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텍사스 레인저스/로스터)] ---- ||
'''{{{#ffffff 조나 하임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파일:2023_rangers_world_champions.jpg|height=70]][br]'''MLB 월드 시리즈[br]우승반지''' || || '''[[2023년 월드 시리즈|{{{#ffffff 2023}}}]]''' || ---- ||
[[파일:2023 MLB 올스타전 로고.svg|height=70]][br]'''메이저 리그 베이스볼[br]올스타''' ||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전/2023년|{{{#ffffff 2023}}}]]''' || ---- ||<-5>
[[아메리칸 리그|[[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width=20]]]] '''{{{#ffffff 2023년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포수 부문 골드 글러브}}}''' || || [[호세 트레비노]][br]([[뉴욕 양키스]]) || → || '''조나 하임[br]([[텍사스 레인저스]])''' || → || 2024년 수상자 || ---- ||<-5>
'''{{{#FFFFFF [[오클랜드 애슬레틱스|{{{#FFFFFF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등번호 37번}}}''' || || [[에드윈 잭슨]][br](2018) || {{{+1 →}}} || '''{{{#003831 조나 하임[br](2020)}}}''' || {{{+1 →}}} || [[아라미스 가르시아]][br](2021) || ||<-5> '''{{{#FFFFFF [[텍사스 레인저스|{{{#FFFFFF 텍사스 레인저스}}}]] 등번호 28번}}}''' || || [[코리 클루버]][br](2020) || {{{+1 →}}} || '''{{{#fff 조나 하임[br](2021~)}}}''' || {{{+1 →}}} || [[현역#s-2]]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000003488.jpg|width=100%]]}}} || ||<-2> '''텍사스 레인저스 No.28''' || ||<-2> '''{{{+2 조나 하임}}}[br]Jonah Heim''' || || '''본명''' ||조나 네이선 하임[br]Jonah Nathan Heim || ||<|2> '''출생''' ||[[1995년]] [[6월 27일]] ([age(1995-06-27)]세) || ||[[뉴욕주|뉴욕 주]] [[버팔로(미국 도시)|버팔로]]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 '''학력''' ||암허스트 고등학교 || || '''신체''' ||193cm / 99kg || || '''포지션''' ||[[포수]] || || '''투타''' ||[[우투양타]] || || '''프로입단''' ||[[2013 MLB 신인드래프트|2013년 드래프트]] 4라운드 (전체 129번, [[볼티모어 오리올스|BAL]]) || || '''소속팀'''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2020)[br]'''[[텍사스 레인저스]] (2021~)''' || || '''계약''' ||1yr / $745,660 || || '''연봉''' ||2023 / $745,660 || || '''SNS''' ||[[https://www.instagram.com/jonahheim6|[[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jonah_heim6, 크기=20)] || [목차] [clearfix] == 개요 == [[텍사스 레인저스]] 소속 [[포수]]. == 선수 경력 == [[2013 MLB 신인드래프트|2013년 드래프트]]에서 볼티모어 오리올스에 지명받으며 입단하였다. 오리올스 팜에서는 3년간 .522 - .531 - .629의 낮은 OPS를 기록하며 딱히 인상적인 모습을 보여주지 못했다. 2015년에는 발 부상을 당하는 악재를 겪으며 시즌의 절반을 날리고 말았다. 2016년 8월 1일, [[스티브 피어스]]를 상대로 맞트레이드되며 탬파베이 레이스로 이적했다. 2016년 A+에서 풀타임을 뛰었으나 .217/.294/.339의 성적을 기록했고, 결국 2017년에는 싱글A로 강등되어 시즌을 시작했다. 싱글A에서 77경기 .268/.327/.426의 성적을 기록하며 반등했고, 다시 하이싱글A로 승격되었으나 .218/.262/.273을 만드는 데 그쳤다. ===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268607004.jpg.0.jpg|width=100%]]}}} || 탬파베이에서도 큰 반등을 만들어내지 못한 채 2017년 12월 19일, [[조이 웬들]]을 상대로 오클랜드 애슬레틱스로 트레이드된다. 2019년에는 AA팀 [[미들랜드 락하운즈]]에서 시즌을 시작했는데, 50경기 .282/.370/.431의 좋은 성적을 기록하며 AAA로 승격되었다. 특히 볼넷 24개, 삼진 27로 크게 개선된 볼삼비를 보여주며 기대를 높였다. AAA 승격 후에는 .359/.412/.557로 더욱 발전된 성적을 기록했다. 이후 팀 내 유망주 29위에 올랐다. 2019년 종료 후 룰5 드래프트에 대비하여 40인 로스터에 포함되었다. 2020년 8월 24일 처음으로 빅리그에 콜업되었고, 다음날인 25일 데뷔전을 치렀다. 2020 시즌 최종 성적은 13경기 41타석 .211/.268/.211. 2019년 마이너리그와 2020년 대체훈련지에서 좋은 모습을 보여주며 오클랜드의 새로운 포수 유망주로 떠올랐으나, 나이대가 비슷한 [[션 머피]]가 빅리그 주전을 성공적으로 꿰차 오클랜드에서의 하임의 미래는 밝지 않아 보였다. === [[텍사스 레인저스]] === 결국 2021년 2월 6일, 오클랜드는 하임을 텍사스 레인저스로 트레이드했다. 이 때 오클랜드는 [[엘비스 앤드루스]]와 [[아라미스 가르시아]]를 받아오고 데인 애커와 조나 하임, 그리고 [[크리스 데이비스(1987)|크리스 데이비스]]를 내주었다. [[아라미스 가르시아]]는 하임보다 타격의 기대치가 낮으나 수비는 좋은 포수로, 최대치가 백업포수인 선수이다. 결국 주전포수로 발돋움할 가능성이 비교적 높고 나이도 두 살 더 어린 하임을 넘겨주고, 연봉보조가 된 주전급 유격수 엘비스 앤드루스를 받아오는 선택을 한 것이다. ==== 2021 시즌 ==== [[호세 트레비노]]의 백업으로 빅리그에서 출장하고 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레인저스하임.webp|width=100%]]}}} || 4월 6일 [[토론토 블루제이스]]와의 경기에서 6회 말 [[토미 마일론]]을 상대로 데뷔 첫 홈런을 때렸다. 7월 31일과 8월 1일 이틀 연속 끝내기 홈런을 때려내며 갈 길 바쁜 [[시애틀 매리너스]]의 발목을 잡았다. 한 타자가 이틀 연속으로 끝내기포를 때린 것은 MLB 역사상 세 번째라고 한다. ==== 2022 시즌 ==== 지난 시즌 주전포수였던 [[호세 트레비노]]가 트레이드를 통해 [[뉴욕 양키스]]로 이적하며 더욱 많은 플레잉타임을 부여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팀은 시즌 전 [[미치 가버]]를 영입하며 경쟁을 예고했다. 4월 14일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전에서 역전 만루홈런 포함 3안타(1홈런) 5타점의 맹활약을 한다. 이 만루홈런이 상대 선발투수인 [[오타니 쇼헤이]]가 메이저리그에서 처음 허용한 만루홈런이다. 4월 28일에는 딸 출산을 지켜보기 위해 경조사 명단에 올라왔다. 복귀 다음날인 5월 3일 경기에서 [[레인저 수아레즈]]를 상대로 홈런을 터뜨리며 출산을 자축했다. 5월 18일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전에서 5타수 3안타 2타점의 맹활약을 했다. 이번 경기의 3안타는 이번에도 [[오타니 쇼헤이]]를 상대로 기록했고 이 2타점으로 오타니의 승리를 날려버렸다. 이번 시즌 오타니 상대 성적은 '''5타수 5안타(1홈런) 7타점'''으로 본인의 시즌 타점인 14타점의 절반을 오타니를 상대로 기록했다. 이 정도면 올시즌 투수 오타니의 천적이라고 봐도 될듯하다. 9월 12일 [[마이애미 말린스]]와의 경기에서 [[JJ 블러데이]]의 파울 타구를 진기명기와 같은 호수비로 잡아내며 화제가 되었다.[[https://www.mlb.com/video/jesus-tinoco-foul-to-jj-bleday|영상]] ==== 2023 시즌 ==== 타격에서 한 층 더 발전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특히 정확도 면에서 장족의 발전을 이뤄내고 있는데, 7월 14일 기준 80경기 296타수 85안타(2루타 21) 13홈런 63타점 .287/.342/.490 OPS .831 OPS+ 126 fWAR 3.4 bWAR 3.0의 호성적을 기록 중이다. 최종 타격 성적은 다소 떨어진 채 시즌을 마쳤지만, 팀을 [[2023년 월드 시리즈]] 우승으로 이끌었고 생애 첫 [[골드 글러브]]까지 수상하면서 커리어 최고의 시즌을 보냈다. == 플레이 스타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mEWb_5M0sxw)]}}} || 빅리그에서 보기 드문 우투양타 포수이다. 그러나 우투 상대보다 좌투 상대시 성적이 훨씬 좋다. 이는 타격이 좋지 않았던 마이너 시절부터 이어져왔던 경향이다. 또 커리어 대부분 삼진률이 20% 아래에서 놀았을 정도로 삼진을 잘 당하지 않는 것이 큰 특징이다. 2013년 프로 입단 이후 포수 말고 다른 포지션으로는 단 1이닝도 나온 적이 없을 정도로 나름 경험치가 많은 포수이다. 마이너 시절에는 어깨가 좋다는 평가를 쭉 받아왔다. 특히 2017시즌에는 660이닝동안 45%의 도루저지율을 기록하며 주자들의 진루를 효과적으로 억제했다. 마이너 시절이었던 2019년 스카우팅 리포트에서도 어깨 부문 50점(20-80 스케일 기준)을 받으며 빅리그에서도 상위권 어깨를 뽐낼 것으로 예상되었다. 이어 빅리그 데뷔 시즌이었던 2020년에는 2도루 3도루저지로 스몰샘플이지만 나쁘지 않았으나, 2021년과 22년에는 각각 23%, 19%의 도루저지율을 기록하며 갈수록 나빠진 수치를 기록, 현재는 평균 이하의 어깨로 평가받고 있다. 하임이 좋은 평가를 받는 부분 중 하나는 바로 프레이밍. 2021년에는 프레이밍 부분 리그 상위 2%에 들며 [[호세 트레비노]]와 함께 투수진을 이끌었고, 2022시즌에도 리그 전체 2위[* baseball savant catcher framing runs 기준]의 프레이밍 실력을 보여주었다[* 참고로 전체 1위는 지난해까지 같이 뛴 [[호세 트레비노]]이다.]. 특히 우타자 몸쪽 공의 70.9%를 스트라이크 판정을 받아내며 강점을 보였다. 유망주 시절에는 장타 툴이 좋다고 평가받지 못했고, 오히려 평균 이하의 파워를 가지고 있었으나 2021년 빅리그에서 첫 두자리수 홈런을 때려내더니 2022년에는 127경기 16홈런을 기록하며 한 방을 가진 타자로 성장했다. == 수상 내역 == || '''수상''' || ||[[월드 시리즈]] 우승 ([[2023년 월드 시리즈|2023]])[br][[파일:MLB 로고.svg|width=20]] '''올스타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전/2023년|2023]])'''[br][[아메리칸 리그]] 포수 [[골드 글러브]] (2023) || == 연도별 성적 == ||<-19>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파일:MLB 로고.svg|width=35]]]] {{{#FFFFFF '''조나 하임의 역대 MLB 기록'''}}} || || 연도 || 팀 || G || PA || H || 2B || 3B || HR || R || RBI || SB || BB || SO || AVG || OBP || SLG || OPS || fWAR || bWAR || || 2020 || [[오클랜드 애슬레틱스|OAK]] || 13 || 41 || 8 || 0 || 0 || 0 || 5 || 5 || 0 || 3 || 3 || .211 || .268 || .211 || .479 || -0.1 || 0.1 || || 연도 || 팀 || G || PA || H || 2B || 3B || HR || R || RBI || SB || BB || SO || AVG || OBP || SLG || OPS || fWAR || bWAR || || 2021 ||<|3> [[텍사스 레인저스|TEX]] || 82 || 285 || 52 || 13 || 0 || 10 || 22 || 32 || 3 || 15 || 58 || .196 || .239 || .358 || .598 || 1.0 || -0.1 || || 2022 || 127 || 450 || 92 || 20 || 1 || 16 || 51 || 48 || 2 || 41 || 87 || .227 || .298 || .399 || .697 || 2.7 || 2.5 || || 2023 || 131 || 501 || 118 || 28 || 0 || 18 || 61 || 95 || 2 || 40 || 96 || .258 || .317 || .438 || .755 || 4.1 || 2.9 || ||<-2>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MLB]] 통산'''[br](4시즌) || 353 || 1277 || 270 || 61 || 1 || 44 || 139 || 180 || 7 || 99 || 244 || .232 || .292 || .399 || .690 || 7.7 || 5.3 || == 여담 == * 고향인 [[버팔로(도시)|버팔로]]에 대한 애정이 남다르다. 2020년부터 2021년까지 [[코로나19]]로 인해 [[토론토 블루제이스]]가 버팔로에서 임시로 경기를 치렀는데, 텍사스 소속으로 2021년 버팔로 원정을 갔을 당시 매우 특별한 경험이었다고 말했다. 팔에는 버팔로의 스카이라인을 형상화한 문신이 새겨져 있다. [각주] [[분류:미국의 야구 선수]][[분류:1995년 출생]][[분류:2020년 데뷔]][[분류:버팔로(뉴욕) 출신 인물]][[분류:포수]][[분류:우투양타]][[분류:스위치 히터]][[분류:오클랜드 애슬레틱스/은퇴, 이적]][[분류:텍사스 레인저스/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