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1 조시 허처슨}}}[br]Josh Hutcherson'''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Josh-Hutcherson.png|width=100%]]}}} || || '''본명''' ||조슈아 라이언 허처슨[br](Joshua Ryan Hutcherson)||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2> '''출생''' ||[[1992년]] [[10월 12일]] ([age(1992-10-12)]세)|| ||[[켄터키|켄터키 주]] 유니언|| || '''거주''' ||[[캘리포니아|캘리포니아 주]] [[로스엔젤레스]]|| || '''신체''' ||165.1cm, [[AB형]]|| || '''활동''' ||[[2002년]] – [[현재]]|| || '''학력''' ||[[로렐 스프링스 스쿨]]|| || '''링크'''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jhutch1992, 크기=20)] | [[https://www.facebook.com/JoshHutchersonFans|[[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 [[https://instagram.com/jhutch1992?igshid=1grmak04jjqvq|[[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목차] [clearfix] == 개요 == [[미국]]의 [[배우]]. 영화 [[헝거 게임(영화)|헝거 게임]]으로 유명해졌다.[* 소설에서 묘사된 꽃미남 피타의 이미지와 맞지 않는다는 이유로 캐스팅 때부터 논란이 있었으며 1편에서는 감정 이입을 어디에 두어야 할 지 모르며 핀트를 잡지 못하는 연기로 혹평을 받았다.] 어릴 때부터 아역으로[* 10살 때 전화번호부에 있는 에이전시에 직접 전화했다고 한다.] 꾸준히 활동했으며 성인이 된 지금까지도 활동 중이다. 헝거게임으로 반짝 스타덤에 올랐다가 메이저 작품을 찍지 못하던 중, [[프레디의 피자가게(영화)|프레디의 피자가게]]로 흥행에 성공하고 밈의 확산으로 인지도도 상승 가도를 달리게 되었다. 스페인의 배우 클라우디아 트라이삭과 7년째 교제 중이다.[* 영화 파라다이스 로스트 에서 부부 역할로 만나 실제로 이어졌다.] == 출연 == 흥행에 성공한 영화는 '''볼드체'''로 표시한다. === 영화 === * 아메리칸 스플랜더(2003) - 로빈 * 모토크로스 키즈(2004) - TJ * [[폴라 익스프레스]](2004) - [[폴라 익스프레스#s-3|주인공]][* 추가 모션 캡처로 참여.] * 마지막 질주(2005) - 조이 * 차고 지르기(2005) - 버키 웨스턴 * [[하울의 움직이는 성]](2005) - [[마르클]] * [[리틀 맨하탄]](2005) - 가브리엘 "게이브" 버턴[* 국내에서는 2018년에 [[영화사 빅]]에 의해 수입, 개봉되었다.] * [[자투라: 스페이스 어드벤쳐]](2005) - 월터 * RV(2006) - 칼 먼로 * [[비밀의 숲 테라비시아(영화)|비밀의 숲 테라비시아]](2007) - [[비밀의 숲 테라비시아(영화)#s-3|제시 아론즈]] * 파이어하우스 독(2007) - 쉐인 파헤이 * 윙드 크리처스(2008) - 지미 제퍼슨 * [[잃어버린 세계를 찾아서]](2008) - 션 앤더슨 * [[대런 섄 시리즈#s-1.2|틴에이지 뱀파이어]](2009) - [[대런 섄 시리즈#s-3.3|스티브 "레오파드" 레오나드]] * [[에브리바디 올라잇]](2010) - 레이저 올굿 * 더 써드 룰(2010) - 척 * 디텐션(2011) - 크랩튼 데이빗 * [[잃어버린 세계를 찾아서#s-3|잃어버린 세계를 찾아서 2 : 신비의 섬]](2012) - 션 앤더슨 * '''[[헝거 게임: 판엠의 불꽃]](2012) - [[피타 멜라크]]''' * 세븐 데이즈 인 하바나(2012) - 테디 앳킨스 * 더 포저(2012) - 조슈아 매이슨 * [[레드 던#s-2]](2012) - 로버트 키트너 * [[에픽: 숲속의 전설]](2013) - [[에픽: 숲속의 전설#s-2|노드]] * '''[[헝거 게임: 캣칭 파이어]](2013) - [[피타 멜라크]]''' * '''[[헝거 게임: 모킹제이]](2014) - [[피타 멜라크]]''' * [[파라다이스 로스트: 마약 카르텔의 왕]] (2014) - 닉 브래디 * '''[[헝거 게임: 더 파이널]](2015) - [[피타 멜라크]]''' * 승부 없는 싸움(2015) - 비니 * [[크리스탈]](2015) - 주연 * 롱 홈(2017) - 네이선 와이너 * [[디재스터 아티스트]](2017) - 필립 할디만 * Burn(2019) - 주연 * '''[[프레디의 피자가게(영화)|프레디의 피자가게]]'''(2023) - 마이크 슈미트 === 단편 영화 === * The third rule(2010) - 척 * The Rusted(2015) - 맥스 * APE(2017) - 트래비스[* 본인이 감독하고 본인이 주연으로 출연했다.] === 드라마[* TV 영화 포함.] === * 비커밍 글렌(2002) - 어린 글렌 * 하우스 블렌드(2002) - 니키 하퍼 * [[ER(미국 드라마)|ER]](2002) - 맷 * 더 디비전(2003) - 매튜 인우드 * 미라클 독스(2003) - 찰리 로건 * 와일더 데일즈(2003) - 크리스 모스 * 라인 오브 파이어(2003) - 도니 롤링스 * 더 코트십 오브 에디스 파더(2004) - 에디 코베트 * 파티 웨건(2004) - 토드 E. 바틀리 * [[저스티스 리그 언리미티드]](2004) - 반-엘 / 어린 [[브루스 웨인]] * 펑크드(2012) - 본인 * [[퓨처맨]](2017-2020) - 조쉬 * 나의 에이전시 파키타 살라스(2019) - 라이언[* 시즌 3 에피소드 5 '옛 생각' 에 특별출연했으며 극중 배우 클라우디아 트라이삭과 실제 연인사이다.] === 애니메이션 === * [[ULTRAMAN(만화)/애니메이션|ULTRAMAN]] - '''[[하야타 신지로]]''' === 기타 === * [[새터데이 나잇 라이브]](2013) - 호스트[* [[하임]]과 같이 나왔다.] * [[페이스 오프#s-4]] - 심사위원 * Middle(feat. Bipolar Sunshine) - [[DJ Snake]] == 연출 == * APE(2017)[* 조쉬의 첫번째 단편영화 감독작.] == 수상 == * 2008년 영 아티스트 어워드 아역상 * 2012년 제21회 MTV 무비어워드 최고의 남자배우상 * 2012년 제21회 MTV 무비어워드 최고의 싸움상 * 2014년 제23회 MTV 무비어워드 최고의 남자배우상 == 여담 == * 배우 [[히스 레저]]가 생전 보유했던 [[미국]] [[로스엔젤레스]]의 저택을 사망 이후 구매했다. * [[얼라이|성소수자 지지자]][* 그의 두 명의 삼촌이 게이였으며, 에이즈로 세상을 떠났다고 한다.]이며 Straight but not narrow[* 이성애자이지만 열려있는, 개방적인 정도로 해석할 수 있다.]라는 단체의 농구 캠페인에 매년 참여했었다. * [[오토바이|모터사이클]]을 타는걸 즐기며 첫 바이크는 [[혼다]]사의 바이크였다. * Gibberish[* 웅얼거린다는 뜻으로, 남들이 쉽게 알아듣지 못하게 말하는 방법이다. 발음 중간중간에 다른 발음을 섞는다.]를 굉장히 잘하며 여러 인터뷰에서 보여주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josh-hutcherson-josh-hutcherson-whistle-edit.gif|width=100%]]}}} || ||<#fff,#191919> {{{-1 화제가 된 영상의 도입부.}}} || * 2023년 개봉한 영화 [[프레디의 피자가게(영화)|프레디의 피자가게]]의 주연 [[마이크 슈미트(FNaF 시리즈)|마이크 슈미트]] 역을 맡으며 화제가 되었는데, 이 때문에 [[플로 라이다]]의 [[Whistle]][* 정확히는 조엘 메리(Joel Merry)라는 사람이 커버한 버전이다. [[https://www.youtube.com/watch?v=dU99kuUSmTE|#]]]을 배경음악으로 활용한 2014년의 한 팬영상이 뒤늦게 세간의 주목을 받았다. [[https://www.youtube.com/watch?v=BbeeuzU5Qc8|#]] 영상 초반부에 나오는 조시 허처슨의 사진이 다소 부담스러운 표정과 촌스럽게 과다 노출된 색감으로 인기를 끌면서 [[릭롤링]]과 비슷한 유형으로 인터넷 상에서 밈으로 활용되고 있다. 주로 사물을 보여주는 등 평범한 영상이 흘러가는 듯 싶다가 거기에서 해당 사진이 노래와 함께 [[갑툭튀]]하는 형태이다. 2023년 11월 이후 해외 인터넷 상에서 크게 유행하다 12월부턴 한국에서도 유행하고 있다. 이 밈이 한국에 퍼진 이후 한국 릴스에서 이 밈을 비판하는 댓글을 달고 대댓글에 조시 허처슨 짤을 다는 밈이 생겼다.[* 하지만 밈과 관련 없는 릴스에, 선넘는 댓글들을 달고 짤만 단 다음, 악플이라고 하는 사람들에게는 "밈 모름?" 이라며 조리돌림하는 몇몇 사람들이 있다. 심지어는 조금만 진지하게 말해도 패드립을 하는 유저도 있을 정도. ] == 관련 문서 == * [[배우/서구권]] * [[성우/미국]] [[분류:미국 남배우]][[분류:미국 남성 성우]][[분류:분 카운티(켄터키) 출신 인물]][[분류:1992년 출생]][[분류:2002년 데뷔]][[분류:로렐 스프링스 스쿨 출신]][[분류:영국계 미국인]][[분류:스코틀랜드계 미국인]][[분류:아일랜드계 미국인]][[분류:독일계 미국인]][[분류:프랑스계 미국인]][[분류:캘리포니아 계열 성우]][[분류:인터넷 밈/배우]][[분류:인터넷 밈/성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