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김일성)] [include(틀:북한-중화권 관계 관련 문서)] [목차] [clearfix] == 개요 == 조중변계조약(朝中邊界條約)은 [[북한]]과 [[중국]] 간의 국경 조약이다. 원래 비밀조약이었으나 [[문화대혁명]] 때 반란파 혁명위원회에 의해 외부에 공개되게 되었다. 남한에는 1974년 6월 [[지린성]] 혁명위원회 외사판공실이 발행한 비밀문건을 2007년 [[동북아역사재단]]이 입수하여 번역하여 소개되었다. [[https://zh.wikisource.org/wiki/%E4%B8%AD%E5%8D%8E%E4%BA%BA%E6%B0%91%E5%85%B1%E5%92%8C%E5%9B%BD%E6%94%BF%E5%BA%9C%E5%92%8C%E6%9C%9D%E9%B2%9C%E6%B0%91%E4%B8%BB%E4%B8%BB%E4%B9%89%E4%BA%BA%E6%B0%91%E5%85%B1%E5%92%8C%E5%9B%BD%E6%94%BF%E5%BA%9C%E5%85%B3%E4%BA%8E%E4%B8%AD%E6%9C%9D%E8%BE%B9%E7%95%8C%E7%9A%84%E8%AE%AE%E5%AE%9A%E4%B9%A6|여기서]] 중국어 전문을 확인할 수 있다. == 내용 == [[1964년]] [[3월 20일]] 북한 전권 대표 [[김일성]](내각 수상)과 중국 전권 대표 [[저우언라이]](周恩來, 주은래) 사이에서 체결되었다. 천지의 서남쪽 마루[* 재운봉과 옥주봉 사이]와 동남쪽 마루[* 자하봉과 쌍무지개봉 사이]를 잇는 선을 [[백두산]]의 국경으로 하고, [[하중도]]의 경우 이미 국민이 사는 섬은 해당국에 귀속하는 원칙으로 결정하였다. 이 덕분에 북한은 백두산 천지의 54.5%를 중국으로 부터 양도받았고,[* 백두산 봉우리(2,500m 이상)의 16개 중 9개가 북한영역이다.] [[두만강]] 상류의 국경에 대해서도 [[간도협약]]보다 북한에 유리하게 정해졌으며, [[조선인]]이 사는 섬은 한반도 쪽으로 정했기 때문에 청과 조선의 분쟁 지역이었던 [[압록강]] 하구의 황초평을 비롯한 대부분의 하중도도 북한에 귀속되었다. [[대한민국]]이 주장하는 중국과의 국경과도 '''[[백두산]]을 제외하고 일치'''하고 있다. 그러나 바다의 경계를 [[경선]]을 기준으로 정하여 크게 불리하게 체결되어 바다의 중요성이 커진 이후 북한은 이에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조중변계조약 영해기점.jpg|width=100%]]}}} || 북한과 중국의 조약이므로 이들의 국체를 인정하지 않는 [[분단국가]]인 [[대한민국]]과 [[대만|중화민국]]에서는 조중변계조약을 공식적으로 인정하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북중이 각각 절반에 가깝게 나눈 [[천지(백두산)|천지]] 일대만 해도 대한민국에서 발간한 지도에는 백두산을 모두 대한민국의 영역으로, 반대로 중화민국에서 발간한 지도에는 백두산을 모두 중화민국의 영역으로 표시하고 있다. [[남북통일]]이 된 이후 수역 문제로 다시 논쟁이 커질 것으로 보이나, 영해권 부분까지 그대로 [[통일 한국]]이 승계할 가능성은 없는 것으로 보인다는 주장과 통일은 주변국 동의가 필수적인 만큼 북한의 모든 대외 조약은 통일 한국이 계승할 수밖에 없으므로, 통일 한국이 자신에 불리하다는 이유로 북한이 맺은 대외 조약을 임의 파기할 수는 없다는 주장이 있다. 비슷한 선례로, 서독은 [[동독]]이 폴란드와 맺은 국경 관련 조약을 인정하지 않았었다. 하지만 독일 통일 후 [[서독]]이 주도한 통일 독일 정부는 실랑이 끝에 결국 이전의 관련 조약들을 승계하게 된 예가 있다.[* 다만 서독의 경우 국경선이 2차 대전의 결과로 그어진 것이라 통일을 위해선 마찬가지로 2차대전의 산물인 국경선 또한 인정할 필요가 있었다.] 어느 쪽의 주장이 맞든지 간에, 중국의 정치, 외교, 경제의 영향력과 군사력이 북중간의 조약이 맺어질 때와는 비교도 안 되게 커졌기 때문에 중국과 새로 협상을 벌인다고 해서 통일 한국이 유리하게 이끌 수 있는 부분이 적은 것도 사실이다. 더욱이 [[동북공정]]과 같은 행태를 보면 한국에 유리하기는 커녕 [[구단선]] 같은 불합리한 요구를 강요할 것이 뻔하다. 조중변계조약이 북한에 유리한 방향으로 맺어진 것도 당시 대표인 [[저우언라이]]의 양보 덕분에 가능했다. 이 때문에 [[저우언라이]]는 중국[* 대륙뿐만 아닌 대만의 극단적 중화민국 정통론자도 포함. 이들 역시 '중공 빨갱이들이 신성한 조국 땅을 북한에 팔아먹었다'고 비난한다.] 내에서 상당한 비판을 받았었고, 반대로 대한민국에서는 김일성이 백두산절반을 중국에게 한국전쟁 도와준 보답으로 팔았다는 말이 있다.[* 기본적으로 한국은 중국, 중화민국 모두 백두산 천지의 완전 소유를 주장했는데 조중 변계조약으로 북한과 중국이 천지를 반으로 가르자고 합의본 것에 가깝다. 백두산이 민족 영산으로 취급받으니만큼 민족주의적 관점에서는 합의를 본 사실 자체가 매국행위라고 여기는 관점도 있을 법 하나 국경 판정의 중요한 근거인 [[백두산정계비]] 내용이 우리 측에 불리하다보니 절반이라도 확보한 것이 다행이라는 시각도 존재한다.] == 관련 문서 == * [[백두산정계비]] * [[간도협약]] * [[연변 조선족 자치주]] * [[간도회복]] * [[간도]] * [[백두산]] * [[북한-중국 국경]] * [[압록강]] * [[두만강]] * [[배타적 경제수역]](EEZ) * [[서한만]] [각주] [[분류:김일성 시대]][[분류:마오쩌둥 시대]][[분류:1964년 협정]][[분류:북중관계]]