 화수1·화평동, 화수2동, 송현1·2동]에서 김종호 후보 1명만이 당선되는 데에 그쳤다. 그 밖에 진보정당이 선전하는 [[인천광역시]] [[남동구]][* [[배진교]]가 남동구청장을 했었다.], [[서울특별시]] [[마포구]], [[구로구]], [[관악구]], [[노원구]], [[고양시]] [[덕양구]][* [[심상정]]의 지역구다.]에서도 당선자를 못 내고, 비례대표 득표율도 4% 언저리에 그쳐 비례대표 의석을 하나도 못 건져서 수도권에서 참패를 당했다. 경쟁 진보정당인 [[진보당(2020년)|진보당]]에서 온갖 페널티를 딛고 [[서울특별시]] [[노원구]], [[경기도]] [[수원시]] 등지에서 2명의 후보자를 당선시킨 것과 비교해 볼때 초라해지는 대목이다. === 강원권 === 의외의 선전을 한 곳이다. 진보정당의 불모지라 불리는 곳인 [[강원도]]였는데 [[춘천시]]의회 라선거구[* 효자2동, 석사동]에서 윤민섭 후보가 당선되었기 때문이다. 물론 그 외의 다른 성과는 전무하지만. === 충청권 === 강원도, 제주도와 같이 유일하게 광역단체장을 내지 않은 권역이다. 결국 단 한 명의 당선자도 내지 못했다. 참고로 경쟁 진보정당인 [[진보당(2020년)|진보당]]은 무려 '''[[충청북도]] [[옥천군]]'''에서 기초의원 당선자를 내는 쾌거를 이룩했다. === 호남권 === 진보정당의 아성으로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도 정의당이 광주전남 지역에서 제1야당 노릇을 하고 있었으나, 이번엔 그야말로 '''처참하게 패망했다고 봐도 과언이 아니다.''' [[목포시]][* [[윤소하]] 전 의원의 지역구이다. 다만 비례대표 출신이고 임기 이후 정의당에서 정치를 하지 않는 상황인데도 당선이 되었다는 것이 특이사항.]에서 시의원 '''3명'''[* 지역구 2석(마선거구(연산동, 원산동, 용해동) 최현주 후보, 사선거구(부흥동, 신흥동, 부주동) 백동규 후보)+비례대표 박유정 후보]이 당선된 것을 제외하면 이번 선거에서 정의당이 내놓을 만한 성과가 '''전혀 없다.''' 이외에는 [[광주광역시]] [[광산구]]의회 마선거구[* 수완동, 하남동, 임곡동]에서 한윤희 후보가, [[전라북도]] [[전주시]]의회에서 한승우 후보[* [[완산구]] 삼천1동, 삼천2동, 삼천3동, 효자1동][* 다만 한승우 후보는 개표 중후반만 해도 '''[[국민의힘]]''' 후보에게 밀리다가 막판에 간신히 역전해서 당선되었다.]가 당선된 것이 정의당이 이번 선거에서 목포시를 제외한 호남 지역에서 거둔 성과의 전부이기 때문. 이 때문에 목포시에서의 선전이 이번 8회 지선에서 정의당에서 거의 유일하게 내놓을만한 성과라고 할 만한 것이다. 광역의회 비례대표에서도 전라남도 및 전라북도의회의 비례대표 의석 1석 씩만 겨우 지켰고 [[광주광역시]]에서는 [[국민의힘]]에게 시의회 비례대표 의석을 빼앗기는 굴욕을 맛보며 호남 제1야당 지위를 국민의힘에게 내주었다는 사실만 확인한 꼴이 되었다. 심지어 기초의회 비례대표에서도 국민의힘에게 밀리면서[* 정의당은 광주·전남·전북 다 합쳐서 겨우 목포시에서만 비례대표 의석 1석만을 건졌다. 반면 국민의힘은 전주시, 군산시, 익산시, 순천시에서 총 4석을 얻었다.] 그야말로 처참하게 패망했다는 말 외에는 달리 할 말이 없을 지경이다. 또한 경쟁 진보정당인 [[진보당(2020년)|진보당]]이 호남 지역에서 광역의원을 3명[* 전라북도의회에서 1명, 전라남도의회에서 2명이 당선되었다.], 기초의원을 12명이나 배출하며[* 광주광역시에서만 6석을 얻었다. 그 밖에 익산시, 순천시, 광양시, 나주시, 화순군 등에서도 기초의회 의원을 배출했다. 특히 순천시에서는 무려 2명을 배출했다.] 이번 선거에서 약진한 반면 정의당은 그야말로 처참하게 패망한 성적을 보여주며 향후 전망에 먹구름만 드리우게 되었다. === 대경권 === 보수의 아성이지만 의외로 진보정당이 기초의회 의석을 얻는 곳이다. 하지만 이번엔 전멸했다. 일단 대구광역시장에선 [[한민정]] 후보가 2.40%를 받으며 낙선했고, 기초의회에서도 [[김성년]] 후보가 4선에 실패했다. 경상북도의 경우는 경북도의원 [[경산시]] 제1선거구에 [[엄정애]] 후보가 도전했지만 33%를 받으며 낙선했다.[* 해당 선거구에 민주당 후보가 안 나와서 가능했다. 국민의힘 후보와 1:1 구도였다.] === 부울경 === 광주광역시, 전라남도과 같이 진보정당 지지세가 높은 지역인데, 바로 공단 노동자들이 많기 때문이다. 그래서 [[민주노동당]] 시절부터 기초의원·광역의원을 최소한 1~2석을 확보했었다. 하지만 이번엔 정의당은 여기서 1석도 얻지 못했다. 광역단체장에선 [[부산광역시]]에 출마한 [[김영진(1962)|김영진]] 후보는 1.39%, [[경상남도]]에 출마한 [[여영국]] 후보는 4.01%만 받고 낙선했다. 이번 선거에서 진보정당 지지자들[* 특히 1020대 여성들이 민주당에 몰표를 던졌다.]의 [[전략적 투표]]가 많았음을 감안해도 그렇게 좋지 않은 성적이다. 특히 [[창원시]] [[성산구]], [[거제시]]에 있는 기초·광역의원 의석을 죄다 잃었으며, [[김진영(1964)|김진영]] 후보도 [[울산광역시]] [[북구(울산광역시)|북구청장]]에 선거에 출마했다가 9.37%를 받아서 낙선했다. 경쟁 진보정당인 [[진보당(2020년)|진보당]]의 [[김종훈(1964)|김종훈]] 후보가 울산광역시 [[동구(울산광역시)|동구청장]]에 당선되고 울산광역시의 구의원도 2명이나 배출한 것과 대조적이다. === 제주권 === 외지인들의 유입 때문에 광주전남 정도로 진보적인 경향이 있는 지역이다. 그래서 정의당 등 진보정당이 해볼만한 지역이였다. 여기는 광주전남과 부울경과 달리 그래도 선전을 했는데, 실제로 일도2동 선거구에선 비록 양당 구도이긴 하지만 자그마치 40% 이상을 득표하며 꽤 분투를 했고, 나머지 한 곳도 15% 이상을 득표해 선거비용 보전엔 성공했다. == 기타 == [[분류: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