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5deg, #cd313a 50%, #0047a0 50%)" '''[[독립유공자|{{{#ffffff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br] {{{#ffffff '''{{{+1 조근백}}}'''[br]'''趙根伯'''}}}}}} || || '''이명''' ||조성일(趙性逸) || || '''자 / 호''' ||근백(勤伯) / 두포(豆圃) || || '''본관''' ||[[함안 조씨]][* 26세 성(性) 항렬.] || ||<|2> '''출생''' ||[[1872년]] [[3월 13일]] || ||[[경상도]] [[청송군|청송도호부]] [[현서면]] 두현리[br](현 [[경상북도]] [[청송군]] [[현서면]] 두현리 파재마을)[* [[함안 조씨]] 집성촌이다.] || || '''사망''' ||[[1908년]] [[6월 20일]] || || '''상훈''' ||건국훈장 애국장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받았다. == 생애 == 조근백은 1872년 3월 13일 경상도 청송도호부 현서면 두현리(현 경상북도 청송군 현서면 두현리 파재마을)에서 조희식(趙羲植)의 아들로 태어났다.[[http://blog.daum.net/kil0930/171|#]] 1906년 3월 정용기가 경상북도 [[영천시|영천군]]에서 산남의진(山南義陣)을 조직하자 그 휘하에 들어가 초기에는 병력 소모에 진력하였으며, 이후 [[영양군]]·청송군·[[청송군|진보군]] 등지를 전전하며 접전 때마다 전과를 올리는 등 활약하였다. 그 뒤 이듬해 7월 [[포항시|청하군]] [[죽장면|죽남면]] 입암(立岩)[* 현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포항)|북구]] [[죽장면]] 입암리.] 전투에서 정용기 의병장이 전사하고 의진이 해산되자, 은둔하였으나 1908년 6월 20일 자택에서 일본군에게 체포되어, 현장에서 총살당해 순국하였다. 1990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건국훈장 애국장이 추서되었다. [[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건국훈장 애국장]][[분류:함안 조씨]][[분류:청송군 출신 인물]][[분류:1872년 출생]][[분류:1908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