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DDDDDD 0%, #FFFFFF)" {{{+1 {{{#000000,#e5e5e5 ''' 미국의 농구선수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josh selby.jpg|width=100%]]}}} || ||<-3> '''{{{+2 {{{#000000 조슈아 코넬 셀비}}}}}} [br] {{{#000000 Joshua Cornell Selby}}}''' || ||<|2><-2> {{{#000000 '''출생 ''' }}} || [[1991년]] [[3월 27일]] ([age(1991-03-27)]세) || || [[미국]] [[메릴랜드]] 주 [[볼티모어]] || ||<-2> {{{#000000 ''' 국적 ''' }}}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8]] [[미국]] || ||<-2> {{{#000000 ''' 학력 ''' }}} || 존 캐럴 고등학교 {{{-2 (편입)}}} [br] 데마타 고등학교 {{{-2 (편입)}}} [br] 레이크 크리프튼 고등학교 {{{-2 (편입)}}} [br] 파크빌리 고등학교 {{{-2 (졸업)}}} [br] 캔자스 대학 {{{-2 (졸업)}}} || ||<-2> {{{#000000 ''' 신체 ''' }}} || [[키(신체)|키]] 186.7cm [[체중]] 91.7kg [* 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 공식 프로필] || ||<-2> {{{#000000 ''' 포지션 ''' }}} || [[가드(농구)|가드]] || ||<-2> {{{#000000 ''' KBL 입단 ''' }}} || 2017년 외국인 선수 드래프트 1라운드 5순위[* 실질적으로는 1순위다. 1~4순위는 재계약을 한 [[라건아|리카르도 라틀리프]], [[데이비드 사이먼]], [[마이클 크레익]], [[키퍼 사익스]]이다.] ([[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전자랜드]]) || ||<-2> {{{#000000 ''' 소속 ''' }}} ||{{{#!folding [ KBL 외 경력 펼치기 · 접기 ] [[멤피스 그리즐리스|멤피스 그리즐리스 / 리노 빅혼스]][* 빅혼스는 그리즐리스 산하의 D리그(현 G리그) 구단이다.] (2011~2013) [br] [[클리블랜드 캐벌리어스|캔턴 차지]] (2013) [br] [[보스턴 셀틱스|메인 레드클로스]] (2013) [br] Cedevita Zagreb (2014) [br] Bnei Herzelia (2014~2015) [br] Socar Petkimspor (2015~2016) [br] Maccabi Kiryat Gat (2016~2017) [br] [[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 (2017) [br] 브라더스 닷 볼 (2018) [br] 클럽 페로 카릴 오 에스테 바 스케 (2018) [br] 쿠마노보 (2020)}}} [[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 (2017) || [목차] [clearfix] == 개요 == [[미국]] 국적의 농구선수. 2017년 외국인 선수 드래프트에서 실질적 1순위로 [[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전자랜드]]에 지명되었다가 밀러와 교체당해서 한국에서의 첫 시즌을 마쳤다. == 커리어 == === NBA 시절 === 고교 시절 '''그 [[카이리 어빙]]과 자웅을 겨루던''' 엄청난 유망주였다. 좋은 체격과 엄청난 운동능력을[* 버티컬 점프 42인치로 해당 드래프트 측정 1위] 보였지만 기복과 전반적인 재능의 부족을 드러내며 대학 시절 평판이 깎였고 2011년 NBA 드래프트에서는 2라운드 49순위로 멤피스에 지명되었다.[* 여담으로 2011년 드래프트는 굉장히 훌륭한 선수들을 배출했다. 유명 선수들만 해도 전체 1위 [[카이리 어빙]]을 시작으로 [[클레이 탐슨]], [[트리스탄 탐슨]], 모리스 형제, [[에네스 칸터]], [[요나스 발렌슈나스]], [[카와이 레너드]], [[토바이어스 해리스]], [[이만 셤퍼트]], [[레지 잭슨(농구선수)|레지 잭슨]], [[켐바 워커]], [[비스맥 비욤보]], [[니콜라 뷰세비치]] 그리고 1라운드 30번 [[지미 버틀러]](전체 30번)와 2라운드 60번(즉, 그 해 선발된 60명 중 60번째 마지막 순위으로 NBA에 입성) [[아이제아 토마스(1989)|아이제아 토마스]] 등 스틸픽이 2명씩이나 나온 독특한 해 였고, 위에 기재된 선수들 말고도 리그 생존을 넘어서 이미 팀 로테이션의 주축 멤버들도 많은 최고의 드래프트 중 하나이다. 9 시즌을 마친 2019-20 시즌 기준으로 무려 올스타만 7명에 우승반지가 있는 선수들도 어빙, T.탐슨, 셔퍼트, K.탐슨, 레너드 가 있다.] === KBL === ==== 2017-18 시즌 ==== '''[[유도훈]] 감독의 아픈 손가락 버거셀[* [[디온테 버튼|버튼]] [[김거김|거르고]] 셀비]''' 10월 15일 안양 KGC전에서 데뷔, 19득점 3리바운드 3어시스트를 기록했다. 본인의 개인기를 잘 보여주었지만, 킥아웃 패스가 득점으로 많이 연결되지 못했고, 기대했던 [[박찬희(농구)|박찬희]]와의 호흡이 좋지 않았던 것은 아쉬운 점. 10월 18일 KCC전에서는 22득점 4리바운드 5어시스트로 맹활약하며 팀 승리에 공헌했다. 폭발적인 드라이브인을 여러 차례 보여줬으며 후반에는 날카로운 크로스오버로 수비하던 송창용을 주저앉히는 장면까지 연출하기도 했다. 그러나 그 이후 3점슛 능력이 아예 없다는 게 밝혀지고 제대로 밑천이 드러나고 있다. 더군다나 '''득점을 많이 올려도 실속이 전혀 없는 볼호그에다 야투율이 40% 겨우 넘을 정도에 [[역귀]] 기질까지 보이고 있다.''' 그러나 브라운이 들어오면서 생각보다 나아진 모습을 보여줬다. 박찬희와의 호흡도 나름 괜찮아졌지만 본인이 약점을 노출하면서 공략당하는 듯한 부분이 최근 경기에서 늘어난 점이 문제인데... 본인에게도 [[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전랜]]에게도 이번 전반기 최우선 해결 과제가 될 듯하다. 이 때문에 셀비가 경기를 말아먹을 때마다 [[김거김|버거셀]]이라고 신나게 까이고 있다.[* '''버'''튼 '''거'''르고 '''셀'''비의 줄임말. [[원주 DB 프로미|DB]]가 [[디온테 버튼]]을 픽하면서 팀의 운명이 바뀐 것을 보면 참 적절한 사례가 아닐 수 없다.] 그러나 [[2월 10일]] 전자랜드가 밀러와 함께 간다는 의견을 밝히며 한국 생활을 마감하게 되었다.. ~~이제는 버거셀이 아니라 버거셀교밀~~[* 버튼 거르고 셀비 교체 밀러..] == 플레이 스타일 == [[포인트 가드]]도 소화했다고는 하지만 퓨어 가드와는 거리가 있는 선수다. 트라이아웃 당시에도 매니아급 팬들 사이에서 관심권 밖의 선수였고, 무엇보다 미국 시절에도 [[3점 슛]] 고자였던 탓에 셀비의 기량에 의문을 품은 사람이 많았는데 [[유도훈]] 감독이 모두가 [[디온테 버튼]]을 뽑으리라는 예상을 뒤엎고 깜짝 지명을 하는 바람에 졸지에 사실상 1순위가 되어버린 것이다. 드러난 플레이 스타일은 3점슛이 아예 불가능하고 오로지 돌파와 우겨넣기가 전부인 최악의 [[역귀]]라는 혹평만 나오고 있다. 더군다나 가드 포지션이면서 공만 받으면 [[안드레 에밋]] 이상으로 볼을 안 넘기고 난사질을 해대서 아무리 득점을 많이 해도 전혀 실속이 없는데다 수비는 거의 [[자동문(스포츠)|자동문]] 수준으로 최악의 수비력을 보여주고 있다(...). 그런데 31일 [[부산 kt 소닉붐|kt]]전에서 3점슛을 무려 '''5개'''나 성공했다! 특기인 개인 돌파는 여전히 위력적이고 슛까지 장착한다면 [[박찬희(농구)|박찬희]]와 듀얼 가드로도 활약할 수 있을 것으로 보였지만 아쉽게도 한국 생활을 마감하게 되었다.[* 대체 선수는 모비스에서 뛰던 밀러.] === TBT === ==== 2018-19 시즌 ==== 미국 농구 토너먼트 리그 브라더스 닷 볼 팀과 계약해 주전 [[슈팅 가드]]로 뛰었다. 이 팀에는 낯이 익은 선수가 있는데 바로 KBL 대체 전문 용병 [[제스퍼 존슨]]이다. == 시즌별 성적 == ||<-11>
{{{#ffffff 역대 성적}}} || || {{{#ffffff 시즌}}} || {{{#ffffff 소속팀}}} || {{{#ffffff 경기수}}} || {{{#ffffff 2점슛}}} || {{{#ffffff 3점슛}}} || {{{#ffffff 자유투}}} || {{{#ffffff 득점}}} || {{{#ffffff 리바운드}}} || {{{#ffffff 어시스트}}} || {{{#ffffff 스틸}}} || {{{#ffffff 블록슛}}} || || 2011-12||<|2> [[멤피스 그리즐리스|MEM]] || 28 || 23/57 [br](40.35%) || 2/15 [br] (13.30%) || 11/14 [br] (78.60%) || 63 || 15 || 30 || 7 || 8 || || 2012-13 || 10 || 5/16 [br](31.25%) || 1/6 [br] (16.67%) || 7/11 [br] (63.60%) || 20 || 5 || 4 || 2 || 0 || ||<-2> '''[[전미 농구 협회|NBA]] 통산''' [br] (2시즌) || 38 || 28/73 [br] (38.36%) || 3/21 [br] (14.28%) || 18/25 [br] (72.00%) || 83 || 20 || 34 || 9 || 8 || || {{{#ffffff 시즌}}} || {{{#ffffff 소속팀}}} || {{{#ffffff 경기수}}} || {{{#ffffff 2점슛}}} || {{{#ffffff 3점슛}}} || {{{#ffffff 자유투}}} || {{{#ffffff 득점}}} || {{{#ffffff 리바운드}}} || {{{#ffffff 어시스트}}} || {{{#ffffff 스틸}}} || {{{#ffffff 블록슛}}} || || 2017-18 || [[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전자랜드]] || 36 || 205/419 [br] (48.93%) || 36/122 [br] (29.51%) || 107/140 [br] (76.43%) || 625 || 122 || 140 || 38 || 1 || ||<-2> '''[[한국프로농구|KBL]] 통산''' [br] (1시즌) || 36 || 205/419 [br] (48.93%) || 36/122 [br] (29.51%) || 107/140 [br] (76.43%) || 625 || 122 || 140 || 38 || 1 || == 관련 문서 == * [[NBA 관련 인물]] * [[농구 관련 인물(한국)]] * [[외국인 선수/역대 프로농구]] * [[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선수단]] [[분류:1991년 출생]][[분류:2011년 데뷔]][[분류:멤피스 그리즐리스/은퇴, 이적]][[분류:미국의 농구 선수]][[분류:볼티모어 출신 인물]][[분류:슈팅 가드]][[분류:외국인 선수(농구)]][[분류: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은퇴, 이적]][[분류:포인트 가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