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제2대 국회의원/경기도)] ||
<-100> '''{{{#FFFFFF 역임한 직위 }}}'''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역대 한국노동조합총연맹 위원장)] ---- [include(틀:광복회장)]}}}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5deg, #cd313a 50%, #0047a0 50%)" '''[[독립유공자|{{{#ffffff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br] {{{#ffffff '''{{{+1 조시원}}}'''[br]'''趙時元'''}}}}}}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조시원.jpg|width=100%]]}}} || || '''본명''' ||조용원(趙鏞元) || || '''호''' ||호일(胡逸) || || '''본관''' ||[[함안 조씨]][* 28세 용(鏞) 항렬.] || ||<|2> '''출생''' ||[[1904년]] [[10월 23일]] || ||[[경기도]] [[적성군]] [[남면(양주)|남면]] 황방리[br](현 [[경기도]] [[양주시]] [[남면(양주)|남면]] 황방리)[* [[http://www.kyeonggi.com/news/articleView.html?idxno=1424739|#]]] || ||<|2> '''사망''' ||[[1982년]] [[7월 18일]] (향년 77세) || ||[[서울특별시]] [[마포구]] [[상수동]] 자택[* 자택이 있던 상수동 160-15번지에는 현재 [[http://naver.me/5RcwdwWl|래미안 밤섬리베뉴 1차아파트]]가 들어서 있다.] || || '''종교''' ||[[가톨릭]] {{{-2 (세례명 : [[요셉]])}}} || || '''묘소''' ||[[국립서울현충원]] 독립유공자 묘역-185호 || || '''상훈''' ||건국훈장 독립장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정치인]]이다. 독립유공자 [[조소앙]]의 친동생이다. 또한 [[안춘생]] 전 [[독립기념관]]장이 그의 사위이다. == 생애 == 1904년 [[경기도]] [[파주시|적성군]] [[남면(양주)|남면]] 황방리(현 [[경기도]] [[양주시]] [[남면(양주)|남면]] 황방리)에서 [[생육신]] 중 1명인 어계(漁溪) [[조려]]의 16대손인 아버지 조정규(趙禎奎)와 어머니 박필양(朴必陽) 사이의 5남 1녀 중 다섯째 아들로 태어났다. [[경성제일고등보통학교]] 졸업 후 둘째 형 조소앙과 다른 형들을 따라 1920년 [[상하이]]로 건너갔고, 그곳에서 상하이 남방 대학(上海南方大學)[* 1952년 10월 화남사범대학(華南師範大學)에 합병되었다.[[https://baike.baidu.com/item/%E5%8D%97%E6%96%B9%E5%A4%A7%E5%AD%A6/1042869?fr=aladdin|#]]]을 졸업하였다. 1928년 청년 조직에서 활동을 시작하여 베이징, [[만주]] 등을 오가며 독립운동을 벌였다. 1930년에는 상하이에서 통일 전선인 한국광복진선을 결성했다. 1938년 [[대한민국 임시정부]] 선무단장, 1939년 [[임시의정원]] 의원, 1940년 [[한국독립당]] 중앙집행위원 등을 역임하고, 1940년 [[한국광복군]] 창군에 참가한 뒤 간부로 활동했다. [[8.15 광복]] 후인 1946년 5월부터 같은 해 9월까지 [[한국노동조합총연맹|대한노동총연맹]] 간부를 지냈다. 1948년 [[조소앙]] 등과 [[사회당(1948년)|사회당]]을 창당하였다. 1950년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사회당 후보로 경기도 양주군 갑 [[선거구]]에 출마하여 [[현역]] [[지역구]] [[대한민국 국회의원|국회의원]]인 [[대한국민당]] [[김덕열]] 후보를 꺾고 당선되었다. 1952년 [[자유당]]창당에 참여해 여당의원으로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52072100239101001&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52-07-21&officeId=00023&pageNo=1&printNo=9027&publishType=00010|변신하였다.]] 1954년 [[한국전력공사|조선전업주식회사]] 이사로 근무했고, 1955년 [[김성수(1891)|인촌 김성수]]의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55022100209202003&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55-02-21&officeId=00020&pageNo=2&printNo=9853&publishType=00020|국민장 위원회]]위원으로 인촌 김성수의 국민장을 주최하였다. 1960년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으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현역 지역구 국회의원인 [[민주당(1955년)|민주당]] [[강영훈(1927)|강영훈]]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67년 [[제6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공화당]]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67032400209201015&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67-03-24&officeId=00020&pageNo=1&printNo=13979&publishType=00020|유세위원]]으로 활동하며 [[박정희]] 대통령 지지 연설을 하는 등 여당 인사로 활동하였다. 1965년에는 형 조소앙이 설립한 한중문화협회를 재건하였고, 1968년 제2대 회장을 역임하였다. 1965년 [[광복회]] 창립 후에 부회장을 맡았고, 1971년 제3대 광복회장에 취임하는 등 독립유공자들의 활동을 알리고, 유족들의 복지를 위한 활동에 전념하였다. 이후 1982년 7월 18일 [[서울특별시]] [[마포구]] [[상수동]] 자택에서 [[숙환]]으로 별세했다.[[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82071900329202019&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82-07-19&officeId=00032&pageNo=2&printNo=11324&publishType=00020|#]] 대한민국 정부는 1963년 조시원에게 건국훈장 독립장을 수여했다. 사후 그의 유해는 1982년 7월 22일 [[국립서울현충원]] 독립유공자 묘역에 안장되었다. [[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대한민국의 남성 정치인]][[분류:한국광복군/군인]][[분류:제2대 국회의원]][[분류:사회당(1948년) 국회의원]][[분류:양주시 출신 인물]][[분류:함안 조씨]][[분류:1904년 출생]][[분류:1982년 사망]][[분류:한국노동조합총연맹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가톨릭 신자]][[분류:건국훈장 독립장]][[분류:경기고등학교 출신]][[분류:국립서울현충원 안장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