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clearfix] == 개요 == Central Advisory Council [[http://db.history.go.kr/item/imageViewer.do?levelId=pu_002_1150|출처]]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의 자문기관. [[한일병합]] 이후 옛 [[대한제국]]의 [[고관대작]]과 유력자들을 회유하기 위해 [[대한제국 중추원]]을 개편하여 설치된 기관이다. == 역할 == [[의장]]은 [[조선총독부]] 정무총감([[조선 총독]]의 다음 서열)이 겸임했으며, 부의장은 나머지 [[조선인]] 구성원 중에서 임명되었다. 공식적으로도 본토의 [[일본 제국 추밀원|추밀원]]에 해당되는 총독부 자문기관이었으나 실제 권한이 없는 유명무실한 기관이었고, [[3.1 운동]] 시기까지 단 한 차례의 회의도 소집되지 않았다. 설립 당시 중추원 구성은 의장 1명, 부의장(칙임 대우) 1명, [[고문(직위)|고문]](칙임 대우) 15명, 찬의(贊議, 칙임 대우) 20명, 부찬의(副贊議, 주임 대우) 35명과 서기관장 1명, [[서기관]], 통역관이 각 직책별로 구성되기도 했다. [[1919년]] [[사이토 마코토]] [[총독]] 부임 이후 부의장 외에 고문, 찬의, 부찬의가 참의(參議)로 통합되었다. 이후 매년 회의를 소집하였으나, 인사권이나 예산권이 없는 자문기관으로서의 성격은 바뀌지 않았다. 매년 소집되는 연례 회의는 총독 이하 주요 관원들이 중추원 참의들 앞에서 보고를 하면, 참의들은 그에 대한 질의를 하거나 새로운 정책 제의를 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이곳의 구성원들은 전부 거물급 [[친일반민족행위자|식민통치 협력자]]들로 부의장 이상의 직책은 대부분 일본에서 내린 [[작위]] 서임자([[조선귀족]])들이 역임했다. [[3.1 운동]] 이후 자치론이 부각되면서 자치론자들은 중추원 기능을 활성시키자고 주장하였지만, 일제 식민당국이 조선인 투표권 부여에 대해서 미온적인 반응을 보이면서[* 그나마 지방선거에서 투표권이 부여되었기는 했지만 납세액 규정 제한을 두어 투표를 할 수 있는 사람은 중상류층 이상으로 한정되었다. 대다수 하층민은 선거에서 배제되었다.] 결국 중추원의 기능은 [[자문]] 수준을 넘어서지 못했다. 청사는 옛 대한제국의 [[탁지부]] 청사를 사용했다. == 구성 == [include(틀:조선총독부 중추원)] == 관련 문서 == * [[조선총독부]] * [[일본 제국 추밀원]] * [[대한제국 중추원]]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중추원, version=150, paragraph=4)] [[분류:조선총독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