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2 {{{#fff '''조성역'''}}}}}} || || [[부전역(동해선)|{{{-1 {{{#585858,#cccccc 부전 방면}}}}}}]][br][[벌교역|벌 교]][br]← 10.7 ㎞ || [[경전선|{{{-1 {{{#ffffff 경전선[br]무궁화호}}}}}}]] || [[목포역|{{{-1 {{{#585858,#cccccc 목포 방면}}}}}}]][br][[예당역|예 당]][br]5.3 ㎞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5px" [include(틀:지도, 장소=조성역, 너비=100%, 높이=100%)]}}} || ||<-3> {{{#fff '''다른 문자 표기'''}}} || || [[로마자]] ||<-2> Joseong || || [[한자]] ||<-2> 鳥城 || || [[간체자]] ||<-2> 鸟城 || || [[가나(문자)|가나]] ||<-2> [ruby(鳥城, ruby=チョソン)] || ||<-3> {{{#fff '''주소'''}}} || ||<-3> [[전라남도]] [[보성군]] [[조성면]] 조성4길 14 || ||<-3> {{{#fff '''관리역 등급'''}}} || ||<-3> [[무배치간이역]][br]([[순천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광주전남본부) || ||<-3> {{{#fff '''운영 기관'''}}} || || [[경전선]] ||<-2> [[한국철도공사]] || ||<-3> {{{#fff '''개업일'''}}} || || [[경전선]] ||<-2> 1930년 12월 25일 || || [[무궁화호|{{{#fff 무궁화호}}}]] ||<-2> 1984년 1월 1일 || ||<-3> {{{#fff '''역사 구조'''}}} || ||<-3> 지상 1층 구조 및 지상 1층 승강장 || ||<-3> {{{#fff '''승강장 구조'''}}} || ||<-3> [[철도의 선로 구성 방식#s-2.2|복선]] [[섬식 승강장]] || ||<-3> {{{#fff '''철도거리표'''}}} || || [[삼랑진역|{{{-1 {{{#585858,#cccccc 삼랑진 방면}}}}}}]][br][[벌교역|벌 교]][br]← 10.7 ㎞ || '''[[경전선]]'''[br]조 성 || [[광주송정역|{{{-1 {{{#585858,#cccccc 광주송정 방면}}}}}}]][br][[예당역|예 당]][br]5.3 ㎞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조성역사.svg|width=100%]]}}}|| || {{{#ffffff '''조성역 전경'''}}}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조성대합실.svg|width=100%]]}}}|| || {{{#ffffff '''대합실'''}}} || [[경전선]]의 [[철도역]]. [[전라남도]] [[보성군]] 조성면 조성4길 14 (舊 조성리 613-1번지) 소재. >'''1930년 조성리역이라는 보통역으로 출발''' >조성역은 1930년 12월 조성리역이라는 이름의 보통역으로 영업을 개시하였다. 1988년 5월에 이르러 조성역으로 역명을 변경, 이후 1991년 1월에 현재의 조성역사를 신축 준공하였다. 당시 새롭게 지어진 역사는 299.83㎡ 규모의 벽돌조 단층 평지붕으로, 화물홈과 야적장을 갖추고 있었으나 1994년과 2008년 차례로 소화물과 화물취급을 중지하였다. 2017년부터 무인역으로 운영되면서 무인역 활성화와 사회적 가치 실현을 위한 테마역으로 변신, 청소년과 청년예술가, 지역 어르신을 위한 다채로운 문화공간으로 활용될 예정이다. >----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 역 정보 == [[1930년]] [[12월 25일]]에 개업할 때에는 이름이 '''조성리역'''(鳥城里驛)이었으나 [[1988년]] [[5월 21일]]에 현재의 역명으로 바꾸었다.[* [[https://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singleData=N&archiveEventId=0028210928#15|철도청고시 제13호]]] 그러나 현재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지도를 보면 대부분이 1988년 역명 개정 이전의 조성리역으로 표기된 반면, 일부는 같은해 개정 이후의 조성역으로 표기된 흔적이 지금까지 고스란히 남아있다. 그러나 조성역의 영어 표기가 2003년 개정 이전 매쿤 라이샤워 표기법으로 ChoSŏng 이었던 적이 있었다. [[2025년]] 말 [[경전선]] 순천~광주송정 구간 개량이 완료되면 폐역될 예정이다. == 승강장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조성승강장.svg|width=100%]]}}}|| || 승강장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조성역명판.svg|width=100%]]}}}|| || 역명판 ||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으로, 선로가 더 있으나 여객열차가 사용하는 선로는 승강장과 붙어있는 2개 선로 뿐이다. 승강장이나 대합실에 타는 곳 번호 표기가 없다. ||<-4> ↑ [[벌교역|벌교]] || || | || {{{#ffffff 1}}} || | || ||<-4> [[예당역|예당]] ↓ || || {{{#ffffff 1}}} || [[경전선]] || [[무궁화호|{{{#!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55839; font-size: .9em" {{{#ffffff '''무궁화호'''}}}}}}]] ||[[부전역(동해선)|부전]]·[[광주송정역|광주송정]]·[[목포역|목포]] 방면 || == 시간표 == ||<-4> {{{#ffffff '''조성역 열차 시간표 (2023.03.01. 기준)'''}}} || ||<-4> {{{#white '''상행(순천·부전 방면)''' }}} || || {{{#ffffff '''열치종별[br]열차 번호'''}}} || {{{#ffffff '''출발역[br]출발 시각'''}}} || {{{#ffffff '''도착 시각[br]출발 시각'''}}} || {{{#ffffff '''종착역[br] 도착 시각'''}}} || || '''[[무궁화호|{{{#!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55839; font-size: .9em" {{{#ffffff 무궁화호}}}}}}]][br]#1972''' || [[광주송정역|광주송정]][br]05:50 || 07:30[br]07:31 || [[순천역|순 천]][br]08:06 || || '''[[무궁화호|{{{#!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55839; font-size: .9em" {{{#ffffff 무궁화호}}}}}}]][br]#1952''' || [[목포|목 포]][br]09:23 || 12:14[br]12:15 || [[부전역(동해선)|부 전]][br]16:03 || || '''[[무궁화호|{{{#!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55839; font-size: .9em" {{{#ffffff 무궁화호}}}}}}]][br]#1974''' || [[광주송정역|광주송정]][br]15:41 || 17:22[br]17:23 || [[순천역|순 천]][br]17:58 || || '''[[무궁화호|{{{#!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55839; font-size: .9em" {{{#ffffff 무궁화호}}}}}}]][br]#1976''' || [[광주송정역|광주송정]][br]20:00 || 21:39[br]21:40 || [[순천역|순 천]][br]22:13 || ||<-4> {{{#ffffff '''조성역 열차 시간표 (2023.03.01. 기준)'''}}} || ||<-4> {{{#white '''하행(광주송정·목포 방면)''' }}} || || {{{#ffffff '''열치종별[br]열차 번호'''}}} || {{{#ffffff '''출발역[br]출발 시각'''}}} || {{{#ffffff '''도착 시각[br]출발 시각'''}}} || {{{#ffffff '''종착역[br] 도착 시각'''}}} || || '''[[무궁화호|{{{#!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55839; font-size: .9em" {{{#ffffff 무궁화호}}}}}}]][br]#1971''' || [[순천역|순 천]][br]06:07 || 06:42[br]06:43 || [[광주송정역|광주송정]][br]08:27 || || '''[[무궁화호|{{{#!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55839; font-size: .9em" {{{#ffffff 무궁화호}}}}}}]][br]#1951''' || [[부전역(동해선)|부 전]][br]06:17 || 10:14[br]10:25 || [[목포역|목 포]][br]12:59 || || '''[[무궁화호|{{{#!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55839; font-size: .9em" {{{#ffffff 무궁화호}}}}}}]][br]#1973''' || [[순천역|순 천]][br]13:38 || 14:13[br]14:14 || [[광주송정역|광주송정]][br]15:58 || || '''[[무궁화호|{{{#!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55839; font-size: .9em" {{{#ffffff 무궁화호}}}}}}]][br]#1975''' || [[순천역|순천]][br]18:44 || 19:19[br]19:20 || [[광주송정역|광주송정]][br]21:04 || == 일평균 이용객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ffffff '''연도'''}}} || [[무궁화호|{{{#!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55839; font-size: .9em" {{{#ffffff '''무궁화호'''}}}}}}]] || {{{#ffffff '''비고'''}}} || || 2004년 || 60명 || || || 2005년 || 61명 || || || 2006년 || 62명 || || || 2007년 || 70명 || || || 2008년 || {{{#f55839 76명}}} || || || 2009년 || 73명 || || || 2010년 || 71명 || || || 2011년 || 73명 || || || 2012년 || 63명 || || || 2013년 || 51명 || || || 2014년 || 49명 || || || 2015년 || 43명 || || || 2016년 || 42명 || || || 2017년 || 35명 || || || 2018년 || 32명 || || || 2019년 || 32명 || || || 2020년 || 20명 || || || 2021년 || 18명 || || ||<-3> {{{#ffffff '''출처'''}}} || ||<-3> [[https://info.korail.com/info/selectBbsNttList.do?bbsNo=202&key=1421|철도통계연보]] || }}} * [[무궁화호]]가 하루 8회 정차하고 있다. 다만 시외버스나 [[보성교통]] 농어촌버스가 조성면 일대에서 우위를 차지하고 있고 이러한 이유로 조성역의 여객 수요는 저조한 편. 실제로 서부경전선에서 그나마 수요가 나은 보성군내 보성~벌교 구간 5역 중 가장 이용객 수가 적다. * 2011년 6월 무배치간이역으로 조정되었고 인근의 [[예당역]]과 마찬가지로 코레일네트웍스에서 승차권 발권업무를 대행하였으나, 2017년 1월 1일 차내취급역으로 변경되었다. 이용객이 너무 감소되는 바람에 승차권 발권 업무 중단을 피하지 못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경전선의 역 목록)] [[분류:1930년 개업한 철도역]][[분류:2025년 폐지 예정인 철도역]][[분류:대한민국의 철도역]][[분류:경전선]][[분류: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분류:보성군의 철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