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충암고 조영준.jpg|width=100%]]}}} || ||<-2> '''{{{#ffffff 성균관대학교 야구부 No.}}}''' || ||<-2> '''{{{#000 {{{+2 조영준 }}} [br] Cho Young Jun}}}''' || || '''생년월일''' ||[[2003년]] [[5월 16일]] ([age(2003-05-16)]세)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출신지''' ||[[부산광역시]] || || '''출신학교''' ||[[충암중학교|충암중]] - [[충암고등학교 야구부|충암고]] - [[성균관대학교 야구부|성균관대]] || || '''신체''' ||180cm, 88kg || || '''포지션''' ||[[외야수]] || || '''투타''' ||[[우투우타]] || || '''가족''' ||[[아버지]] '''[[조성환(1976)|조성환]]'''|| [목차] [clearfix] == 개요 == [[성균관대학교 야구부|성균관대학교]] 소속의 [[외야수]]. == 선수 경력 == === 아마추어 시절 === [[아버지]]인 [[조성환(1976)|조성환]]처럼 충암중을 졸업해서 [[충암고등학교]]로 진학했다. 2학년때 부터 경기에 나섰지만 11경기 타율.250으로 부진했다. 3학년부터 주전 자리를 잡았으며 주말리그 후반기에서 최우수선수상을 수상하였다. 충암고의 31년만의 [[대통령배 전국고교야구대회]] 우승과 개교 후 유독 인연이 없었던 [[청룡기 전국고교야구대회]] 첫 우승에 동기생 투수 [[이주형(투수)|이주형]], 1년 후배 투수 [[윤영철]]과 함께 공헌하였다. 3학년 최종 성적은 25경기 46타수 타율.326 15안타(2루타 2) 2홈런 12타점 13득점 4도루 장타율.500 출루율.492 OPS.992로 시즌을 마감하였다. 그러나 준수한 활약에도 [[KBO 리그/2022년/신인드래프트]]에서 지명을 받지 못하고 [[성균관대학교 야구부|성균관대]]로 진학하였다. == 플레이스타일 == == 여담 == * 눈매가 [[조성환(1976)|아버지]]와 상당히 닮았다. * 현역시절 [[내야수]]였던 [[조성환(1976)|아버지]]와 다르게 포지션이 [[외야수]]다. * [[조성환(1976)|아버지]] 별명이 ‘영원한 캡틴’인 것의 영향을 받았는지 조영준 역시 [[충암고등학교 야구부|충암고]]의 주장을 맡았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조영준시구.jpg|width=100%]]}}} || * 어렸을 적 [[사직 야구장]]에서 시구한 경험이 있다. [[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2003년 출생]][[분류:부산광역시 출신 인물]][[분류:외야수]][[분류:우투우타]][[분류:충암고등학교 출신]][[분류:야구 선수 자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